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02 14:49:41

방사선종양학과


임상의학
Clinical medicin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9ad389,#272727><colcolor=#333,#fff> 진료과
내과계 가정의학과 · 결핵과 · 내과 · 소아청소년과(소아과) · 신경과 · 정신건강의학과(정신과) · 재활의학과 · 피부과
외과계 비뇨의학과(비뇨기과) · 산부인과 · 성형외과 · 신경외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안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형외과
지원계 마취통증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병리과(해부병리과) · 영상의학과 · 응급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임상병리과) · 직업환경의학과(산업의학과) · 핵의학과
치의학
치과 · 구강내과 · 구강병리과 · 구강악안면외과 · 소아치과 · 영상치의학과 · 예방치과 · 치과교정과 · 치과보존과 · 치과보철과 · 치주과 · 통합치의학과
내과와 외과의 분과
내과의 분과
감염내과 · 내분비내과 · 류마티스내과 · 소화기내과 · 순환기내과(심장내과) · 신장내과 · 알레르기내과 · 혈액종양내과 · 호흡기내과
외과의 분과
간담췌외과 · 내분비외과 · 대장항문외과 · 소아외과 · 외상외과 · 위장관외과 · 유방외과 · 이식외과 · 혈관외과
문서가 있는 기타 진료과, 분과 및 하위 학문
두경부외과(이비인후과) · 수부외과(정형외과) · 의학유전학 · 잠수의학 · 족부의학
* 가나다순 배열(괄호는 구 명칭을 나타냄).
* 각 진료과의 진료 범위는 전문의 문서 참조.
* 한의학의 진료과는 틀:임상한의학 문서 참조.
}}}}}}}}} ||
1. 개요2. 사용 장비3. 주요 치료4. 방사선치료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5. 참고도서6. 직업적 전망7. 지원계인가 진료계인가

1. 개요

radiation oncology
방사선종양학과()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의학의 한 전공과목이다. 흔히 '방사선과' 라고 불리는 영상의학과(구 진단방사선과)와는 하는 일이 매우 다르다. 영상의학과에서는 주료 방사선자료의 판독을 주업무로 한다. 물론 70년대 까지는 영상의학과의 인터벤션 파트처럼 방사선과의 치료 파트로서 존재했고, 그래서 원로 교수님들은 영상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를 모두 가지고 계시는 분들이 많다. 방사선종양학과에서는 내, 외과와 유사하게 외래진료를 통해 암 환자의 상태와 질병을 파악하고, 전문의의학물리학자, 방사선사간호사 등이 협력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치료 효과의 평가 및 부작용 관리 또한 치료 후 외래 진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방사선종양학과 의사는 주로 암의 방사선 치료에 대해 배우는 전문의이다. 물론 주로 하는것이 암의 치료일 뿐, 양성종양이나 혈관기형 등 암 이외의 일부 질환을 치료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켈로이드 상처를 방사선으로 치료한다.

실제 방사선 항암 치료시에는 진단용으로 사용하는 방사선보다 훨씬 높은 양을 암이나 재발 가능 범위에 집중시켜 치료하며, 이 과정은 상당히 복잡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방사선의 생성 및 정확한 조준을 통한 부작용의 최소화 등을 위해 대단히 정밀한 방사선치료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기계도 엄청 비싸다. 수십억을 호가하며, 양성자치료기는 천억을 넘는다.

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갖추고,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생물학, 물리학 등을 배우며 일반 방사선치료는 물론, 세기변조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근접방사선치료 (Brachytherapy), 정위적 방사선수술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양성자치료 (Proton therapy) 등의 특수 방사선치료법을 이해한다. 암의 완치를 위한 방사선치료와 더불어 통증 및 증상 완화를 위한 방사선치료를 이해하고 적용한다.

다루는 암은 주로 다음과 같다.특성상 방사선사와 함께 일한다.

2. 사용 장비

3. 주요 치료

4. 방사선치료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5. 참고도서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은 방사선종양학(Radiation oncology)과 종양학(Oncology)을 주로 공부하며 그 외에도 방사선생물학 (Radiobiology for the radiologist, Hall), 방사선치료 물리학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Khan) 두 권의 책을 공부하게 된다.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혹은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필요한 정보 등 일반적인 정보를 얻으려면 '방사선으로 치료할 수 있는 7가지 암(중앙생활사)'을 참조하면 도움이 된다. 방사선종양학과 의사나 치료방사선사를 꿈꾸고 있다면 특히 읽어보기를 권한다.

