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16:39:30

벨로키랍토르/창작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벨로키랍토르|벨로키랍토르]]

1. 개요2. 목록3. 캐릭터

1. 개요

벨로키랍토르는 1923년 아시아 대륙의 몽골 고비 사막 작독하 층의 플래밍 클리프라는 절벽층에서 갈고리발톱이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처음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후 1년 뒤인 1924년에는 그 당시 무렵의 미국 자연사박물관 관장이었던, 헨리 페어필드 존 오스본[1]이라는 저명한 학자가 해당 공룡의 갈고리발톱과 작은 두개골을 유심히 살펴보고는 "벨로키랍토르 몽골리엔시스"라는 학명을 작명하며, 1923년에 처음 화석이 발견된지, 1년만인 1924년에 세상에 첫 명성을 알리게 되었다.

이후에는 러시아(소련)과 폴란드의 고생물학자들이 몽골 탐사에서 벨로키랍토르들의 다른 표본들을 몇 개 더 찾아내는 데에 성공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벨로키랍토르 표본들 중에서 제일 유명한 것은 1971년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프로토케라톱스와 몸싸움을 벌이는 모습이 고스란히 화석으로 남은 채로 발견된 것인데, 공룡대탐험의 스페셜 스핀오프 시리즈 다큐멘터리 Chased by Dinosaurs, The Truth About Killer Dinosaurs, 공룡의 땅이라는 다큐멘터리들에서도 나름 일명 파이팅 다이노소어라는 화석 표본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다양한 각도로 조명된 채로의 영상물로 연출되어, 실감나게 유명해지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1999년에는 벨로키랍토르 몽골리엔시스 종과는 조금 상이한 벨로키랍토르 표본이 발견되었는데, 2008년이 되어서야 오스몰스카이 종이라는 벨로키랍토르의 신종이 명명되었다. 그러는 와중에 창작물에 등장하는 벨로키랍토르들은 그 시대의 시간들이 지나는 전후로, 쥬라기 공원 시리즈, 다이노소어의 벨로키랍토르, 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와 상술된 또다른 동양권 영역 다큐멘터리인 공룡의 땅, 공룡대탐험&Chased by Dinosaurs, The Truth About Killer Dinosaurs,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라는, 여러 동서양권 공룡 관련 창작물들을 막론하고 벨로키랍토르들의 모습에 대해 조명하는 작품으로 나온 매체들을 통하여 대중에게는 영화와 실제 화석 표본들의 크기와 모습이 딴판인 공룡으로 자리매김되었다.

2. 목록

파일:external/media.liveauctiongroup.net/8632840_2.jpg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벨로키랍토르 모형
대중매체에서는 쥬라기 공원의 영향으로 위의 모습을 많이 차용하며, 특징으로는 지능이 높은 무자비한 사냥꾼의 모습으로 많이 나온다. 해당 이미지를 만들게 된 영화의 벨로키랍토르는 벨로시랩터(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 참고.
파일:V%3Flociraptors.webp
공룡대탐험의 벨로키랍토르
다큐멘터리에서는 주로 프로토케라톱스를 사냥하는 모습으로 개근 출연한다. 첫 등장은 공룡대탐험의 스페셜 시리즈 Chased by Dinosaurs. 극중에서는 당연히 프로토케라톱스를 사냥해 잡아먹는 모습으로 나온다. 이후 같은 방송사의 Sea Monsters의 오프닝에 잠깐 나오며 The Truth About Killer Dinosaurs에도 같은 역할로 출연.
파일:120D43434F1294C404.jpg
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의 벨로키랍토르
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에서의 행적은 벨로키랍토르(한반도의 공룡 시리즈) 문서 참고.
파일:공룡킹 벨로키랍토르.webp
고대왕자 공룡킹의 벨로키랍토르
* 고대왕자 공룡킹에서는 2가지 무속성 기술 카드로 소환되며 3마리가 트리오로 등장한다. 티라노사우루스건 프테라노돈이건 다 발라버린다. 이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1기에서 출연했다. 자세한 건 벨로키랍토르(고대왕자 공룡킹) 문서 참조.
파일:벨로키랍토르 최종 렌더링_프킹.png
프리히스토릭 킹덤의 벨로키랍토르 렌더링.
* 프리히스토릭 킹덤에서 데모 버전부터 사육 가능한 공룡으로 등장하였다. 앞서 해보기 1.0에서는 등장하지 않지만, 1.1.532 업데이트에서 새로운 디자인으로 복귀하였다.

3. 캐릭터


[1] 자신의 유명한 제자, 바넘 브라운의 가장 유명한 발굴 업적 표본인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의 학명을 1905년에 작명해 주었던, 바로 그 고생물학자와 동일 학자로 알려져 있는, 실존 인물이었던 사람이다.[2] 쥬라기 공원의 모든 공룡들은 어디까지나 공룡에 대한 대중적인 이미지에 맞춰서 상품화만을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키메라일 뿐이다.[3] 로버트 T. 바커가 지은 소설인 '붉은 랩터'에서 이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당시, 제작진들은 실제로 없는 공룡(영화 속의 랩터)을 만드는데 불만이었다고 한다.[4] 작은 체구, 갸름한 얼굴, 길쭉한 S자 목등.[5] 데이노니쿠스도 여기선 깃털이 없다.[6] 아우스트로랍토르는 벨로키랍토르와 달리 주둥이가 길고 온몸이 깃털로 뒤덮인 고증에 충실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문제는 유타랍토르도 해당 모델링에서 머리에 깃털을 추가하고 색깔만 진보라색으로 바꾼 채로 나온다.[7] 이 맵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공룡. 기본 몹이다.[8] 어디까지나 설정상으로만 그 존재가 암시될 뿐, 실제 인게임에는 절대로 존재하지 않는 포켓몬이다. 단지 이 포켓몬의 상반신만이 '화석새'라는 이름의 화석으로 발견되어 파치래곤파치르돈의 재료로 들어간다. 이 포켓몬에 대해 현재로서 밝혀진 정보는 이름이 '파치~'로 시작한다는 것과 몸에 발전 기관이 있다는 것뿐이다. 화석 정보에 따르면 하늘을 날 수 있었다고 하는데, 모티브가 비행이 불가능한 벨로키랍토르라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렇다 말하기가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