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멤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colbgcolor=#7f7377><color=#e7e8da> 종영 당시 멤버 ||
박명수 [[박명수/무한도전| /무한도전]] | 정준하 [[정준하/무한도전|/무한도전]] | 유재석 [[유재석/무한도전|/무한도전]] | 하하 [[하하(가수)/무한도전|/무한도전]] | 조세호 [[조세호/무한도전|/무한도전]] | 양세형 [[양세형/무한도전|/무한도전]]이전 멤버 전진 [[전진(신화)/무한도전| /무한도전]] | 길 [[길(가수)/무한도전|/무한도전]] | 노홍철 [[노홍철/무한도전|/무한도전]] | 정형돈 [[정형돈/무한도전|/무한도전]] | 황광희 [[황광희/무한도전|/무한도전]]기타 관련 인물
문서가 없는 정규편성 이전 멤버는 무한도전/멤버 문서 참조김태호 | 여운혁 | 제영재 | 김란주| 기타 출연진 | 제작진 | 표영호 [[표영호/무한도전| /무한도전]] | 김성수 [[김성수(쿨)/무한도전|/무한도전]] | 이윤석 [[이윤석/무한도전|/무한도전]]
- [ 프로그램 구성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 color=#7f7377><colbgcolor=#7f7377><color=#e7e8da> 역대 시즌 ||
무모한 도전(1기) | 무리한 도전(2기) | 무한도전/퀴즈의 달인(2.5기) | 무한도전(3기) 방영 목록 독립 이전 | 2006년~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역대 코너와 특집 | 무산된 특집프로그램 구성 역대 변천사 | 프로그램 구성 (자막 | 마스코트) | 가요제 | 추격전 | 공포 특집 | 달력 특집 |
스포츠 특집 | 공연 특집 | 기념 특집 | 무한상사 | 무한뉴스 | 일찍 와주길 바라 | 10주년 대기획
- [ 캐릭터 · 밈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7f7377><color=#e7e8da> 캐릭터 및 부캐 ||
캐릭터 및 소그룹 | 1인자와 2인자 | 거성 | 하와 수 / 토크 | 유돈노 | 신구데블스 |
번지점프 팀 | 무한재석교 | 미존개오 | 쩌리짱 | 뚱스 | 휴먼광희체 | 햇님달님 |
하이브리드 샘이솟아 리오레이비 | 하찮은 | 대북곤 | 방배동 노라 정준연 | 테리 정무한상사 무한상사 등장인물 | 유재석 부장 (유 본부장) | 박명수 차장 | 정준하 과장 | 정형돈 대리 |
노홍철 사원 | 하동훈 사원 | 길성준 인턴 → 사원 | 황광희 인턴 → 사원 | 권지용 사원유행어 및 밈 해골|무한이기주의 | 불장난 댄스 | 안녕하셨쎄요 | 쌩얼 | 보고 있나 | 홍철 없는 홍철팀 | 저질 댄스 | 족발당수 | 쩜오 | 행쇼 | 무리수 | 형이 왜 거기서 나와 | 히트다 히트 | 휴먼광희체 | 무야호 | 앵귀리지 한인회관 | 사랑아 보영해 | 박보검~나 웃겨 | 엄마 나 이번에 퇴비쌓기 올리기 1등 했어요 | 힘을 내요 슈퍼파월 | 북극곰은 사람을 찢어 | 하하 유니버스 | 자 이게 클릭이야 | 네가 하면 나도 한다 | 아유... 하기 싫어... |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 오빠, 나 몰라?| 출바알 | 이제는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 | 쪼쪼 댄스 | 모든 미디어가 나예요 | 3대 킬러 | 3대 미스터리
- [ 관련 문서 ]
[clearfix]
1. 개요
무한도전 내에 등장하는 그래픽 요소를 설명한 문서.2. 특징
2.1. 무도리
무한도전의 BI이자 각 에피소드를 상징하는 로고에 쓰이는 무한도전을 대표하는 정식 마스코트. 왕관을 쓴 물음표 모양의 캐릭터이다.
독립 프로그램이 되기 전이었던 퀴즈의 달인 시절인 2006년 1월 14일 방송에 처음 등장하고 매 특집마다 다양한 형태로 선보이고 있다. 캐릭터 공모전을 통해 무도리를 대체할 다른 캐릭터를 모집했지만 실패했다.
2012년 8월 11일 무한도전 로고가 변경되면서 무도리와 왕관이 더 둥글어졌다.
