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4:10:36

동부 나가리 문자

벵골 문자에서 넘어옴
분절 문자의 계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이집트 상형 문자 신관문자 민중문자 메로이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우가리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 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 카로슈티 문자
브라흐미 문자 바티프롤루 문자 칸나다 문자
텔루구 문자
팔라바 문자
참 문자
그란타 문자 싱할라 문자
말라얄람 문자
타밀 문자
크메르 문자 태국 문자
라오 문자
카위 문자 발리 문자
순다 문자
자바 문자
바이바이인 문자
버마 문자
굽타 문자 실담 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캐나다 원주민 문자
모디 문자
구자라트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가우디 문자 동부 나가리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 란자나 문자 소욤보
티베트 문자 파스파 문자
타나 문자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랍 문자 타나 문자
페르시아 문자
자위 문자
응코 문자
소그드 문자 돌궐 문자 로바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팔라비 문자 아베스타 문자
히브리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야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로마자 체로키 문자
오세이지 문자
프레이저 문자
데저렛 문자
홋착 문자
룬 문자
오검 문자
콥트 문자
고트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아부르 문자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티피나그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남아랍 문자 그으즈 문자
고대 북아랍 문자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F42A41 35%, #006A4E 3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42a41>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시대 베다시대(갠지스 문명) · 십육대국 · 마가다 · 난다 왕조 · 마우리아 왕조 · 굽타 왕조 · 팔라 왕조 · 델리 술탄국 · 벵골 술탄국 · 무굴 제국 · 인도 제국 · 파키스탄 자치령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정부 · 대통령 · 총리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영연방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방글라데시 타카 · 넥스트 일레븐
사회 사회 전반 · 카스트 제도
국방 방글라데시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비르야니 · 커리 · 방글라데시 크리켓 국가대표팀 · 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 · 벵골어(도바시) · 동부 나가리 문자
인물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 셰이크 하시나 · 압둘 하미드 · 지아우르 라흐만 · 칼레다 지아 · 로샨 에르샤드
지리 벵골 · 인도반도 · 치타공 구릉지대
교통 샤잘랄 국제공항
민족 벵골인 · 방글라데시인 · 방글라데시계 한국인 · 방글라데시계 중동인 · 방글라데시계 미국인
}}}}}}}}} ||

1. 개요2. 모음자3. 자음자4. 비다샤고르 개혁5. 숫자6. 벵골 문자와 아삼 문자의 차이

1. 개요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는 문자 체계이다. 주로 벵골어아삼어의 표기에 사용되며, 벵골-아삼 문자라고도 한다. 원래는 인도 동부 지방에서 산스크리트어의 표기에 사용되었던 문자이며, 지금도 가끔 산스크리트어를 이 문자로 적기도 한다. 힌디어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하는 다른 인도아리아계 언어도 필요하다면 데바나가리만큼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적을 수 있다. 벵골어, 아삼어 외에 인도 동부 지방에서 사용되는 비슈누프리야 마니푸리어(Bishnupriya Manipuri), 코크보로크어(Kokborok), 방글라데시에서 사용되는 치타공어,[1] 실레트어[2]도 동부 나가리 문자를 주 표기 수단으로 사용한다. 이 외에도 인도 동부의 산탈리어, 차크마어, 메이테이어, 쿠루흐어도 각기 주 표기 문자가 있기는 하지만 동부 나가리 문자도 표기에 폭넓게 사용한다.

2. 모음자

문자 IPA
(현대 벵골어)
IPA
(산스크리트어)
자음 합성 표기
(역사적)
단모음
/ɔ/ /ɐ/ (기본음)
/i/ /ɪ/ ি
/u/ /ʊ/
/e~ɛ/ /eː/
/o/ /oː/
/ɾi/ /ɽ̩/
[3] /li/ /l̩/
(역사적)
장모음
/a/ /aː/
/i/ /iː/
/u/ /uː/
/oi/ /aːi/
/ou/ /aːu/
[4] /ɾi/ /ɽ̩ː/
[5] /li/ /l̩ː/

3. 자음자

왼쪽의 '후음, 구개음', 위쪽의 '파열음' 등은 산스크리트어 자음 분류에 따른 전통적 분류 방식으로, 현대 음운론에 따른 분류와는 벵골어 등 동부 나가리 문자가 사용되는 언어 내의 역사적 변이로 인해 현대음과 약간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 분류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현대 표준 벵골어[6] 기준 IPA를 따로 아래에 병기하였다.
파열음 비음 접근음 마찰음
청탁 무성 유성 무성 유성
기식 무기 유기 무기 유기 무기 유기
후음
/kɔ/

/kʰɔ/

/gɔ/

/ɡʱɔ/

/ŋɔ/[7]

/ɦɔ~hɔ/
구개음
/tʃɔ/

/tʃʰɔ/

/dʒɔ/

/dʒʱɔ/

/ẽɔ/[8]

/dʒɔ/
/zɔ/[9]

/ʃɔ/
권설음
/ʈɔ/

/ʈʰɔ/

/ɖɔ/

/ɖʱɔ/

/nɔ/[10]

/ɾɔ/

/ʃɔ~sɔ/[11]
치음
/t̪ɔ/

/t̪ʰɔ/

/d̪ɔ/

/d̪ʱɔ/

/nɔ/

/lɔ/

/sɔ~ʃɔ/
순음
/pɔ/

/pʰɔ/[ʰp]

/bɔ/

/bʱɔ/[ʱb]

