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1:05:08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쿠페·카브리올레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E클래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크라이슬러의 중형 세단에 대한 내용은 크라이슬러 E클래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파일:W214 E-Class (1).jpg
파일:Mercedes-Benz E-Class 아이콘.svg
Mercedes-Benz E-Class | E-Klasse
1. 개요2. 특징
2.1. 대한민국 수입차 판매량 1위의 대명사2.2. 독일 택시의 대표 모델
3. 연혁
3.1. 1세대 (W136, W191, 1936~1942, 1947~1955)
3.1.1. 라인업
3.2. 2세대 (W120, 1953~1962)
3.2.1. 라인업
3.3. 3세대 (W110/C110/A110, 1961~1968)
3.3.1. 라인업
3.4. 4세대 (W114/W115/C114/A114, 1968~1976)3.5. 5세대 (W123/V123/S123/C123, 1976~1986)3.6. 6세대 (W124/S124/C124/A124, 1984~1996)
3.6.1. 제원3.6.2. 라인업3.6.3. 파생형 및 특수모델3.6.4. 고질병 / 내구성3.6.5. 구매 가이드
3.7. 7세대 (W210/S210, 1995~2002)
3.7.1. 라인업3.7.2. 파생형 및 특수모델3.7.3. 고질병, 수리/구매 가이드
3.8. 8세대 (W211/S211, 2002~2009)
3.8.1. 라인업3.8.2. 초기 결함, 고질병, 구매 가이드
3.9. 9세대 (W212/V212/S212/C207/A207, 2009~2016. 4.)3.10. 10세대 (W213/V213/S213/X213/C238/A238, 2016. 3.~2023. 12.)3.11. 11세대 (W214/V214/S214/X214, 2023. 8.~현재)
4. 사건사고
4.1. W211 후기형 공기흡입구 배치로 인한 침수4.2. W212 에어백 미전개4.3. W213 후기형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결함으로 인한 시동 꺼짐 현상
5. 기타6. 미디어7. 경쟁 차종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독일자동차 브랜드인 메르세데스-벤츠에서 생산 중인 후륜구동 기반의 준대형차(E 세그먼트)이다. 4도어 쿠페인 CLS, AMG GT 4-Door 쿠페와 MRA 플랫폼을 공유한다. 파생 모델은 왜건형의 에스테이트, 쿠페, 카브리올레가 있다.

인기가 많은 차종인 만큼 스테이션 왜건의 수요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닌 미국에서도 유일하게 에스테이트 모델이 팔리고 있다. 세계적으로 C클래스, S클래스와 더불어 가장 흔하게 보이는 벤츠 라인업이다.

스테이션 왜건형은 본래 콤비라고 불렀으나, 현재는 T-모델이라고 불리고 있다.

1936년에 E클래스의 전신이자 1세대 모델인 코드네임 W136이 처음으로 생산되었으며, 1993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6세대 모델부터 E클래스라는 차명과 +3자리 수의 트림이 정착되었다.

2. 특징

2.1. 대한민국 수입차 판매량 1위의 대명사

고가의 차량임에도 대한민국에서 판매량이 가장 높은 수입차로 유명하다.

BMW 5시리즈와 함께 전체 수입차 판매량 1~2위를 다루고 있고, 두 모델 서로가 대표적인 라이벌 차량으로 손꼽히기도 하며, 5시리즈, A6 등에 비해 프로모션 할인이 적어서 가장 비싼데도[1] 불구하고 대한민국에서 너무 잘 팔리다 보니 5시리즈와 함께 국민 수입차라는 별명을 얻은 차량이기도 하다.[2]

2016년 10세대(W213) 모델이 출시된 이후, 5시리즈의 판매량을 역전하며, 대한민국에서 엄청난 인기모델로 등극해 2016년부터 7년 연속 수입차 전체 판매량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더불어 5시리즈가 BMW 차량 연쇄 화재 사고로 인해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반사이익을 얻어 벤츠코리아 법인 설립 이래 2022년 기준 무려 7조에 달하는 매출과 꾸준한 흑자를 내고 있으며, 10세대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무려 수입차로 20만대 이상을 판매하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실제로 전 세계에서 E클래스가 가장 많이 팔린 시장이 대한민국이었다.#

9세대(W212)의 시절의 경우 일반적으로 5시리즈가 더 많이 팔려 전체적으로는 판매량은 5시리즈보다 낮았지만, 10세대부터는 E클래스가 연간 1만 대 가까이 더 많이 팔리고 있다.[3] 벤츠는 동급 중 가격대가 가장 높지만 정작 프로모션에 워낙 인색한 브랜드라 할인율이 BMW나 아우디 대비 상대적으로 적다.[4] 아예 없는 수준은 아니고 보통 차량가의 5%~8% 정도를 할인해줬다.

대한민국 기준으로 동급 모델 중 더 잘 팔리는 모델은 국산차인 제네시스 G80밖에 없다. G80과의 판매량 차이도 불과 연간 8,000대 이하이며, 2017년에는 E클래스가 G80을 이기기도 했다. 2017년 당시 판매량의 상당수를 차지했던 E220d나 E200의 경우 비슷한 금액대의 G80대비 옵션이 많이 부족했던걸 감안한다면 E클래스의 인기는 상상 이상인것. 특히, 2세대 G80의 끝물 기간인 2019년엔 W213 E클래스 초기형 모델 역시 끝물이었음에도 G80의 판매량을 월 2,000대 넘게 제치기도 하였을 정도이다. 또한 W213 E클래스가 풀체인지급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기 직전이었던 2020년 상반기 수입차 판매량 1위를 하기도 했는데, E클래스의 외관이 크게 바뀔 예정이었던걸 감안한다면 대단한 것이다.

신차 뿐 아니라 중고차 시장에서도 외제차임에도 감가방어가 잘 되고 잔존가치가 높아, BMW 5시리즈와 함께 수입차 중 선호도 1~2위를 다투는 차량이기도 하다.

2.2. 독일 택시의 대표 모델

파일:2013_Mercedes-Benz_E-Class_(W212)_taxicab.jpg
독일의 W212 택시
대한민국에서 쏘나타K5 택시가 흔하게 보이는 것처럼, 독일에 가면 아이보리색 E클래스 택시를 흔하게 볼 수 있다. 택시 이용객들이 워낙 벤츠의 뛰어난 품질에 길들여지는 바람에 독일에 우버 서비스가 정착이 어렵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많이 사용된다. 사실 독일만이 아니라 유럽 각국부터 아프리카 오지[5]에서도 벤츠 택시가 많이 보인다. 심지어 이스라엘에도 E클래스 택시가 가장 흔하게 보일지경.

E클래스의 택시 트림도 쏘나타, K5의 택시 트림과 크게 다르지 않다. 승용차로 팔리는 트림보다 옵션이 적게 들어가 있어 가격이 싸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대한민국 승용차의 택시 트림과 다른 점은 대한민국의 택시는 LPG, E클래스 택시는 디젤을 연료로 사용한다는 점 빼고는 딱히 없다. 이는 택시 트림이 따로 있는 독일 승용차들도 마찬가지이다. E클래스 이외에 S클래스파나메라도 독일에서 택시로 비교적 자주 보이는 편이다. 물론 E클래스에 비하면 목격 빈도는 훨씬 낮다.