무한도전 인트로와 아웃트로 영상은 항상 무도리를 그리면서 시작하였다.
여담으로 나온 지 10년이 넘어서야 정식적인 이름이 나왔다. 이후 이를 소재로 활용한 무도리 GO가 방영되기도 했다.
2.2. 해골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무한도전/해골 문서 참고하십시오.2.3. 자막
무도의 재미 요소의 반은 자막이라고 할 정도로 자막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기존 예능에 비해서 출연진의 대사에 자막을 많이 다는 편. 다양한 자막들이 특집별로 변형돼서 나온다. 아래는 그 예시. 그 이전 예능은 어디까지나 중요한 대사나 상황의 설명을 자막으로 써 넣는 수준이었으나, 무한도전을 기점으로 많은 예능에서 좀 재밌다 싶은 출연진의 말이나 제3자 입장에서의 말을 써넣는 경향이 생겨났다. 대표적으로 형이 왜 거기서 나와도 자막으로 만들어진 것이다.[1]
초창기인 2006년에는 자막이 완전 정립된 시절이 아니라서, 출연진들이 말할 때 나오는 자막이 윤고딕200이 아닌 HY각헤드라인M체였고, 또 2006 수능 특집에서 지적할 정도로 오탈자가 상당히 많았다. 또한 궁서체의 빈도도 상당히 많았고, 지금 와서는 낯부끄러운 자막들도 많았다. 이때까지만 해도 한국 예능 자막 디자인이 상당히 촌스러웠고 무도 역시 그러했다. 그러다 무한도전이 본격적으로 자리잡은 2007년 무인도 특집을 기점으로 자막 스타일이 크게 변하여, 익숙한 전성기 때의 자막 스타일로 바뀌었다.
"박지성 버금가는 공간창출 능력"[2], "등 푸른 어린이가 더 어울릴 듯"[3], "무슨 카레도 아니고..."[4] 같이 출연자에게 딴지를 걸거나 드립을 치는 찰진 자막을 달거나 하면, 김태호PD의 마음을 대변하는 궁서체는 이미 무한도전에 없어서는 안 될 또 하나의 재미가 되었다. 또한 당시 어떤 이슈가 생긴다면, 그 이슈나 유행어를 적극 반영하는 노력도 보여주어 젊은층을 사로잡는 데 한 몫을 하기도 했다.[5]
풍자 자막 역시 무한도전 자막이 인기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선거가 있는 특집에서는 "시장 올 땐 잠바 입고 왔어야지!"나, 국회의사당을 배경으로 두고 "소들아... 일 좀 해라..."같은 정치 풍자를 하거나, 자사 뉴스프로그램에서 일어난 병크인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을 이글루에 빗대어 풍자하기도 했다. 다만 이명박근혜 대통령 시기 "미국산 소 쓰러지듯", "미국산 소 백스텝으로 쥐 잡은 격" 등 일부 자막은 현재 와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데, 방영 당시 - 특히 전성기때는 보수 정부의 똥볼이 상당히 많은 터라 통쾌하다는 반응이 상당히 많았다[6] 일부 특집에서 "사회에서 즐기는 마지막 햄버거"[7], "드디어 기어나온 잔진"[8], "갓 구워낸 홍철을 보는 느낌"[9] 등 부적절한 자막으로 인해 크고 작은 논란에 휩싸인 적은 있다.
2.3.1. 글꼴
위의 김태호 PD의 자막 말고도, 시의적절한 글꼴 역시 큰 인기를 끌었다.궁서체 |
불탄고딕체 |
윤명조 |
아래는 2008년경[10]부터 쓰이고 있는 기본적인 주요 자막들의 디자인.
상황 설명에는 검은색 테두리에 주황/하늘/검정이 들어간 윤체, 대사에는 하늘색 배경[11] 위에 파랑/빨강색의 윤고딕 200, 미션이 제시될 때에는 검정/빨강/파랑 테두리에 은색 글꼴인 수평선B체[12], 크게 외칠 때나 표정이나 감정 등을 나타날 때는 구름체[13]를 사용한다. 이러한 자막들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거의 모든 무한도전 에피소드에 사용 되어왔다.
이전까지는 특별한 대형 특집 때만 자막을 따로 꾸몄지만[14] 2011년 조정 특집부터는 매번 특집마다 그 특집에 어울리는 디자인의 자막으로 꾸미기 시작했다. 어떻게 보면 매회 CG담당 제작진들의 노고를 볼 수 있는 부분.
