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1:43:14

경루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중성동 경림동 경상동 경루동 교구동
대동문동 동성동 동안동 동흥동 련화1동
련화2동 유성동 만수동 보통문동 서문동
서창동 역전동 오탄동 외성동 종로동
창광동
구역당

해방산동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김일성 시대
(1945~1994)
<colbgcolor=#cccccc,#333333> 평양시 광복거리 · 문수거리 · 안상택거리 · 창광거리 · 천리마거리 · 청춘거리 · 락랑거리 · 락원거리
은정구역
평안남도 평성시
김정일 시대
(1994~2011)
평양시 은덕촌
김정은 시대
(2011~ )
평양시 려명거리신도시 · 미래과학자거리 · 은하과학자거리 · 창전거리
경루동 · 대평지구 · 서포지구 · 송신송화지구 · 위성과학자주택지구 · 화성지구
량강도 삼지연시
함경남도 검덕지구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 중구역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white,black> 경루동
瓊樓洞
Kyŏngru-dong
}}}
파일:경루동.jpg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지역 관서
면적 0.20㎢[1]
평양시
중구역
시간대 UTC+9
인구 미상(약 800여세대)
인구밀도 미상

1. 개요2. 역사3. 보통강 강안 다락식 주택구

[clearfix]

1. 개요

瓊樓洞 / Kyongru-dong

북한 평양시 중구역의 하위 행정구역.

'보통강강안다락식주택구(普通江江岸다락式住宅區)'에 설치한 신설 행정구역이다. # "보통강강안다락식주택구의 행정구역명칭을 평양시 중구역 경루동으로 한다."라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690호에 따라 설치되었다. 규모는 800세대이며, 호동 수는 최소 42호동으로 추정된다.(물론 더 있을 수도 있다.)

북한 내에서도 최상류층들이 거주하는 곳으로[2], 남한으로 치면 한남더힐과 비슷한 포지션이다. 이 때문인지 남한 인터넷에서는 경루동이라고 불리는 일은 사실상 전무한 대신 '평양더힐' '경루더힐'로 훨씬 많이 불린다.[3]

2. 역사


같은 날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리춘히 아나운서가 보도한 내용을 풀버전으로 올렸다. 즉, 리춘히는 자기 입으로 '리춘히'가 집을 받았다고 방송에서 보도한 셈이다.[5]