경쟁 모델인 5시리즈, A6도 택시 트림이 있지만, E클래스 택시가 인기가 가장 많다. 기사들 말로는 잔고장이 적고[6] 내구성이 좋은 데다[7] 장시간 운전해도 편안하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2023년형 W213부터 택시 모델을 단종하기로 하였다. 최근 트랜드가 밴과 전기차로 넘어가면서 후기형 W213부터 판매량이 크게 줄었다. 기사

3. 연혁

3.1. 1세대 (W136, W191, 1936~1942, 1947~1955)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3244912756_2aebba05d4.jpg
W136/W191
차량 제원
구동방식 후륜구동(FR)
승차인원 4인승
전장 4,440mm
전폭 1,685mm
전고 1,610mm
축간거리 2,845mm
공차중량 1,260kg~1,275kg

1936년부터 1942년, 전후 1947년부터 1955년까지 생산된 E클래스의 초대 모델이자 메르세데스-벤츠 170의 후속 모델이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 유선형 디자인을 갖췄다. 세단카브리올레 등이 있었지만, 2차대전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된 적도 있다. 전후 벤츠에서 최초로 생산된 승용차로, 1949년에 라인업에 높은 경제성이 돋보이는 4기통 1.7ℓ 디젤 엔진이 탑재된 170D가 추가되어 특히 택시기사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3.1.1. 라인업

디젤 모델
<rowcolor=#212529> 트림명 엔진 구동 방식 엔진 출력
170SB 1,76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40~52hp
170DS 1,76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40~52hp

3.2. 2세대 (W120, 1953~1962)

파일:YT3ZTxX.jpg
W120
차량 제원
구동방식 후륜구동(FR)
승차인원 4인승
전장 4,458mm~4,460mm
전폭 1,795mm
전고 1,610mm
축간거리 2,700mm
공차중량 1,070kg~1,290kg

동 시대의 W180 S클래스와 닮은 디자인이 특징이다.

3.2.1. 라인업

가솔린 모델
<rowcolor=#212529> 트림명 엔진 구동 방식 엔진 출력 비고
180 1,76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59hp
180A 1,89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63~68hp
180B 1,89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63~68hp
180C 1,89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63~68hp
디젤 모델
180D 1,76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43hp
180DB 1,988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48hp
180DC 1,988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48hp

3.3. 3세대 (W110/C110/A110, 1961~1968)

파일:XR4X5SO.jpg
W110
차량 제원
구동방식 후륜구동(FR)
승차인원 4인승, 7인승(리무진)
전장 4,730mm, 5,380mm(리무진)
전폭 1,685mm
전고 1,495mm
축간거리 2,845mm, 3,350mm(리무진)
공차중량 1,250kg~1,325kg, 1,465kg(리무진)

당시 같이 생산된 W111과 마찬가지로 핀 테일, 즉 트렁크 끝 부분이 올라간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1965년에 라인업에 6기통 2.3ℓ 가솔린 엔진이 적용된 230이 추가되었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P1251573.jpg
베트남 공화국 대통령 관용차
베트남 호치민 시(사이공)의 통일궁(구 대통령궁) 지하에는 분단 당시 남베트남 대통령이 쓰던 해당 차량이 전시되어 있다. 1960년식으로 1975년에 함락된 이후에도 계속 보관되어 있다가 1995년부터 전시되고 있다. 다만 휠은 올즈모빌 커틀라스 수프림 5세대에 적용되었던 것을 끼우고 있다.

3.3.1. 라인업

가솔린 모델
<rowcolor=#212529> 트림명 엔진 구동 방식 엔진 출력 비고
190C 1,76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80hp
200 1,897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95hp 자동변속기 모델도 존재함
230 2,306cc 직렬 6기통 엔진 후륜구동(FR) 120hp 지동변속기 모델도 존재함
디젤 모델
190D 1,988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55hp
200D 1,988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55hp 자동변속기 모델도 존재함
리무진
230 2,306cc 직렬 6기통 엔진 후륜구동(FR) 120hp 지동변속기 모델도 존재함
200D 1,988cc 직렬 4기통 엔진 후륜구동(FR) 55hp 자동변속기 모델도 존재함

3.4. 4세대 (W114/W115/C114/A114, 1968~1976)

파일:g1mCSPM.jpg
W114/W115
차량 제원
구동방식 후륜구동(FR)
승차인원 4인승
전장 4,680mm, 5,340mm(LWB)
전폭 1,770mm
전고 1,440mm, 1,475mm(LWB)
축간거리 2,845mm, 3,400mm(LWB)
공차중량 1,375kg~1,535kg, 1,535kg(LWB)

당대의 미국차들처럼 당시 유행이 지났던 핀 테일이 삭제되었다. 2.3L 가솔린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한 롱 휠베이스(LWB) 모델도 존재한다.

3.5. 5세대 (W123/V123/S123/C123, 1976~1986)

파일:external/i.telegraph.co.uk/Merc-123_1744156c.jpg
파일:3s6bdX0.jpg
전기형 후기형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13027911034_70d2fe04e9.jpg
리무진(V123)
차량 제원
구동방식 후륜구동(FR)
승차인원 4인승
전장 4,724mm, 5,355mm(리무진)
전폭 1,784mm, 1,786mm(리무진)
전고 1,435mm, 1,480mm(리무진)
축간거리 2,794mm, 3425mm(리무진)
공차중량 1,340kg~1,625kg, 1,585kg(리무진)

1976년에 세단이 먼저 출시되었고, 1977년에 리무진(V123), 스테이션 왜건(S123), 쿠페, 카브리올레(C123)가 선보였다. 리무진은 V123의 휠 베이스는 세단보다 630mm 긴 3,425mm였으며, 3열 시트가 적용되어 택시나 호텔 업무용 차 등으로 쓰였다. E 클래스 최초로 T-모델이라고 불린 왜건이 처음 선보였고, 옵션으로 7인승도 있었다고 한다. 1981년에 운전석 에어백과 ABS가 옵션으로 새롭게 설정되었다. 쿠페는 낮은 전고와 프레임리스 도어가 적용되어 스포티한 느낌을 더했다. 역대 E클래스 중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모든 바디 타입의 총 생산 대수는 2,696,914대에 이른다고 한다.

그리고 W123 모델로한 AMG 모델도 있었다

자세한내용 W123 AMG 참조바람.

전기형은 2.0/2.3L 4기통 M115 카뷰레터 엔진, 2.5L 직렬 6기통 M123 카뷰레터 엔진이 탑재되었고, 후기형은 2.0/2.3L 4기통 M102 K-제트로닉 엔진, 2.8L 직렬6기통 M110 DOHC 24밸브 K-제트로닉 엔진이 탑재되었다. 모든 엔진들은 연료 품질이 열악한 개발도상국에의 수출을 염두에 둬 저압축비 버전이 있었고, 도로 여건이 열악한 곳에서의 주행에 대비하여 오일 팬 아래에 두꺼운 철판으로 된 스키드 플레이트를 옵션으로 준비했다. 변속기는 전기형과 후기형을 통틀어 722.1 4단 자동변속기가 사용되었다.

전기형과 후기형의 디자인 차이는 전조등의 테두리 유무의 차이 뿐이다. 참고로 초기형의 전조등은 네오플란 N 416 도시형 버스와 호환되었다.

1990년대 당시 중동권 지방에서 V123 모델이 택시로 절찬리에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는 10대 남짓한 대수의 W123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배드림에도 매물이 있다.#

3.6. 6세대 (W124/S124/C124/A124, 1984~1996)

파일:PNHDYV0.jpg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2373867814_212ecc9d5f.jpg
유럽형 세단 북미형 쿠페
파일:mercedes-w124-portada.webp
파일:mercedes-benz-w124-300e-3_4-amg-002.1400x0.jpg
후기형 일반 모델 후기형 AMG

1984년에 출시되었다. 190과 더불어 현대적 자동차 하체 설계 개념이 적용 된 첫번째 차량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뒷 서스펜션은 오랫동안 이어진 세미 트레일링 암에서 멀티 링크로 변경되었다. 공기 저항 계수(Cd)는 메르세데스-벤츠 차량 중 최초로 0.29를 기록했다.[8] 파노라마 와이퍼라고 해서 캠기구를 이용해 한개의 와이퍼 블레이드로 앞유리의 양쪽 상단 모서리근처까지 닦아내는 싱글암 와이퍼가 처음 채용되었다.

