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00:28:16

뱀상어

뱀상어(호랑이상어)
Tiger shark
파일:뱀상어.jpg
학명 Galeocerdo cuvier
(Péron & Lesueur, 1822)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아강 판새아강(Elasmobranchii)
흉상어목(Carcharhiniformes)
흉상어과(Carcharhinidae)
뱀상어속(Galeocerdo)
뱀상어(G. cuvier)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

1. 개요2. 특징3. 생태4. 먹이와 사냥5. 경쟁과 천적6. 인간과의 관계
6.1. 사육 현황
7. 대중 매체

[clearfix]

1. 개요

파일:ㅌㅇㄱㅅㅇ.jpg

흉상어목 흉상어과에 속하는 지구상에서 세번째로 큰 포식성 상어.[1] 독특한 줄무늬와 아무거나 주워먹는 습성으로 인지도가 있는 상어 중 하나이다.

2. 특징

파일:뱀상어와 인간의 크기 비교.png
뱀상어와 인간의 크기 비교
대부분의 상어와 마찬가지로 뱀상어 역시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케 자란다. 평균 몸길이는 3.25~4.25m 정도이고 평균 체중은 175~635kg 정도이다. 수컷의 경우 2.3~2.9m, 암컷의 경우 2.5~3.5m 정도 자라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공식적인 기록 상에서 가장 큰 것으로 기록된 암컷 개체는 몸길이가 5.5m 정도이며, 비공식적인 기록 상에서는 6m 이상의 개체들이 기록되기도 했다. 또한 플라이오세 때 살았던 일부 뱀상어는 몸길이가 7~8m를 넘기도 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2]

한국에서는 두상이 을 닮아 뱀상어라고 부르고, 영미권에서는 줄무늬가 호랑이를 닮아 'Tiger shark'(호랑이 상어)라고 부른다.

뱀상어는 다른 흉상어과 상어들처럼 눈꺼풀이 있는 고양이눈을 하고 있다. 또한, 몸 색깔의 경우, 몸 위쪽은 짙은 갈색에 줄무늬가 있고 아래쪽은 연한 흰색이다. 줄무늬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옅어진다. 이러한 배색은 바다에 몸을 숨기는 데 도움을 준다.
파일:뱀상어 아랫니.jpg
뱀상어 아랫턱
다른 상어들과 마찬가지로 뱀상어의 턱 역시 부정교합 상태이며, 마치 회전톱처럼 생긴 이빨을 가졌다.[3] 윗니와 아랫니는 각각 24개씩 존재한다. 뱀상어는 이 독특한 이빨 덕분에 바다거북의 등껍데기 같은 단단한 물체를 쉽게 깨부술 수 있다.

북반구 개체군은 3년에 한번 3~5월에 생식 주기가 찾아오며 남반구의 개체군은 3년에 한번 11~12월에 생식 주기가 찾아온다. 북반구 개체군의 출산은 이듬해 4~6월, 남반구 개체군의 출산은 이듬해 12~1월에 있다. 대부분의 상어와 마찬가지로 뱀상어 역시 교미할 때 수컷이 암컷을 긴장성 부동 상태로 만들고 수컷의 기각을 암컷의 자궁에 삽입한다. 특이하게도 흉상어과에 속하는 상어들이 대부분 난생으로 번식하지만 뱀상어는 예외적으로 난태생 번식을 한다.

3. 생태

뱀상어는 전세계의 열대·아열대 해역에 서식한다. 주로 표해수층에 서식하지만 드물게 중심해수층에 서식하기도 한다. 서식 수심도 광범위한지라 3m 정도의 얕은 수심에서부터 900m 정도의 깊은 수심에 발견되기도 한다.

주로 아메리카의 카리브해나 오세아니아의 태즈먼해에 출몰하며, 드물게 아시아의 중국해에 출몰하기도 한다.

4. 먹이와 사냥

바다거북을 포식하는 뱀상어
과장 안하고 정말로 아무거나 다 주워먹는다. 물고기, 바다거북 등의 생물들 말고도 다양한 쓰레기를 먹은 사례가 잘 알려져 있다. 어느 정도냐면, 뱀상어의 뱃속에서 사슴의 뿔과 머리, 말의 머리, 신발 두 켤레와 맥주 캔, 차량의 타이어와 번호판, 드럼통과 탄약, 심지어는 중세시대의 갑옷이 발견된 적이 있다. 또한 사람의 팔도 발견된 적이 있다. 샤크 암 사건 참조.
귀상어를 공격하는 뱀상어
또한 귀상어같은 대형상어들도 공격한다.파일:돌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jpg}}} ||
돌고래를 사냥하는 뱀상어
물개, 바다표범, 바다사자 같은 기각류나 참돌고래, 큰돌고래, 점박이돌고래 같은 돌고래과를 포식한 사례도 많다. 일례로 샤크 만에 서식하는 돌고래들 중 35% 정도가 뱀상어에 의한 상처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파일:혹등고래를 포식하는 뱀상어.jpg}}} ||
혹등고래를 공격하는 뱀상어 무리
수염고래류의 경우 덩치 차이 때문에 주로 아성체나 사체를 노리며 경우에 따라서는 늙고 병든 성체를 사냥하기도 한다.