/mɔ/

4. 비다샤고르 개혁

19세기 벵골 르네상스 시대에 이쇼쫀드로 비다샤고르(ঈশ্বরচন্দ্র বিদ্যাসাগর, Ishwar Chandra Vidyasagar, 1820 ~ 1891)가 벵골어의 표기에 쓰이는 동부 나가리 문자를 개혁했다. 비다샤고르는 벵골어 정서법을 조금 더 직관적으로 바꾸고, 19세기 벵골어 음운 구조에 맞게, 산스크리트어 표기에는 사용되었지만 벵골어를 적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3개 모음자 'ৠ'(장모음 ṝ), 'ঌ'(단모음 ḷ)[14], 'ৡ'(장모음 ḹ)를 삭제하고, 19세기 벵골어를 위한 3개의 새로운 자음자 'ড়'(ṛô /ɽɔ/), 'ঢ়'(ṛhô /ɽʱɔ/), 'য়'(yô /jɔ/)를 추가하였다.[15] 이 비다샤고르 개혁은 일반적으로 벵골어권 외에도 동부 나가리 문자 사용 지역에서 받아들여졌으며, 이에 따라 근대 이전 동부 나가리 문자와 근현대 동부 나가리 문자는 표기 문자의 수와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다.

5. 숫자

동부 나가리 문자에는 부속되어 함께 쓰이는 숫자(동부 나가리 숫자)가 있다. 데바나가리 숫자나 아라비아 숫자와 마찬가지로 십진법을 따른다. 벵골어나 아삼어 문서에서는 원칙적으로는 숫자 표기에 이 동부 나가리 숫자를 쓴다. 한글 독음은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 않고 벵골 문자를 모르는 사람이 직관적으로 음을 파악 가능할 정도로만 적는다.
동부 나가리 숫자 아라비아 숫자 벵골어 음
0 শূন্য[슌노]
1 এক[액][16]
2 দুই[두이]
3 তিন[띤]
4 চার[짜르]
5 পাঁচ[빵쯔/빠쯔][17]
6 ছয়[초이]
7 সাত[샷]
8 আট[아뜨][18]
9 নয়[노이]

아삼어는 이상의 숫자 기호는 공유하지만 이상의 벵골어 음과 약간 다른 아삼어 음으로 읽는다.

6. 벵골 문자와 아삼 문자의 차이

벵골어에서 사용하는 동부 나가리 문자를 '벵골 문자', 아삼어에서 사용하는 동부 나가리 문자를 '아삼 문자'라고 한다. 둘 모두 이상의 비다샤고르 개혁을 받아들였고, 따라서 기본 자형은 같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우선 무엇보다 중요한 차이는 아삼어에서는 치(경)음과 권설음의 동화가 일어났으며, 이에 따라 벵골어에서 권설음으로 읽는 자음을 아삼어에서는 대응하는 치(경)음으로 읽는다는 것이다. 이 외의 차이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IPA 벵골 문자 아삼 문자
/ɾɔ~ɹɔ/
/wɔ/ -
/kʰjɔ/ - ক্ষ
문자 벵골어 음 아삼어 음
শ, ষ /ʃɔ/ /xɔ/
/sɔ~ʃɔ/
/tʃɔ/ /sɔ/[19]
/tʃʱɔ/
/dʒɔ/
/zɔ/[20]
/zɔ/[21]
/dʒɔ/
/dʒʱɔ/


[1] 벵골어와 별개로 간주할 경우[2] 벵골어와 별개로 간주할 경우[3] 현대 벵골어, 아삼어 표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음[4] 현대 벵골어, 아삼어 표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음[5] 현대 벵골어, 아삼어 표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음[6] 벵골어 동부 방언에서는 파찰음의 조음 위치가 조금 앞쪽으로 옮겨져 후치경 파찰음들이 치경 파찰음으로 조음되는 경향이 있다.[7] 현대 벵골어에서는 초성에 거의 쓰이지 않는다.[8] 복자음에서는 /n/ 음이 됨. 현대 벵골어 표기에서는 드물게 사용되며, 벵골 문자에서는 언젠가 사라질 것으로 보는 사람들도 많다.[9] 벵골어 /zɔ/는 페르시아어, 아랍어 외래어에서만 실현된다.[10] 잘 교육받은, 특히 산스크리트 교육을 받은 사람의 경우 권설음으로 구별해서 발음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11] 잘 교육받은, 특히 산스크리트 교육을 받은 사람의 경우 권설음으로 구별해서 발음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ʰp] 구어에서 흔히 \[fɔ\]로 발음된다.[ʱb] 구어에서 흔히 \[vɔ\]로 발음된다.[14] 단 20세기 후반까지도 이 문자 역시 여러 지역의 표준 벵골어 교육에서는 여전히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 문자가 완전히 쓰이지 않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15] 그러나 현대 벵골어에서 권설 탄음 /ɽ, ɽʱ/은 동부 다카 방언을 포함한 많은 동부 방언에서 치경 탄음 /ɾ/과 함께 접근음화되어 모두 /ɹ/로 동화되었다. 표준 문어와 콜카타 등 서부 방언에서는 아직 탄음의 치경음-권설음 구별이 남아 있다.[16] 엄밀히 말해 이 모음은 /e/가 아니라 /ɛ/다.[17] 비모음을 살리면 콜카타식(왼쪽), 살리지 않으면 다카식(오른쪽).[18] 여기서 ㄸ는 권설음.[19] 여러 벵골어 동부 방언에서도 이렇게 발음한다.[20] 벵골어 /zɔ/는 페르시아어, 아랍어 외래어에서만 실현된다.[21] 여러 벵골어 동부 방언에서도 이렇게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