차체형식은 세단(W124, E/D)과 왜건(S124, TE/TD), 쿠페(C124, CE/CD), 컨버터블(A124, CE)로 출시되었고 총 전장 5.5m의 롱휠베이스 옵션도 있었다. 왜건 모델의 경우 짐을 실었을 때 차고를 보정해주는 유압식 셀프레벨링 서스펜션이 추가되었으며 트렁크 바닥을 들어올리면 2명이 앉을 수 있는 보조시트가 수납되어있다. 쿠페와 컨버터블은 B필러가 없고 프레임리스 도어 구조였으며 1996년까지 생산했다. 이 모델부터 후륜 기반의 사륜구동 시스템인 4매틱이 도입되었다.

1993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비로소 E 클래스라는 차명을 갖게 되었고, 트림명도 3자리 수 + 명칭에서 명칭 + 3자리 수로 바뀌었다. [9] 페이스리프트 전까지는 KE-Jetronic이라는 반기계식 연료공급장치를 사용했고 이후 전자식 연료 분사 시스템인 모트로닉으로 전부 변경되었다.

최종연식인 1995년에 단종 직전 마지막 한정판인 '마스터피스' 트림이 추가되었다. 조수석 에어백 추가, 우드 기어봉 및 우드 인테리어, 뒷좌석 창문 및 뒷유리 수동식 롤러 썬블라인드 등의 옵션이 적용되었으며 트렁크 우측 상단에 필기체 형식의 'Masterpiece' 엠블럼이 부탁되었다. 대한민국에도 정식 수입되어 상당수 있다.

1986년에 선보였던, 한때 페라리와 붙었던 AMG Hammer가 이 플랫폼과 W126에서 나왔다.

자세한 내용은 W124 AMG 참조바람.

뿐만 아니라 1990년부터 1994년까지 포르쉐와 합작으로 만들었던 E500[10]도 이 플랫폼에서 나왔다.

W124의 후륜구동 플랫폼은 체어맨(1세대)에 적용된 플랫폼의 모태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W124모델이 체어맨과 많은 부품이 호환된다고 한다. 다만 호환만 정상적으로 될뿐이지 체어맨 부품을 쓰면 차의 성격 자체가 달라져버린다. 체어맨의 경우 대한민국 소비자의 입맛에 맞게 물렁물렁한 승차감이 구현되게 하기 위해 댐퍼나 부싱을 다소 무르게 세팅하여 서스펜션 부품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체어맨 부품을 쓰면 기존의 탄탄한 승차감은 사라지고 물침대 마냥 차가 출렁거린다고 한다. 그래서 역으로 체어맨 동호회에서는 탄탄한 승차감을 위해 W124용 보쉬-삭스 댐퍼를 수입해서 끼우는 경우도 있다. 이 W124 플랫폼은 쌍용자동차가 체어맨 H를 단종시킬 때까지 무려 30여 년간 쓰이게 되었다.[11] 그러나 승용차 이외에는 코란도 투리스모로디우스로 출시된 2004년부터 단종된 2019년까지 이 플랫폼을 사용되었다. 1984년부터 2019년까지 약 35년간 사용된 셈이니 참으로 장수만세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1987년 수입차 딜러의 정식 진출이 허가된 이후 이 모델부터 한성자동차를 통해 정식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당시 고소득층에게 큰 인기를 얻어 1995년 단종될 때까지 적지 않은 숫자가 판매되었다.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 덕에 단종된 지 30년이 다 되어가는 2024년 현재에도 국내에 상당히 많은 잔존대수가 남아있다.[12]

3.6.1. 제원

E/세대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독일|]][[틀:국기|]][[틀:국기|]]
코드네임 W124
차량형태 4도어 세단
승차인원 5명
전장 4,740mm
전폭 1,740mm
전고 1,446mm
축거 2,830mm
윤거(전) 1,497mm
윤거(후) 1,488mm
타이어 크기 185/65R15
구동방식 FR

3.6.2. 라인업

<rowcolor=#212529> 가솔린 모델 디젤 모델
<rowcolor=#212529> 모델 엔진 연료공급방식 생산 기간[13] 모델 엔진 생산 기간
200/200E 직렬 4기통 2.0L M102 K/KE-Jetronic '84~'92 200D 직렬 4기통 2.0L OM601 '86~'89
200E/E200 직렬 4기통 2.0L M111 Motronic '92~'94~'96 250D 직렬 5기통 2.5L OM602 '86~'89
220E/E220 직렬 4기통 2.2L M111 Motronic '92~'94~'96 250D Turbo/300D-2.5 직렬 5기통 2.5L OM605 Turbo '90~'93
230E 직렬 4기통 2.3L M102 KE-Jetronic '84~'92 E250 D 직렬 5기통 2.5L OM605 '93~'96
260E 직렬 6기통 2.6L M103 KE-Jetronic '87~'90 300 D 직렬 6기통 3.0L OM603 '86~'93
300E-2.6 직렬 6기통 2.6L M103 KE-Jetronic '90~'92 300 D Turbo 직렬 6기통 3.0L OM603 Turbo '87~'93
280E/E280 직렬 6기통 2.8L M104 Motronic '93~'94~'96 E300 D 직렬 6기통 3.0L OM606 '93~'96
300E 직렬 6기통 3.0L M103 KE-Jetronic '86~'92
300E/E320 직렬 6기통 3.2L M104 ME→MSE '92~'94~'96
300E-24V 직렬 6기통 3.0L M104 KE-Jetronic '90~'93
400E/E420 V8 4.2L M119 Motronic '93~'94~'96
500E/E500 V8 5.0L
119.974
LH '91~'93~'94
E60 AMG V8 6.0L M119 Motronic '93~'94
변속기는 기본적으로 전자식 4단 변속기(722.4, 4G-Tronic)이 적용되었고 북미시장과 일부지역에는 전자식 5단 자동변속기(722.5)[14] 가 장착되었다.

3.6.3. 파생형 및 특수모델

파일:E500-1.webp
파일:e500-2.jpg
500E / E500
1993년에 E클래스로 네이밍이 재편됨에 따라 E500으로 차명이 바뀌었다. 그리고 이 차를 베이스로 1994년에 AMG에서 배기량을 늘린 E60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 이전에도 이미 메르세데스-벤츠는 준대형 세단을 베이스로 한 AMG 모델들이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E클래스라고 호칭되는 모델들은 W124 모델들이 최초이기 때문에 W124 E60 AMG가 최초의 E클래스 AMG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R129 SL60 AMG에도 장착되는 M119 6.0리터 V8엔진을 장착했으며, 5500 RPM에서 381마력을 냈고 3750 RPM에서 59.2Kgm의 토크를 냈다. 최고속도는 250Km/h이고, 제로백은 5.2초, 제로이백은 19.8초로 상당히 빠른 편이었지만, 생산 기간이 2년 정도로 짧아 판매량이 많진 않았다.
좌핸들 모델만 생산되었는데도 버블 경제의 영향으로 꽤 많이 팔렸는지 아직도 일본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단지 대한민국으로는 해외 6개월 거주 후 이삿짐으로 처리하는 것 외에는 아니면 들여올 방법이 없기에 사실상 보기가 어렵다. 돈이 여간 많이 드는 것이 아니다.[17] 포르쉐가 만든 벤츠라는 의의가 있기에 클래식카 시장에서 빠르게 가치가 올라가고 있는 차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6.4. 고질병 / 내구성