듀공, 매너티 같은 바다소류를 사냥한 사례가 많다. 특히 바다소류와 뱀상어 둘 다 수로에 서식하다보니 자주 마주치기도 하며, 수로에서 뱀상어 85마리 중 15마리 정도가 듀공을 포식한 사례가 존재한다.
파일:바닷새를 포식하는 뱀상어.jpg}}} ||
알바트로스를 사냥하는 뱀상어
수면 위에 착지하는 바닷새를 사냥하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알바트로스 같은 대형 바닷새가 먹잇감이 되는 일이 흔하다.
파일:바다거북을 포식하는 뱀상어 2.jpg}}} ||
바다거북을 사냥하는 뱀상어
해양 파충류 중 바다거북이 주로 잡아먹히며, 상어들 중 바다거북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종이 바로 뱀상어이며, 무려 전체 식단 중 약 20% 정도가 바다거북일 정도다.

드물지만 바다뱀을 사냥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바다뱀을 사냥하려고 하는 뱀상어

5. 경쟁과 천적

파일:뱀상어를 포식하는 범고래 2.jpg
뱀상어를 사냥하는 범고래
치어는 동족을 비롯한 다수의 천적에 의해 잡아먹힐 수 있으며, 성어는 백상아리, 범고래 같은 극소수의 천적에 의해 잡아먹히기도 한다.

주요한 먹이 경쟁 상대는 앞서 언급한 백상아리와 범고래. 다만 체급 차이가 좀 있다 보니 보통은 서로를 건들지 않으며 뱀상어가 먼저 자리를 피하는 편이다. 특히 뱀상어가 고래 사체를 청소할 때 백상아리가 나타나면 이를 피해 해당 장소를 잠시 떠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백상아리를 피해 영역에서 사라지는 뱀상어

드물게 바다악어와 마주한 사례가 존재하는데, 해당 영상에서 보다시피 고래 사체를 함께 뜯어먹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둘이 먹어도 충분히 남을 정도로 사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서로를 견제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배를 공격하는 뱀상어
인간에게 적대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하와이에서 1년에 한번 정도 뱀상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어느 정도 뱀상어에 의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
파일:뱀상어를 쓰다듬는 다이버.jpg
뱀상어를 쓰다듬는 다이버
비록 뱀상어가 사람을 습격한 사례가 있긴 하지만 모든 뱀상어가 사람에게 적대적인 행동을 보인 것은 아니다. ‘엠마’(Emma)라는 이름이 붙은 개체는 유독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굴어 다이버들과 함께 헤엄쳐왔는데, 특히 20년간 짐 애버네시(Jim Abernethy)라는 다이버를 특별히 따랐다고 한다. 짐이 엠마에게 박혀있던 낚시바늘 여러개를 떼어준 후 짐이 자신을 해칠 의도가 없다는 것을 학습하여 계속 친하게 지낸다고 한다.

하와이에서는 1년에 한번 정도 뱀상어와 교류하는 풍습이 있는데, 이 풍습에서 뱀상어는 한동안 특정 생물을 먹이로 삼았을 때 다른 종류의 생물을 먹이로 삼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인명 피해를 막는다. 이 때는 개가 인간이 쓰다듬는 것을 꺼리지 않는 것처럼 뱀상어 역시 인간이 쓰다듬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뱀상어는 멸종위기종으로 취급되어 보호받는다. 근대에 개체수가 점점 감소해왔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보호 정책에 의해 개체수가 어느 정도 회복되었기 때문에 뱀상어의 보전은 다른 상어의 보전에 비해 사정이 양호한 편이다.[5]

2023년 2월, CITES 당사국총회에서 회원국 표결에 의해 뱀상어 및 상어 54종을 국제거래에 금지 및 제한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6.1. 사육 현황

백상아리는 사육이 거의 불가능한 반면, 뱀상어는 어느정도 튼튼하고 환경변화에 예민하지 않은 흉상어목이다보니 사육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일본의 유명한 수족관인 츄라우미 수족관에서 뱀상어의 사육과 번식을 성공하기도 했다.

7. 대중 매체

흉상어과 상어들 중 가장 유명한 편이다.


[1] 1위는 백상아리, 2위는 그린란드상어다.[2] Pimiento, C.; Cantalapiedra, J.L.; Shimada, K.; Field, D.J.; Smaers, J.B. (2019). "Evolutionary pathways toward gigantism in sharks and rays"[3] 하와이 원주민들은 상어의 이빨로 다양한 무기들을 만들었는데 뱀상어의 이빨로는 ‘레이오마노’(Leiomano)라는 무기들을 만들었다.[4] Lowe, Christopher G.; Wetherbee, Bradley M.; Crow, Gerald L.; Tester, Albert L. (1996). "Ontogenetic dietary shifts and feeding behavior of the tiger shark, Galeocerdo cuvier, in Hawaiian waters"[5] 백상아리, 청상아리의 IUCN 멸종위기등급은 취약(VU), 위기(EN)에 속하지만 뱀상어의 멸종위기등급은 취약 근접(NT)에 속한다.[6] 하지만 보스가 뱀상어만 있는것은 아니고, 다른 보스인 오징어견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