6. 직업적 전망

방사선종양학과 의사: 빅5병원에서는 중간정도 인기군에 속하며, 약간의 경쟁을 하거나 정원을 맞추는 정도이다. 빅5 이외의 병원에서는 대체로 비인기군에 속한다.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 보드를 획득한 국내 전문의들은 90% 이상이 대학병원 혹은 대형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의 대부분은 교수 트랙을 걷게 되며, 진료 뿐 아니라 타 단과대의 교수처럼 연구 및 논문 업무를 해야한다. 또한 타과 의사들의 잘못된 상식과 달리, 업무의 상당부분을 외래진료에 할애하며 이는 내과 등 다른 과의 진료 업무와 다른 바가 없다. 따라서 일부 병원에서 '비임상과' 로 분류되는 것은 엄연히 잘못된 분류이다. (대표적인 잘못된 질문: "너네도 환자 보니?" 너무 당연한 질문이라 대답하기가 어렵다.)

다들 서울이나 수도권에 있는 대형병원, 혹은 모교 (학부출신) 대학병원에서의 교수를 희망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그런 좋은 자리는 경쟁이 심하고 (논문 실적과 경력을 둘 다 챙겨야 함), 비수도권 지역에서의 교수자리는 어느정도의 역량을 갖추면 아직 심하게 경쟁하지는 않는 편.

만족도 면에서는, 업무 자체나 공부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방사선종양학과 의사들이 만족하는 경우가 많다. 암이라는 중병을 일선에서 첨단장비를 사용하여 진료하고, 실제의 임상에서 차지하는 업무적 비중이 과의 입지에 비해 상당히 크기 때문이다. (외과, 종양내과에 비해 대부분의 병원에서 과의 크기는 작고 맨파워가 딸리지만, 실제 임상업무는 거의 3분의1씩이라고 봐도 된다.) 특히 수술이나 색전술 등 기존의 완치적 치료가 어려운 환자들을 방사선 수술 등으로 치료해 낼 때는 쾌감이 들기도 한다. 대부분의 업무가 컴퓨터로 진행이 되므로, 침습적 진료에 대한 스트레스가 있는 사람들에게 장점이 있다. 단점은, 타과 의사들이나 일반인들의 인지도가 너무 낮아, 환자를 진료하는 곳이 아닌 보조적 업무를 수행하는 곳으로 알고 있는 인식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체로 비인기이고 야간당직 등이 적어 업무가 편할 곳으로 알고 들어온 전공의 선생들이, 상당한 양의 논문 및 공부의 압박을 견디지 못해 퇴사하는 경우도 있다.

치료방사선사: 방사선종양학과는 방사선과 졸업생들에게 전통적인 인기 분야다. 개원이 가능한 의사와 달리, 영상의학과나 내시경실 등에서 업무를 주로 수행하는 방사선사들의 입장에서는 실제 환자 치료에 참여하고, 자기 개발의 여지가 많다는 점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TO에 비해 원하는 사람이 늘 많아 경쟁이 상당하고, 일단 채용이 되면 은퇴할 때까지 그만두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방사선종양학과 간호사: 빅5 중 일부 병원에서는 종양학간호사(oncologic nurse)와 같은 전문간호사 프로그램이 운영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일반 외래 간호사들 중 발령을 받아 근무한다. 방사선종양학은 일반 의학이나 간호학 학부 강의에서 거의 다루지 않으므로, 근무 초기에는 관련 용어나 업무가 생소하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과의 특성상, 진료시간 당 환자 수가 많지 않아 외래 업무가 타과에 비해 덜 과중하므로, 역시 인기 분야이다.

7. 지원계인가 진료계인가

방사선종양학과는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등과 함께 지원계로 분류되어있는 병원이 많다. 하지만 진료계의 정의가 환자를 '직접 면담'하고 '직접 치료' 하는 곳이라고 할 때, 방사선종양학과는 사실 완전히 진료계에 속한다. 주로 하는 업무가 정확히 환자 면담과 직접 치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대학병원에서는 지원계로 분리되어 있어도 진료계와 같은 월급 체계를 공유하거나, 진료계, 지원계 양측 모두의 회의에 참여하기도 하는 등 중간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당연한 얘기지만 진료수가도 발생하며, 진료수가는 과 규모에 비해 대부분의 병원에서 최상위권이다.) 원론적으로는 방사선종양학과가 진료계에 속한 다는 데 이견이 없지만, 기존 진료계에서도 대부분 변화를 원하지 않고 방사선종양학과 측에서도 굳이 실익 없이 문제를 일으킬 필요가 없으므로 크게 이슈가 되지는 않는다.
[1] 1등급 뇌수막종과 같은 양성 뇌종양은 가능한 수술이 원칙이다. 뇌의 양성 신생물에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악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