3.6.5. 구매 가이드

3.7. 7세대 (W210/S210, 1995~2002)

파일:36UYxpZ.jpg
W210
차량 제원
구동방식 후륜구동(FR)/AWD(4MATIC)
승차인원 5인승
전장 4,795~4,818mm
전폭 1,799mm
전고 1,433~1,451mm
축간거리 2,833mm
공차중량 1,510kg~1,670kg


1995년말 부터 생산된 모델로, 기존의 각진 디자인을 벗어던지고, 직선적이고 부드러운 디자인으로 탈바꿈했으며, 2개의 타원으로 분할된 트윈 헤드램프가 특징이다.[26] 세단과 웨건 형식만 나왔으며, 쿠페와 컨버터블은 CLK라는 독립적인 모델로 떨어졌다.[27]

앞 서스펜션은 맥퍼슨 스트럿에서 더블 위시본으로 바뀌었으나 W124처럼 스프링과 댐퍼가 별체식이다. 세계 최초로 사이드 에어백이 문에 내장되었고, ASR과 ESP도 장착되는 등 안전성을 높였다. 속도감응식 파워 스티어링(Servotronic)과 풀 오토 에어컨, 내비게이션 등 편의 사양도 다수 적용되었다. 클래식, 엘레강스, 아방가르드 트림도 이때 처음 선보였다.[28] AMG에서 고성능 모델도 생산되었는데, 3.6L(일부시장에 400대 이하의 소량이 판매), 5.0L 모델이 생산되었다. 초기형인 E50 AMG는 DOHC 32V M119엔진을 탑재하여 347마력을 발휘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한정판인 E60과 E63도 소량 제작되었다.

1998년에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었으며, 전기형과 후기형은 앞범퍼와 펜더 연결선의 변경과 안개등, 후방 후진등 디자인에서의 차이를 빼고는 디자인 상으로는 거의 비슷하다. 후기형부터 통풍시트와 전방주차센서(Parktronic)를 선택할 수 있었다. 다만 대한민국 정식수입된 차량들은 E320부터만 선택할 수 있었다. 후기형 오디오에서 특이한 점은 CD체인저와 메인데크를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음질이 좋다. AMG 모델 역시 냈는데 후기형인 E55 AMG는 엔진이 M113으로 변경되면서 배기량이 500cc 늘었음에도 SOHC 24V인 탓에 354마력으로 출력이 얼마 늘지 않았다. E55는 대한민국에도 출시되었다.

3.7.1. 라인업

가솔린 모델
<rowcolor=#212529> 모델 엔진 생산 기간 비고
E200 직렬 4기통 2.0L M111 1996~2001 자연흡기
E200K 2001~2002 슈퍼차져 (Kompressor) 장착, 192hp
E230 직렬 4기통 2.3L M111 1996~2001 150hp
E240 V형 6기통 2.6L M112 2000~2002 E240인 네이밍과 달리 실제 배기량은 2.6임, 170hp
E280 직렬 6기통 2.8L M104 (1996~1999)
V형 6기통 2.8L M112 (2000~2002)
1996~2002 M112는 SOHC 18V, 197hp
E320 직렬 6기통 3.2L M104 (1996~1999)
V형 6기통 3.2L M112 (2000~2002)
1996~2002 M112는 SOHC 18V, 224hp
E36 AMG 직렬 6기통 3.6L M104 1996~1997 DOHC 24V, 유럽사양
E420 V8 4.2L M119 1996년만 DOHC 32V, 279hp
E430 V8 4.2L M113 1998~2002 SOHC 24V, 279hp
E50 AMG V8 5.0L M119 1997년만 DOHC 32V, 유럽사양, 347hp
E55 AMG V8 5.5L M113 1998~2002 SOHC 24V, 354hp
디젤 모델
E200D 직렬 4기통 2.0L OM604 1996~1998 DOHC 16V
E200 CDI 직렬 4기통 2.0L OM611 1998~2001 DOHC 16V, 커먼레일 적용
E220 CDI 직렬 4기통 2.2L/2.1 OM611 1998(2.2L), 1999~2001(2.1L) DOHC 20V, 커먼레일 적용, 125hp(1996~1998), 143hp(1999~2001)
E250D 2.5L 직렬 5기통 OM605 1996~1998 NA/터보 두종류
E270 CDI 2.0L 직렬 5기통 OM612 1998~2001 커먼레일 적용, 170hp
E290D 2.9L 직렬 5기통 OM602 1996~1998 SOHC 10V, 127hp
E300D 3.0L 직렬 6기통 OM603 1996~1998 DOHC 24V, NA/터보 두 종류, 177hp
E320 CDI 3.2L 직렬 6기통 OM613 1998~2001 DOHC 24V, 커먼레일 적용, 197hp
디젤 모델은 대한민국에 정식 수입이 되지 않았고, 매우 적은 수의 직수입 차량이 존재한다. 2.2 OM611 4기통 차량이 대부분이며 전 차량 직렬 엔진을 사용했다.[29]

변속기는 1997년까지는 4단 자동, 그 이후에는 모두 동일하게 5단 자동이다. 고맙게도 쌍용 체어맨과 동일한 변속기라서 관련 소모품이 모두 호환된다.

3.7.2. 파생형 및 특수모델

3.7.3. 고질병, 수리/구매 가이드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8. 8세대 (W211/S211, 2002~2009)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mercedes-benz_e320_7.jpg
파일:fPBSC3r.jpg
전기형 후기형
차량 제원
대한민국 출시모델 기준
차량가격 5,950만원~10,590만원[37]
구동방식 후륜구동(FR)/AWD(4MATIC)
승차인원 5인승
전장 4,820mm
전폭 1,820mm
전고 1,485mm
축간거리 2,855mm
공차중량 1,540kg~1,790kg

2002년에 선보인 W211은 W210과 비슷한 타원형 헤드램프를 살짝 기울여서 디자인 기조를 이어나갔으며, 뒷모습은 당시 판매되던 W220 S클래스와 비슷하다. W210까지 적용하던 싱글 와이퍼를 포기하고 일반적인 2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와이퍼로 바뀐다.

2006년에 출시한 후기형은 라디에이터 그릴이 후속인 W212 초기형과 비슷하게 변했고, 앞 범퍼가 V자로 약간 구부러져 있다. 도어와 일체형으로 붙은 사이드미러는 아랫부분만 이어지도록 변경했다. 테일램프도 살짝 바뀌었다.

W211의 플랫폼은 벤츠가 크라이슬러와 합병했던 시절 LX 플랫폼을 개발해 크라이슬러 300, 닷지 차저, 닷지 챌린저의 모태가 되었고, 쿠페형 세단인 CLS도 이때 선보였다. V6 3.0L 디젤 엔진(OM642)은 300의 유럽형 사양 및 대한민국 판매 사양에 들어갔으며, WH형 그랜드 체로키에도 들어갔다.

