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티베트 | 위구르 | 몽골 | ||||
오키나와 | 베트남 | 캄보디아 | 필리핀 | 미얀마 |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유럽 · 중부 유럽 |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네덜란드 | 독일 | ||||
폴란드 | 헝가리 | 오스트리아 | 체코 | |||||
동유럽 · 북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발트 3국 | ||||
남유럽 | ||||||||
스페인 | 이탈리아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
그리스 | 세르비아 | 코소보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바레인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예멘 | ||||
요르단 | 레바논 | 쿠웨이트 | 오만 | 이집트 | ||||
리비아 | 모로코 | 알제리 | 수단 공화국 | 튀니지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그린란드 | 과테말라 | 벨리즈 |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푸에르토리코 | 쿠바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바베이도스 | ||||
바하마 |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
에콰도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모리타니 | 라이베리아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
감비아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콩고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팔라우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나우루 | 솔로몬 제도 | 피지 | 사모아 | 통가 | ||||
다자관계 | ||||||||
파이브 아이즈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Quad | ||||
미국·캐나다·프랑스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아세안 | 미영일 | 한미일 | ||||
미중러 | 미중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미소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인도 | 아프가니스탄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카자흐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
유럽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아제르바이잔 | 아르메니아 | 튀르키예 | |||
아메리카 | |||||||
미국 | |||||||
다자관계 | |||||||
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 }}}}}}}}} |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Amerika Qo'shma Shtatlari | 우즈베키스탄 O'zbekiston Uzbekistan |
1. 개요
미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우즈베키스탄은 소련 해체 이후에 미국과 수교했다. 미국 내에는 소련 해체 전후하여 우즈베키스탄을 떠나 흩어진 메스케티 튀르크 난민 공동체가 존재한다. 그 외에도 미국으로 이주한 우즈베키스탄계 미국인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다. 극소수이긴 하지만 우즈벡 고려인계 미국인도 있다. 이들은 한국계,우즈베키스탄계,러시아계로 분류된다. 그러나 사실상 우즈베크나 러시아계 커뮤니티하고 친하지 한국계 커뮤니티하곤 딱히 큰 접점은 없다.[1]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우즈베키스탄은 독립 이후, 미군을 주둔하는 등 친미 정책을 실시했지만, 안디잔 사태가 일어나자 미국과 갈등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 2005년 8월 26일에 우즈베키스탄 상원은 미군 철수를 지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결국 미군은 우즈베키스탄에서 철수했다.2015년에 미국이 우즈베키스탄에 전투차량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다에쉬와 관련해 미국측은 우즈베키스탄에 협력을 요청했다.#
2021년에 아프간이 탈레반에 의해 재점령당하자 미국측은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아프간 주변국에 미군 주둔 가능성을 타진했다.# 탈레반을 피하기 위해 아프간에 있던 미국인 4명이 육로를 통해 우즈베키스탄으로 탈출한 것이 알려졌다.# 9월 11일에 미국 정부는 우즈베키스탄 측과 아프간 비행기 조종사들과 이들의 가족을 다른 국가로 이송하기로 합의했다.# 우즈베키스탄 측은 아프간 철수 미군의 수용을 거부했다.#
3. 경제 교류
양국간의 경제 교류가 활발한 편이며 미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다. 2022년에 미국측이 우즈베키스탄과 셰일가스 개발에 합의했다.#4. 문화 교류
소련 해체를 전후하여 부하라 유대인 상당수가 뉴욕의 퀸스를 중심으로 이주 정착하였다. 뉴욕 퀸스에서는 코셔 우즈벡 요리를 파는 식당들이 꽤 많은 편이다.#1#25. 갈등
2017년 10월 31일에 뉴욕에서 테러가 일어났는데, 용의자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으로 밝혀졌다.#2021년에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다른나라의 미국 외교관들이 아바나 괴질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사관
타슈켄트에 주 우즈베키스탄 미국 대사관이 위치해 있다.7. 관련 문서
[1]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 화교나 재일 한국인들의 사례하고 비슷하다. 중국계 미국인들이 주로 광동성 등 중국 남부 출신인 반면 한국 화교들은 산둥성 출신이며 한국인들하고 큰 차이가 없기에 한국계 커뮤니티하고 어울리는 경향이 크다. 비슷한 이유로 재일교포계도 일본계 미국인들하고 어울리지 한국계들하고는 크게 접점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