2014-02-08 무도탐정사무소 특집 자막 중 일부
2012년 중후반기 이후부터는 색상과 배경 디자인은 특집마다 다르게 대부분의 상황 설명, 대사, 외치는 대사 등의 거의 모든 자막 글꼴이 윤고딕300 계열의 글꼴로 쓰였다.[15] 하지만 기존 무한도전만의 독특한 자막 디자인을 좋아하던 혹자들의 입장에서는 매번 자막이 바뀌는 것을 썩 달가워하지 않기도 했다. 사실 2012년부터 대부분의 MBC 예능 프로그램들이 윤고딕300 계열 자막을 쓰다 보니 자막 디자인에 있어선 다른 프로그램과의 차별점이 줄어들기도 했고...
그렇게 특집 때마다 자막을 아예 다른 글꼴로 바꾸다가 2014년 2월 22일 자메이카 특집부터는 기존 무한도전이 쓰던 자막 글꼴은 유지하되 색상만 특집에 맞게 꾸미는 것으로 바뀌었다.[16]
2.3.2. 특집별 자막
2014년부터 2015년 1월까지의 특집에서 쓰인 자막을 모은 이미지다.[1] 정형돈은 실제로 이 말을 한 적이 없다. 당시 친분이 있던 서장훈이 잠깐 만나자고 불려나온 상황에 갑자기 유재석과 무도 제작진이 튀어나오자 당황해 멍한 표정으로 있었다. 그런데 그 상황에서 딱 형돈의 뇌리를 스칠 만한 말을 찰떡같이 자막으로 써넣었기에 명짤이 된 것.[2] 무한도전 지못미 특집 中.[3] 유재석이 무한도전 창작 동요제에서 파란 마음이라는 곡을 동요로 내놓다가 갑자기 고등어 얘기를 넣자 나온 자막.[4] 정형돈이 노홍철의 집에서 3분 만에 씻고 나오면서 단 자막.[5] 예를 들면, 런던 올림픽 1초 사태를 써먹거나, 미남이시네요 편에서 외쳐 2위 드립이 나온다던가...[6] 게다가 무한도전은 이후 김재철 재임 시기 시상식에서 푸대접을 받고, 징계도 계속 받았기에, 무한도전 팬들은 보수 정권을 굉장히 싫어했다. 특히 당시 사장에 의해 무한도전 폐지설이나 김태호 퇴출설이 한창 나돌 때는 아예 김재철 암살이란 연관검색어까지 나올 정도로 민심이 험악했다.[7] 하하 게릴라 콘서트 특집. 하하는 공익으로 군복무를 했기 때문에 어울리는 말이 아닐뿐더러 당시 하하의 구설수까지 겹쳐 상당히 논란이 된 자막이다.[8] 당시에는 전진이 불성실했기 때문에 큰 논란이 되지 않았으나, 추후 전진이 고생한 뒷배경과 김태호PD의 불화로 뒤늦게 논란이 된 케이스다.[9] 자메이카 특집. 흑인 래퍼 엘리펀트 맨이 등장할 때 이 자막을 기재했다가 인종차별 논란이 생겼다. 차라리 '갓 출하된', '데뷔 초창기', '싱싱한' 등의 자막이 적절했을 것이다.[10] 정립된 것은 2007년 12월 29일 방영된 '고맙습니다 콘서트' 특집이고 그 전의 글꼴이나 색상이 바뀌어 온 것까지 포함하면 사실상 2006년부터이다.[11] 한동안 무리한 도전 시절 로고가 배경에 박혀 있었다. 2009 서바이벌 동거동락 2부(2009년 8월 15일)부터 무도리로 변경.[12] 최초로 등장했던 당시에는 은색 글꼴에 빨강/주황으로 이어진 그라데이션이 배경으로 쓰였지만 2014년 2월부터는 배경이 회색 중심으로 이루어진 그라데이션으로 변경되었다.[13] 외칠 때는 노란색 배경, 표정은 초록 테두리의 구름 배경[14] 대표적인 예가 돈가방을 갖고 튀어라인데, 무한도전 특유의 자막 디자인을 완전히 버리고 흰색 배경에 검은색 테두리의 매우 심플한 자막 스타일을 선보였다. 이후 무한도전 미드나잇 서바이벌에서도 사용.[15] 모든 특집이 다 그렇지는 않다.[16] 그렇지만 일부 특집에서 소리를 외칠 때의 대사 자막은 그 전 특집 자막에 쓰였던 회색 배경의 윤고딕300을 종종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