대한민국에서 유독 E55 AMG의 인기가 엄청났었다. 2004년 즈음, 부동산 호황으로 대한민국에 고성능 수입차 붐이 일던 시절에[38], 양재동 오토갤러리의 고성능 수입차들의 절반 가까이가 E55 AMG였다. V8 5.4 슈퍼차저 엔진으로 476마력에 71.5kgf·m라는 괴물같은 토크를 자랑했으며[39]라이벌인 아우디 C5 RS6(450마력)나, 재규어 S 타입 R(420마력)을 가볍게 이겼다.[40] 또 설계 마진을 크게 잡는 벤츠 엔진 특성상 튜닝에 있어 잠재력도 상당하고 슈퍼차저까지 장착돼서 ECU 맵핑만으로 후속 차종인 E63 AMG를 롤링에서 뒤로 보내버릴 정도의 무시무시한 저력을 발휘했었다.[41] 그래도 슈퍼카에 달려 했던 V10 5.0에 트윈 터보를 달아 580마력을 내던 신형 C6 RS6을 이기지는 못했다.[42] 이 쪽은 당대 아우디에서 가장 빨랐고, 직빨은 R8도 털어버리기로 유명했다.[43]

이 세대부터는 아직도 길거리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전 세대인 W210은 수입차의 벽이 지금보다 훨씬 높던 시대의 차라 판매량이 이후 모델들보다 적었고, 수출 혹은 폐차된 차도 적지 않다. 반면 W211이 팔리던 시절에도 여전히 수입차의 벽은 높았어도[44] 뉴 그랜저체어맨 등을 90년대에 출고해서 타던 부유층들의 차량 교체 수요로 인해 판매량이 적지 않았고 단종된 지 15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출시된지 20년이 넘은 지금 봐도 고급스럽고 클래식한 디자인 덕에 독일차 매니아들에게도 인기가 많은 모델이다.[45]

3.8.1. 라인업

가솔린 모델
<rowcolor=#212529> 모델 엔진 생산 기간 비고
E200K 1,795cc M271 (I4)[46] 2002~2007
2007~2009
120kW, 161hp , 슈퍼차져(Kompressor) 장착
135kW, 181hp , 슈퍼차져(Kompressor) 장착
E240 2,598cc M112 (V6)[47] 2002~2005 130kW, 175hp , SOHC 18V
E280 2,996cc M272 (V6) 2005~2009 170kW, 228hp , DOHC 24V
E320 3,199cc M112 (V6) 2002~2005 163kW, 218hp , SOHC 18V
E350 3,498cc M272 (V6) 2005~2009 200kW, 268hp , DOHC 24V
E500[48] 4,966cc M113 (V8) 2002~2005 225kW, 302hp , SOHC 24V
E550[49] 5,461cc M273 (V8) 2005~2009 285kW, 388hp , DOHC 32V
E55 AMG 5,439cc M113 (V8) 2002~2006 350kW, 469hp , SOHC 24V
슈퍼차져(Kompressor) 장착
E63 AMG 6,208cc M156 (V8) 2006~2009 378kW, 507hp , DOHC 32V
디젤 모델
<rowcolor=#212529> 모델 엔진 생산 기간 비고
E220 CDI 2,148cc OM646 (I4) 2003~2006
2006~2009
110kW, 148hp
125kW, 168hp
E270 CDI 2,685cc OM647 (I5) 2003~2005 130kW, 175hp (5기통 단종)
E320 CDI 3,222cc OM648 (I6)
2,987cc OM642 (V6)
2003~2005
2005~2009
150kW, 201hp
165kW, 221hp

특이사항
- 대한민국에 정식 수입된 99%이상의 디젤 차량 라인은 E220 CDI이다.
- 전기형(2002~2006) 기준으로 E500[50]을 제외한 나머지 라인업은 5단 자동변속기(722.6xx) 적용.
- 후기형(2006~2009) 기준으로 4기통, AMG를 제외한 나머지 라인업은 7단 자동변속기(722.9xx) 적용.

3.8.2. 초기 결함, 고질병, 구매 가이드

초기 결함
고질병
구매 가이드
* 윗 내용을 얼핏보면 고질병 천지인 애물단지 E클래스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어떤 엔진을 사용했는가에 따라서 옵션과 세팅이 달라지면서 차량의 고질병이 달라지므로 실제 차량을 구매했을 땐 위에 나온 모든 고질병을 겪지 않는다. 또한 동시기의 독일 3사 차종 중 가장 고질병이 적은 모델이기도 하다.

3.9. 9세대 (W212/V212/S212/C207/A207, 2009~2016. 4.)

파일:E클래스 W212 (Front).jpg
파일:이클 아방가르드.jpg
전기형 후기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9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10세대 (W213/V213/S213/X213/C238/A238, 2016. 3.~2023. 12.)

파일:benz e class w213 exclusive.png
파일:E클래스 W213 Facelift Exclusive (1).jpg
전기형 후기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10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11세대 (W214/V214/S214/X214, 2023. 8.~현재)

파일:E-Class Avantgarde 전면.jpg
파일:E-Class Exclusive 전면.jpg
전기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11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건사고

4.1. W211 후기형 공기흡입구 배치로 인한 침수

2010년 3월 중순에 E350 4MATIC 차주 중 한 사람이 빗물이 고인 코스를 지나가다 공기흡입구에 물이 들어가 엔진이 완전히 망가지는 사고가 발생했다는 신문기사가 등재되었다.

한성자동차에서는 "차량 사용설명서에 25cm 이상의 물이 고인 지역은 통과할 수 없다고 분명히 적혀 있다" 라고 했고 차량결함이 아닌 차주의 과실에 의한 사고이므로 무상수리가 어렵다고 하였고, 결국 그 차주는 5천 5백만원의 보험료와 함께 위약금 600만원+보험 할증료까지 낸 다음 폐차시켰다.

하지만 어떠한 신문기사에도 실리지 않은 1가지 중요한 사실이 있으니, 피해 차주가 탔던 2008년형 E클래스(W211)와 2010년형 E클래스(W212)와의 공기흡입구의 배치는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2008년형 E클래스의 공기흡입구 방향
2010년형 E클래스의 공기흡입구 방향

2008년형 E클래스는 공기흡입구 방향이 차 정면 중앙 통풍구가 아닌 땅바닥을 보는 형태이나 2010년형 E클래스는 바로 중앙 통풍구 정면으로 향하게끔 설계되어 있다. 2년전에 피해 차주가 E클래스를 구입했으니 2008년형이고 그만큼 공기흡입구에 의한 엔진 고장이 충분히 가능한 것이다.[67] 다시 말하자면 현 최신 모델은 더이상 공기흡입구에 물이 찰 확률은 그만큼 사라진 것이다.

다만, 배기구의 경우 일정 수위 이상의 물에서 주행할시 물이 역류되어 엔진에 들어가 실린더 및 헤드 부위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배기가스 배출의 효과로 가능한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최대한 빠르게 RPM을 유지하며 지나가는 것이 좋다.

정리하자면, W211(2003~2008년 생산)의 공기흡입구는 차량 하방을 향하고 있다. 물이 많이 고인 곳을 주행할 시, 주의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4.2. W212 에어백 미전개

2010년식 E300 엘레강스 차량이 에어백이 안터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해당 차량은 2년전에도 추돌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때도 에어백이 터지지 않았다고 한다. 사고 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방배 서비스센터에 수리를 맡긴 차량 주인 A씨는 차량이 크게 파손되는 충격에도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수리 기사에게 물었으나 돌아온 답변은 조사해 봐야한다는 것이었다. 이 후 약 2주 동안 에어백 미작동 원인에 대해 조사해 오던 메르데세스-벤츠 코리아는 대한민국에서 이유를 알 수 없어 독일 본사에 조사 의뢰를 해 놓은 상태라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계속 얼마나 걸릴지는 모른다는 태도로 대응 하였으며 차량 주인을 더 불쾌하게 만들었던것은 정비 담당자의 응대인 였다고 한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의 L 이사는 해당 차량 주인과의 통화에서 "결론적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이냐"며 "의무는 아니지만 100만원까지는 보상해 줄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A씨에게 격양된 목소리로 "우리가 잘못하거나 돈이 많아서 준다는 게 아니다. 그럴 의무도 없지만 선처해서 100만원을 주려는 것이다"고 다그친 것으로 전해졌다.