3. 보통강 강안 다락식 주택구


[1] 한남더힐(약 0.11㎢)의 2배 가량 된다.[2] 사실 우리가 아는 의미에서의 '최고위층'이 사는 곳은 아니며, 정확히는 북한 체제에 충성하는 등의 이유로 김정은의 마음에 든 사람들과 그 가족이 거주하는 곳으로 보인다. 다만 한 가지 함정은 여기에 사는 최고위층 위에 핵심권력층이 하나 더 있다는 점이다. 핵심권력층은 이런 공동주택에 살지 않고 아예 별도 부지의 단독 주택에 거주한다.[3] 사실 외양은 유엔빌리지 쪽과 더 비슷하다.[일반인출입통제구역] [5] 영상에 북한의 국가원수 의전곡 따뜻한 환영의 음악이 BGM으로 흐른다.[6] 살림집은 '주택'을 직역한 표현인데, 국내 언론에서는 그냥 직독직해하면 알아들을 수 있는 표현이므로 딱히 해설을 달지 않는다. 한국에서도 종종 쓰이는 만큼 이걸 북한만의 말이라고 단정지으면 한국에서 쓰이는 말이 부당한 이유로 사라진다는 이유도 있다. #[7] 리춘히는 방송 도중 이 지구 7호동에 거주한다고 스스로 밝혔다.[8] 정치논평의 약자로, 조선말대사전에 따르면 '예리한 정치적 일반화나 형상적 표현 그리고 주정토로로서 사회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의 본질을 밝혀내고 그에 대한 필자의 견해와 입장을 강렬하게 표명하는 기사'이다. #[9] 여담으로 동태관은 '쪽잠에 줴기밥(주먹밥)'의 원조가 되는 인물이다. 고난의 행군 때 김정일에 대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장군님께서 나라의 긴장한 식량 사정을 해결하시려고 매일 현지지도의 차 안에서 쪽잠을 자고 줴기밥으로 끼니를 때우시고 있다"는 내용의 칼럼 '장군님과 쪽잠, 줴기밥'을 썼고, 이 칼럼은 김정일에 대한 불만을 단순에 잠재워버렸으며, 당연히 동태관은 김정일로부터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영웅'이라 칭송받았다. 이런 '공로' 덕분에 2001년에는 김일성상, 2015년 10월에는 김정일훈장을 수여받았다. 그 리춘히도 김정일훈장을 받지 못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동태관이 어느 정도로 김정은 입맛에 맞는 기사를 쓰는지를 알 수 있다.[10] 동태관은 경루동 집을 수여받은 직후인 2022년 5월 3일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을 찬양하는 기사 '주체 강국의 위대한 승리의 기치 우리의 김정은 원수'를 썼는데, 이 기사는 북한에서 쓰는 김정은 찬양 기사 중에서도 극히 노골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 #2 김일성훈장 수여 약 반년 전인 2015년 4월 27일 쓴 정론 <태양은 조선에 있다>에서는 '북한이 미국 본토에서 '정의의 핵대전'을 벌여 워싱턴 D.C를 함락하고 지구에서 미국을 없애버릴 것'이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했다. #[11] 한남더힐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1년 완공되었다.[12]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은 마포아파트의 준공식 축사를 통해 '혁명 한국의 상징이 되기를 바란다' 고 밝힌 바 있다.[13] 참고로 마포아파트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겉으로는 경루동보다 화려함은 덜해 보여도 그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한국 최초의 아파트 단지였다. 그리고 준공 당시에는 서구의 공동주택을 모델로 하여 임대아파트였으나, 대한주택공사의 자금난으로 인해 1967년에 분양 전환되었다.[14] 당시 비북미 최고층 건물이었다.[15] 아궁이를 쓴다는 것도 정확히는 연탄 보일러를 쓰는 것이다. 그런데 2024년 3월 공개된 강동온실농장 인근 마을에서는 3~4층짜리 연립주택에 아궁이를 설치했다.(...) #[16] 경루동의 '루(樓)'는 '다락'을 의미한다.[17] 일례로 평안북도의 기계공장 선반공은 자신도 수십년간 묵묵히 일하며 당에 충성을 바쳐왔는데 아직 국가로부터 작은 단층집 하나도 공급받지 못했다고 전하며 체제선전에 앞장서고 있는 당의 나팔수들이 고급주택을 선물 받는 모습을 보니 자신 같은 사람은 이 나라에서 사람 값에 들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18] 북한이 진정으로 민생에 관심이 없고 보여주기식 치적물에만 관심이 있다는 것의 일례로 평양종합병원도 경루동보다 규모가 훨씬 작지만 의료기기를 들여올 돈이 없다며 이 주택 지구가 완공될 때 완공을 못했다. 즉 현 북한은 충성계층들을 위한 호화 주택 단지를 지어줄 돈은 있는데 새로 지은 병원을 위한 의료기기를 들여온 돈은 없는 모순된 상황인 것이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평양종합병원이 더 건설비가 많이 들 거라는 반론도 존재한다.[19] 사족으로 명목상 공산주의 국가인 북한의 지니계수는 0.513인데, 이는 콜롬비아, 브라질, 홍콩과 비슷한 수준인 세계 최상위권이다.[20] 구글 어스로 보면 평양도 선교구역, 락랑구역처럼 빈민가가 많은 동네들은 구룡마을, 104마을 이상으로 열악한 판자집들이 숨 쉴 틈도 없이 빽빽하게 밀집되어 있다. 물론 북한은 대외에 평양을 선전할 때 평양의 빈부격차가 드러나는 이러한 모습은 전혀 보여주지 않는다. 링크 하단에 평양의 빈민가 사진이 나온다.[21] 덤으로 2020년대 북한이 짓고 있는 농촌 주택은 외국 기준으로는 7~8만 달러 상당할 것이라고 선전 중이다. 참고로 기사에 따르면 북한에서 일반적으로 시내의 살림집 가격은 위치와 조건에 따라 2000달러에서 20000달러 수준이고, 농촌 지역 주택은 1000달러에도 못 미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22] 또는 '깜짝 놀랄'/'그 황홀경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침을 흘릴 수밖에 없는',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억만장자들이나 살 수 있는/쓰고살'. 애초에 이런 표현이야말로 북한에서 해외 부자들의 진짜 생활이 어떠한지를 주민들에게 알려주지 않는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증거이며, 인터넷이 금지된 상황에서 이런 선전만 접하고 이에 세뇌당한 북한 주민들은 경루동이 해외 억만장자들도 부러워할 수준의 집이라는 선전을 진실처럼 받아들이게 된다. 다만 북한에서 호화주택이라고 자랑하는 다른 평양 신시가지 주택들이 남한 입장에서는 서민 아파트만도 못한 수준인 것과 달리 경루동은 남한 기준으로도 나름대로 좋은 수준이긴 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남한의 연예 관련 뉴스에서 보여지는 남한 연예인들의 집에 비하면 훨씬 부족한 수준인건 사실이다.[23] 이 정도 에어컨은 방 하나를 커버하는 정도지 넓직한 거실에는 택도 없다.[24] 이조차 모든 건물이 18시간 전력을 공급받는 게 아니라, 당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만수대거리를 잇는 1선 도로 바로 옆 호동들에 18시간 전기를 보내주고, 그 외 호동들에는 전기를 조금씩 줄여서 공급하는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마당이다.[25] 쉽게 말해 북한 최고 호화주택가조차 매일 최소 6시간 이상 정전된다는 뜻이다.[26] 탈북자 김련희가 운영하는 왈가왈북 채널의 영상인데, 채널에 북한의 실상을 미화하는 영상이 많다는 것은 감안하고 보자.[27] 참고로 전자에는 심지어 정수기도 있다.[28] 중국아파트의 시공사들이 인테리어를 거의 꾸며놓지 않은 채로 분양을 한다. 중국도 인테리어는 입주자가 알아서 신경쓰도록 하는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29] 중국 현지에서 주방용 후드는 중국 현지에서 499위안(한화 약 10만 원)에 판매되는데, 북한의 위안화 환율이 1위안당 북한 돈 800원 수준이란 것과 기사 작성 시기 기준으로 북한에서 쌀 1㎏이 약 6000원대에 거래됐다는 것을 감안하면 499위안으로는 쌀 66kg을 살 수 있던 셈이다. 북한 주민의 평균 쌀 소비량이 50~60kg이란 것을 감안하면 북한 주민 입장에서는 엄청난 거액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