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3:26:45

메르세데스-벤츠 M272 엔진

1. 개요2. 상세
2.1. 유지보수
3. 형식4. 적용차종5. 둘러보기

1. 개요

메르세데스-벤츠의 V형 6기통 가솔린 엔진군.

2. 상세


좌, 우 뱅크의 가운데에 밸런스 샤프트 한 본이 장착되게 설계됐다.

2.1. 유지보수

기본적으로 M273 엔진과 설계가 유사한 만큼 문제점도 비슷하다. M273과 함께 벤츠 엔진들 중에서 그나마 내구성이 나은 편으로 간주된다. [1]

3. 형식

형식명 배기량
(cc)
보어 × 스트로크
(mm)
사양
272 911 2,496 88 × 68.4
272 920
272 921
272 922
272 923
272 924
272 939 2,996 88 × 82
272 940
272 941
272 942
272 943
272 944
272 945
272 946
272 947
272 948
272 949
272 952
272 960 3,498 92.9 × 86
272 961
272 963
272 964
272 965
272 966
272 967
272 968
272 969
272 970
272 971
272 972
272 973
272 974 [H]
272 975
272 977
272 978
272 979
272 980
272 982 [g]
272 983 [g]
272 984 [g]
272 985 [g]
272 988
272 991

4. 적용차종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CLS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메르세데스-벤츠 SL메르세데스-벤츠 SLK메르세데스-벤츠 R클래스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메르세데스-벤츠 GLK메르세데스-벤츠 V클래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분류 가솔린 디젤
<colbgcolor=#000000> 3기통 M160 OM639 · OM660
4기통 M254 · M282
M260 · M264 · M266
M274 · M271
M111 · M102
OM640
OM654 · OM651
OM646 · OM611
OM604 · OM601
5기통 - OM612
OM605 · OM602
6기통 M256 · M276
M272 · M112
M104 · M103
OM656 · OM642
OM613
OM606 · OM603
8기통 M176
M278 · M273
M113 · M119
M156
OM629 · OM628
12기통 M279
M285 · M275 · M137
M120
-
갈색 글씨 - 단종된 엔진
}}}}}}}}} ||



[1] 2010년대를 기점으로 직분사(CGI)와 터보 도입과 동시에 플라스틱 부품이 증가하며 벤츠 엔진들의 내구성이 급격히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2] 중고차 구입시 웬만하면 이 연식 이후의 차를 사는게 좋다. 하지만 오일관리가 제대로 안되었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그 이후 연식의 차 중에서도 밸런스 샤프트가 마모되는 경우가 있다.[3] 캠 포지션 센서 4개를 분리하고 크랭크를 돌려 상사점에 맞추면 4개의 타이밍 마크가 구멍에 일치하게 들어와야 정상이다.[4] 트랜스미션 분리 후 플라이휠을 탈거해야 밸런스 샤프트의 뒷쪽 카운터 웨이트와 고정 볼트를 풀 수 있다. 굳이 엔진을 안내리고 하려면 미션을 탈거하고 전면 라디에이터와 에어컨 콘덴서를 다 떼내야 한다. 그럴바에야 엔진을 내리는게 낫다.[5] 뱅크2 흡기쪽 캠마그넷은 오일필터하우징이 앞에 가로막고 있어서 교체가 번거롭다. 아래의 혼유 문제 발생으로 오일필터하우징을 뜯을 일이 있을때 캠마그넷도 같이 열어서 점검 및 교환하는게 좋다.[6] 20만km 정도면 탈만큼 탄 거라 볼 수 있고 심각한 결함이라 보기는 어렵다. 다만 예전 100만km 무보링을 자랑하던 주철블록 시절의 벤츠 엔진들을 생각하면 아쉬운건 사실이다. 당장 동시대의 경쟁사인 BMW의 엔진들은 여러 잔고장이 많이 있을지언정 실린더 스크래치는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7] 이를 보아 ECU 위치에 의한 열손상 문제를 벤츠는 이미 인지하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런데도 아무 개선없이 2011년 단산때까지 MPI버전의 ECU의 위치를 바꾸거나 냉각대책을 추가하는 조치는 전혀 없었다.[H] 하이브리드, 앳킨슨 사이클[g] 직분사[g] [g]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