메르세데스-벤츠가 예전에도 S63 시동꺼짐 사고때도 고객을 무시하는 태도로 대응을 했었던 적이 있어서 비난을 받는 중이다.

반면 여기에 대한 반론은 다음과 같다.
이 사고의 경우는 욕이 아니라 오히려 칭찬을 받아야 할 일이다. 사진 한두장으로는 해당 사고의 충돌순간의 전반적인 상황을 판단할 수 없으며, 멀쩡한 A필러를 비롯해 승객 보호에는 이미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는 것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심지어 앞유리조차 멀쩡하다. 즉, 이 사고는 엔진룸에서 모든 충격을 잘 분산흡수하여 앞유리 및 캐빈룸이 완벽히 보호됨으로써 오히려 E 클래스의 충돌 흡수 설계의 우수성을 보여준 사진일 뿐이다. 위 사고와 같이 캐빈룸이 잘 보호되어 있는 경우 안전벨트만으로도 충분히 승객 보호가 가능하며 오히려 이 상황에서 에어백으로 인한 2차적 부상을 막기 위해 에어백이 터지지 않아야 하는것이 정상이다.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아서 다쳤다고 한다면 그것은 탑승자의 안전벨트 미착용에 의한 2차적 부상이며, 마치 사고만 나면 무조건 에어백이 터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차알못의 전형적인 억지주장일 뿐이다. 모든 사고는 안전벨트에 의해 1차적 승객 보호가 행해지는 것이며 에어백은 어디까지나 보조적 안전수단일 뿐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이 사고에서 벤츠가 욕먹을 부분은 담당자의 응대 뿐이지 차의 안전성이 아니다. 에어백은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사고에서 사람이 멀쩡한 이상 에어백이 안 터졌다는 것은 전혀 문제될 일이 아니다.

즉 에어백이 터질 만한 정도의 대형 사고가 아니기에 터지지 않았다는 것인데, 엔진룸에서 충격을 전부 흡수하고 A필러나 휀더, 전면 유리창 등 탑승자의 공간까지 차량이 피해를 입지 않았으므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았고, 그런 상황에서 오히려 에어백이 터지면 운전자가 더 피해를 입었으리라는 주장이다. 더 큰 사고였다면 안전벨트를 착용했더라도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과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없어 에어백이 전개되어야 하겠지만, 저 사고는 그 정도의 사고는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영상을 보면 마주오는 카니발과 벤츠 둘 다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가 크게 줄었기 때문에 저 정도 충격에 에어백이 전개되었다면 그것대로 문제였을 것이다.

4.3. W213 후기형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결함으로 인한 시동 꺼짐 현상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장착된 W213 후기형 모델에서 시동이 꺼지거나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는 48V EQ부스트가 장착된 S클래스, CLS, AMG GT 세단 등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

5. 기타

6.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경쟁 차종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191919>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A클래스 · CLA -
중형차 C클래스 · CLE 170 · 190 · C클래스 스포츠 쿠페 · CLC
준대형차 E클래스 · EQE · AMG GT 4-도어 쿠페 CLK · CLS · 500E
대형차 S클래스 · 마이바흐 S클래스 · EQS 슈투트가르트 200 · 400 · 630 · 300 · 뉘르부르크 460 · 770 · W31 · 380 · 290 · 260 D · 320 · 220 · 300 S · 219 · 600
그랜드 투어러 SL(7세대) 맨하임 350 · 500K · SL(4세대~5세대) · 300 · CL
로드스터 - SL(1~3세대) · SLK · SLC · SL(6세대)
스포츠카 AMG GT W08 스포트 로드스터 · S-시리즈 · 680S · 540K
슈퍼카 · 하이퍼카 AMG ONE CLK GTR · C1000 · SLR 맥라렌 · SLS AMG
준중형 SUV EQA · GLA · EQB · GLB -
중형 SUV GLC GLK · EQC
준대형 SUV GLE · EQE SUV M클래스
대형 SUV GLS · 마이바흐 GLS · EQS SUV ·
마이바흐 EQS SUV
GL
오프 로더 G클래스 · G580 with EQ 테크놀로지 G1 · G4 · G5
픽업 트럭 - X클래스
소형 MPV 시탄 · T클래스 · EQT 바네오
준중형 MPV B클래스 -
준대형 MPV - R클래스
대형 MPV V클래스 · EQV -
LCV 스프린터 L 319 · MB100/140 · T1 · T2 · 바리오
대형 버스 시타로 · 인투로 · 투리스모 · 투어라이더 O317 · O321 · O322 · O326 · O302 · O303 · O305 · O307 · O309 · O340 · O352 · O355 · O362 · O364 · O365 · O370 · O371 · O400 · O404 · O405 · O407 · O408 · 인테그로 · 트라베고
중형 트럭 아테고 · 악셀로 LK · NG · SK · 안토스
대형 트럭 악트로스 · e악트로스 · 아록스 · 악소르
특수 트럭 유니목 · 제트로스 · 이코닉 L1000 익스프레스 · L3 · L4 · LR · LG · L 6600 · 쿠르츠하우버 · LP 시리즈
군용차 - LG3000 · L3000 · L4500 · L5000 · L6500
기타 차량 - 페이턴트 모터바겐 · 빅토리아 · 벨로시피데
메르세데스-AMG의 차량
메르세데스-마이바흐의 차량
메르세데스-EQ의 차량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파일:198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5 유럽 올해의 차.jpg
포드 에스코트 르노 9 아우디 100 피아트 우노 오펠 카데트/복스홀 아스트라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파일:198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8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0 유럽 올해의 차.jpg
포드 스콜피오 오펠 오메가/복스홀 칼튼 푸조 405 피아트 티포 시트로엥 XM
역대 경합 후보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피아트 판다 오펠 아스코나 포드 시에라 푸조 205 르노 25
폭스바겐 폴로 볼보 760 폭스바겐 골프 란치아 테마
역대 경합 후보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아우디 80 시트로엥 AX 오펠 벡트라 메르세데스-벤츠 SL
메르세데스-벤츠 200-300E BMW 7시리즈 혼다 프렐류드 폭스바겐 파사트 포드 피에스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1] 원래 1980년대1980년부터 198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199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파일:201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2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201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3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201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5 유럽 올해의 차.jpg
닛산 리프 쉐보레 볼트 PHEV 오펠 암페라 폭스바겐 골프 푸조 308 폭스바겐 파사트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파일:201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7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201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20 유럽 올해의 차.png
오펠/복스홀 아스트라 푸조 3008 볼보 XC40 재규어 I-페이스 푸조 208
역대 경합 후보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BMW i3 시트로엥 C4 칵투스
폭스바겐 파사트 포드 포커스 볼보 V40 테슬라 모델 S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3위권 외 후보
포드 C-맥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이보크 포드 B-맥스 시트로엥 C4 피카소 포드 몬데오
시트로엥 DS3 피아트 판다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 마쓰다 3 닛산 캐시카이
볼보 S60 시트로엥 DS5 르노 클리오 스코다 옥타비아 BMW 2시리즈
다치아 더스터 토요타 야리스 푸조 208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르노 트윙고
역대 경합 후보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볼보 XC90 세아트 이비자 알핀 A110 테슬라 모델 3
마쓰다 MX-5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BMW 5시리즈 기아 씨드 포르쉐 타이칸
3위권 외 후보
아우디 A4 볼보 S90 기아 스팅어 포드 포커스 르노 클리오
재규어 XE 시트로엥 C3 시트로엥 C3 에어크로스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포드 퓨마
스코다 수퍼브 토요타 C-HR 아우디 R8 푸조 508 토요타 코롤라
BMW 7시리즈 닛산 마이크라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 BMW 1시리즈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1] 원래 2010년대2010년부터 201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면서 10년 단위를 맞추기 위해 202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모터트렌도 올해의 수입차.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파일:1990 닛산 300ZX.jpg 파일:1991 미쓰비시 3000GT.jpg 파일:1992 렉서스 SC.jpg 파일:1993 마쓰다 RX-7.jpg 파일:1994 혼다 어코드.jpg
닛산 300ZX 미쓰비시 3000GT VR-4 렉서스 SC 400 마쓰다 RX-7 혼다 어코드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파일:1995 닛산 맥시마.jpg 파일:1996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jpg 파일:1997 BMW 5시리즈.jpg 파일:1998 렉서스 GS.jpg 파일:1999 폭스바겐 뉴 비틀.jpg
닛산 맥시마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BMW 5시리즈 렉서스 GS 폭스바겐 뉴 비틀
1980년대 1990년대 폐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중앙일보COTY로고.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파일:2010 COTY (배경 X).png
파일:2011 COTY.png
파일:2012 COTY.png
파일:2013 COTY (배경 X).png
파일:2014 COTY.png
현대 쏘나타 기아 K5 아우디 A6 푸조 208 현대 제네시스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파일:2015 COTY (배경 X).png
파일:2016 COTY (배경 X).png
파일:2017 COTY.png
파일:2018 COTY.png
파일:2019 COTY (배경 X).png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제네시스 EQ900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기아 스팅어 현대 팰리세이드
2010년대 2020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모터트렌드 올해의 차.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2020 쉐보레 콜벳 스팅레이.jpg 파일:2021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jpg 파일:2022 루시드 에어.jpg 파일:2023 제네시스 G90.jpg 파일:2024 토요타 프리우스.jpg
쉐보레 콜벳 스팅레이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루시드 에어 제네시스 G90 토요타 프리우스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파일:2025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jpg 파일:승용차 예시.png 파일:승용차 예시.png 파일:승용차 예시.png 파일:승용차 예시.png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미정 미정 미정 미정
2010년대 2020년대 2030년대
올해의 SUV 부문
올해의 트럭 부문
올해의 퍼포먼스 카 부문
}}}}}}}}} ||



[1] E250 기준으로 520i보다는 비싸고 530i XDrive의 실구매가와 비슷했다.[2] 얼마나 잘 팔리냐면 한때 국민차 대명사격 모델로 통하는 현대 쏘나타의 판매량보다 많이 팔렸던 달도 있었을 정도였다.[3] 이는 5시리즈의 판매 통계를 보면 알 수 있다. 할인이 더 많아지는 12월에 유독 많이 팔린다. 가끔씩 540i 등 상위 트림은 2,000만원 이상 할인해 주기도 한다.[4] 옵션 장사도 요즈음 들어 심해져 배짱장사를 한다며 욕을 먹기도 한다.[5] 푸조 504와 W123형 E클래스는 아랍이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21세기 초반까지도 흔히 볼 수 있던 튼튼한 유럽제 FR 세단들이었다.[6] E200번대 트림으로 E300 4M 이상에 탑재되는 알루미늄 보디와 모노블록 4P 브레이크가 아닌 정비비가 저렴한 스틸 보디와 2P 브레이크의 염가형 하체로 구성한다. 또한 애초에 택시용 트림은 고장 날 만한 옵션 자체가 잘 달리지 않는다.[7] 특히 성능보다 내구 마진을 미칠 듯이 크게 잡는 벤츠 디젤 엔진과 벤츠 미션의 조합 덕분이다.[8] 공기 저항 계수 0.29는 현재에도 만들기 쉽지 않은 수치다.[9] 기존의 모델은 ***(C/T)E 였다면 1993년부터는 E*** 형식으로 트림을 지었다. 물론 CE니 TE나 하는것도 모두 통합되었다.[10] 벤츠가 네이밍 체계를 변경하기 전에 출시했을 땐 500E(5.0리터급 가솔린 세단)였으나 1995년 이후 작명법을 완전히 갈아엎으면서 알파벳이 앞으로 가게 되어 E500(E클래스의 5.0리터급 모델)이 되었다.[11] 그래도 오래 된 준대형차 플랫폼을 대형차인 체어맨에 사용하다 보니 좁은 차폭 등의 문제가 있다. 현 세대 쏘나타K5 등의 국산 중형차보다도 좁다.[12] 대부분은 정식 수입된 세단 모델이며, 왜건/쿠페/컨버터블 모델은 정말 찾기 어렵다. 그 중에서도 특히 컨버터블 모델은 국내 잔존대수가 한 손에 꼽을 정도로 적으며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도 컨버터블 모델이 개체수가 가장 적다.[13] 중간 년도는 모델 네이밍 변경[14] 기본적으로 4단 722.4 변속기와 구조가 같은데 오버드라이브인 5단이 추가되었다. 다만 락업클러치가 없어 항속연비가 크게 좋아지지는 않았고 5G-Tronic(722.6)부터 락업클러치가 들어갔다.[15] 경영난을 겪던 포르쉐에게 메르세데스-벤츠가 일감을 준 사례이다. 포르쉐의 기술만 V8 엔진을 위한 차체 설계 변경에 사용되었고, 생산은 포르쉐 공장에서 했지만 사실상 포르쉐의 부품은 전혀 들어가지 않은 말 그대로 기술 합작에 가까운 사례이며 이 때문에 아우디 RS2 아반트와 다르게 그냥 벤츠의 차량으로 보는 시선이 강하다.[16] 차 폭이 일반 W124보다 38mm 더 넓다[17] 10대 이하의 500E가 대한민국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견적 엔진배선 재생품 100만원 내외.[19] 기본적으로 전선은 설계자가 의도하지 않은 곳으로 전류를 흘리는 곳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재질의 피복을 씌워놓는데, 이 피복이 으스러져서 구리선이 노출되고, 이것이 마찬가지 사정인 다른 선과 맞닿는 순간 합선이 일어나 작게는 회로 자체에 대한 손상, 크게는 화재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20] 견적 200만원 내외.[21] 견적 PMS 모듈 재생품 150만원, 코일 신품 40만원 내외.[22] 처음엔 야구방망이로 가격하는 것으로 가볍게(?)시작해서 벨지안로드 주행은 기본, 물에 빠뜨렸다가 시동을 걸기도 하고, 몬스터 트럭으로 즈려밟고, 19세기 전장포로 뒷문을 직격했는데도 차체가 틀어지지 않아 문이 제대로 열리고, 결국 마지막엔 폭약으로 폭파해 버렸는데, 그러고도 와이퍼와 전기장치 일부가 작동했다.[23] W210까지 이 구조가 이어진다.[24] 접시처럼 생긴 두 발이 스프링 사이에 들어가서 나사를 조으면 스프링을 압축하는 구조다. 같은 플랫폼인 체어맨 역시 이 공구가 필요하다.[25] 알다사피 전후기형하고 눈에띄게 다른건 그릴밖에 없다. 다만 그릴이 매우 비싸고 후드까지 바꿔야하기 때문에 돈이 매우 많이 든다.[26]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높아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도 선정되었다고 한다. 후속인 W211도 W210과 패밀리룩을 이루었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올드카 동호회에서 '왕눈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27] 그러나 코드네임 W208인 초대 CLK는 W202 C클래스 플랫폼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W210의 디자인 정체성만 물려받았을 뿐이지, 기술적인 연관성은 없다.[28] 세 개의 트림은 옵션이 조금씩 다르다.[29] 디젤에서 V6이 들어간 것은 바로 이 다음 세대인 W211 부터이다.[30] 부품가 £ 300 이상[31] 2020년 기준으로 현재 독일 차량들도 계속 문제가 되는 부분인데, 이 차량은 누유를 내버려두면 주행불가에 빠지니까 긴급 정비가 필요한 것이다.[32] E클래스 다음 세대인 W211에는 5단 변속기의 문제를 개선한 722.9xx가 들어갔다.[33] 실제로 리스토어에 일가견이 있다는 업체나 동호인들도 차체 외판이라면 모를까, 서스펜션 마운트 주변 부위가 삭아서 으스러진 경우라면 폐차를 권고한다[34] 쌍용을 통해 부품을 구하기는 쉬우나 부품 값이 저렴한건 아니다. 쌍용 부속도 벤츠 부품을 포장갈이만 한거라 은근히 비싸다. 부품 값이 부담되면 해외에서 애프터마켓 부품을 사는게 싸다.[35] 엔진, 미션 오버홀 및 소모품 교환, 하체교환, 부식 정리 등으로 천만원 내외.[36] 수입차는 장치의 개발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세단은 지상고가 낮아 장착할 공간 자체가 나오지 않는다. 거기다가 신규 장치 인증 과정이 매우 까다로워 개인 차원에서 성공한 케이스가 없다.[37] E55 AMG 모델은 1억 6,590만원이었다.[38] 일본보다도 대한민국에 최신 슈퍼카가 더 많던 시절이었다.[39] 이마저도 출력은 SL 55에 달린 500마력을 디튠한 것이다. 그러나 토크는 그대로인 채로 엔진 출력만 낮아진 덕에 저중속 가속력이 더 높아지는 이점을 가져왔다. 최고속도야 어차피 250km/h 제한에 걸리므로...[40] 이 때문에 밤 12시만 지나면 과속 단속 카메라를 일부만 켜놓아 폭주족들의 놀이터나 다름없었던 인천공항 고속도로와 자유로에서 폭주족들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절대 패왕의 위치를 3년 넘게 차지했었다.[41] 63보다 마력은 딸리지만 토크는 훨씬 높다. 참고로 63은 자연흡기고 55는 슈퍼차저 엔진이다. 북미 등지에선 63에다가 슈퍼차저를 달기도 했던 모양이다.[42] 본래 아우디 R8에 달렸어야 할 엔진이다. 갸야르도의 610마력짜리 엔진을 출력만 약간 디튠해서 그대로 넣었는데, 과열 문제로 테스트 중 화재가 나서 RS6에만 달리게 되었다.[43] 4.2 V8뿐만 아니라 5.2 V10도 이겼다.[44] 당시 국산 최고급차인 에쿠스 1세대보다 E클래스가 훨씬 비쌌다.[45] 전작의 디자인을 담습하여 현역으로 판매될 당시에는 파격적이었던 디자인의 E60에 비해 단점으로 꼽혔던 요소이지만, 현재는 오히려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46] 직렬 4기통이라는 의미. inline의 약자로 'I'를 쓰며, 때로는 Linear의 약자로 'L'로 표기하기도 한다. 둘 다 똑같은 뜻.[47] V형 6기통이라는 의미.[48] 북미 직수형.[49] 캐나다 직수형.[50] 북미 직수형.[51] 부품: 몇만원. 정비 비용: 300만원 이상.[52] 애프터마켓 신품 견적 150만원.[53] 차량 내 각종 전자장비 모듈이 캔 통신을 할 때 중간다리(컨트롤) 역할을 하는 모듈.[54] 정품 견적 28만원.[55] 북미서 연료라인 누유가 심각한 이슈로 자리잡았고 그에 따른 리콜 조치가 진행되었으며 이로인해 일체형으로 판매되었다.[56] 부품(정품): 개당 100~140만원.[57] M272, M273 엔진에는 총 4개 달려있는데, 엔진오일 관리 미흡 및 텐셔너 불량으로 증상이 발생한다. 즉, 관리 소홀 문제.[58] 캠마그넷 1짝당 4만원, 개선배선 1개당 4만원.[59] 해당과 같은 심각한 경우에는 ECU, 캠마그넷, 하네스 등의 교체가 필요하며 총 견적이 400만원 수준이다.[60] 부러진 부분만 수리시 부품가 5만원(분해+수리 공임비가 40만원정도 나온다. 헐..). 어셈블리(통째) 교체시 부품가 50-70만원.[61] 재생품 견적 1짝당 50-70만원.[62] 대한민국 정식 출고 기준.[63] 정품 견적 150만원.[64] '메르세데스'는 여자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65] 대부분 500만 원에서 1,000만 원 사이에 판매되며, 히스토리가 확실하고 관리가 잘 된 차량은 천만원 초반까지도 가격을 형성한다.[66] 이 당시 독일 3사 모델 중 내구성이 좋지만 그래도 고급 수입차량이다. 게다가 엔진, 변속기 고장 이슈가 있기 때문에 차량 구매가를 제외한 수리비 1,000만원(애프터마켓+재생품 기준이며 정식센터 이용시 수 천만원.)은 염두에 두고 구매하지 않으면 정신적 물질적 피해가 만만치 않다. 중고차 문서 참조.[67] 이것은 대한민국 특유의 도로사정을 잘 파악하지 못한 벤츠의 잘못에 크게 기인했다. 독일의 기후와 대한민국의 기후는 아주 다른 편은 아니지만, 대한민국의 도로에서 배수도가 설치된 도로보다 설치되지 않은 도로가 상당수 있고, 설치가 되었다 하더라도 수용가능한 배수구의 크기에 비해 대한민국의 평균 여름 강수량을 비교하면 배수구의 크기가 부족하고, 자연 배수를 기대하기 어려운 코스의 경우 말 그대로 돈내고 지옥행으로 엔진을 고인취급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68] 정확한 차종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내부 인테리어 상 E 400 익스클루시브 모델로 추정. 그런데 여기엔 나름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데 차량 구매를 고민하던 당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최소 1~2년 정도 이후에 출시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2020년식을 덜컥 구매했으나 구매한지 2달만에 풀체인지 급으로 변해버린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는 바람에 신차 출고 기분을 1년도 즐기지 못하고 구형 모델이 되어버렸다는... 거기에 더해 전기형에서 논란이 된 9단 변속기로 인한 불량한 페달 위치 문제 때문에 케인 본인도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덕분에 시청자들한테 틈만나면 구형 벤츠라며 놀림받는다. 그나마 팬들에게 구형이 신형보다 디자인이 낫다고 위로해주고는 있으나... 거기다 모모88이 세차 방송 중 '4MATIC'의 'C'를 떨어뜨리며 C없는 구형벤츠라는 별명도 붙었다.[69] 이전에 타던 차량은 8년간 탔던 W205 C 220d라고 한다.[70] K9은 F세그먼트 대형차로 차급은 더 위지만, 가격대가 E클래스보다 좀 더 낮은 수준이며, 기아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들의 E세그먼트 세단들을 경쟁 모델로 지목하였으므로 경쟁 차종으로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