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반여고등학교 |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 부산센텀여자고등학교 | 부흥고등학교 | |
<colbgcolor=#d6f0ff,#002033> 센텀고등학교 | 신도고등학교 | 양운고등학교 | ◈ 영산고등학교 | 해강고등학교 | |
※ 해운대고등학교 | ◈ 해운대공업고등학교 | ◈ 해운대관광고등학교 | 해운대여자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 |||||
학교 틀 둘러보기 |
<nopad> |
학교 전경 |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부흥고등학교 富興高等學校 Buhung High School | |
| |
<nopad> | |
개교 | 1997년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남동식 |
교감 | 류충도 |
교훈 | 우리는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여 열심히 배우고 익혀 조국과 겨레에 필요한 사람이 된다 |
교화 | 목련 |
교목 | 태산목 |
학생 수 | 834명[기준] |
교직원 수 | 68명[기준] |
관할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주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순환로 248 |
홈페이지 |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위치한 고등학교.2. 학교 연혁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1997.01.13 | 24학급 설립 인가 |
1997.03.01 | 초대 이기정 교장 취임 |
1997.03.05 |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신입생 503명) |
1998.02.12 | 제1회 졸업식(졸업생 13명) |
1998.09.01 | 제2대 진대기 교장 취임 |
1998.12.21 | ‘민주 시민 교육’ 유공 학교 교육감 표창 |
1999.09.01 | 제3대 이우방 교장 취임 |
1999.11.13 | 교비 제막(‘아름다운 생각 가치있는 행동’) |
2000.10.16 | 제7차 교육 과정 시범학교 운영 보고회 (시교육청 지정) |
2003.03.01 | 제4대 허문수 교장 취임 |
2003.10.15 | 흡연 예방 교육 시범 학교 운영보고회 (시교육청 지정) |
2004.04.01 | 교실 증축 및 정독실 설치 |
2005.06.09 | 부흥관(강당), 부현재(도서관) 개관식 |
2005.09.01 | 제5대 제해순 교장 취임 |
2005.12.20 | 전국 100대 교육 과정 우수 학교 교육감 표창 |
2006.02.01 | 과학실 현대화사업 추진 |
2007.09.01 | 제6대 김인길 교장 취임 |
2007.11.30 | 봉사활동 시범학교 운영 보고회 (시교육청 지정) |
2009.09.22 | 영어전용교실, 과학실 및 보건실 현대화사업 완료 |
2010.03.01 | 제7대 박흥관 교장 취임 |
2010.12.21 | 부산시교육청 학교평가 우수학교(교육연구정보원장 표창) |
2010.12.28 | 부산시교육청 선정 학력증진 우수학교(교육감 표창) |
2012.03.01 | 제8대 박규찬 교장 취임 |
2012.12.28 | 학력증진 우수학교, 학력신장 프로젝트 수행 우수학교 선정 |
2013.02.07 | 제16회 졸업식(졸업생 494명) 누계 5,922명 |
2013.03.04 | 제17회 입학식(신입생 407명) |
2014.02.12 | 제17회 졸업식(졸업생 433명) 누계 6,355명 |
2014.03.03 | 제18회 입학식(신입생 390명) |
2015.02.11 | 제18회 졸업식(졸업생 395명) 누계 6,730명 |
2015.03.02 | 제19회 입학식(신입생 364명) |
2015.09.01 | 제9대 모건상 교장 취임 |
2016.02.12 | 제19회 졸업식(졸업생 388명) 누계 7,118명 |
2016.03.02 | 제20회 입학식(신입생 399명) |
2016.12.02 | 2016학년도 부산시교육청 학력신장 우수학교 선정 |
2017.02.14 | 제20회 졸업식(졸업생 395명) 누계 7,533명 |
2017.03.02 | 제21회 입학식(신입생 338명) |
2018.02.13 | 제21회 졸업식(졸업생 363명) 누계 7,896명 |
2018.03.02 | 제22회 입학식(신입생 298명) |
2019.02.12 | 제22회 졸업식(졸업생 378명) 누계 8,274명 |
2019.03.01 | 제10대 박미령 교장 취임 |
2019.03.04 | 제23회 입학식(입학생289명) |
2020.02.11 | 제23회 졸업식(졸업생 341명) 누계 8,615명 |
2020.04.16 | 제24회 입학식(입학생 261명) |
2021.02.05 | 제24회 졸업식(졸업생 301명) 누계 8,952명 |
2021.03.02 | 제25회 입학식(입학생 266명) |
2021.09.01 | 제11대 강병수 교장 취임 |
2022.02.11 | 제25회 졸업식(졸업생 289명) 누계 9,205명 |
2022.02.28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유공기관 교육부장관 표창 |
2022.03.02 | 제26회 입학식(신입생 266명)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운영 |
2022.12.27 | 제26회 졸업식(졸업생 267명) 누계 9,472명 |
2023.03.01 | 제12대 남동식 교장선생님 취임 |
2023.03.02 | 제27회 입학식(신입생 298명) |
2023.12.29 | 제27회 졸업식(졸업생 266명) 누계 (9,738명) |
2024.03.04 | 고교학점제 학교공간조성 구축 완료 제28회 입학식(입학생 285명) |
3. 학교 상징
- 출처: 부흥고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 ㅂ과 ㅎ을 조형화하여 중심에 두고, 널리 퍼지고 커진다는 의미로 점증효과를 준다. 전체 형태는 교화인 목련을 상징하며 양쪽 윗부분은 곡선화하여 피어 오르는 의미를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소질과 능력이 마음껏 성장하는 것을 나타낸다.
3.2. 교화
| 교화 : 목련(木蓮) 화명 : Magnolia kobus A, P.DC 우아, 고결을 상징 |
3.3. 교목
| 교목 : 태산목(泰山木) 화명 : Magnolia grandiflora 우아, 정중동의 자태, 군자의 품위를 상징 |
3.4. 교훈
- 우리는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여 열심히 배우고 익혀 조국과 겨레에 필요한 사람이 된다
3.5. 교육목표
- 불굴의 정신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올바른 사람 육성
3.6. 교가
1절 동해의 푸른 물결 넘실대는 곳 장산의 높은 기상 이 곳에 펴고 진리를 찾아가는 배움의 터전 열심히 갈고닦아 높이 빛내자 아아- 우리의 사랑 부흥의 요람 크거라 크거라 부흥고교 2절 오륙도 돋는 해가 꿈틀거리고 동백섬 은모래가 감싸주는 곳 역사와 전통을 이루어가며 나날이 발전하는 슬기를 갖자 아아- 우리의 사랑 부흥의 요람 크거라 크거라 부흥고교 |
4. 학교 특징
- 주요정책사업[3]
- 2024학년도 고교학점제(교과교실제) 학교공간조성사업 운영
- 교과교실제 활용 고교학점제 환경 조성에 대한 이해도 제고 노력
- 교과교실제 운영 교과별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개선 노력
- 교과교실제 운영에 따른 학생 생활 수칙
- 교과교실제 운영에 따른 교사 연구활동 등
- 학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교과교실제 운영 개선을 위한 평가 ․ 환류
- 교육운영 특색사업[4]
- 특색사업 1. 존중·공감의 학생활동 활성화
- 학생이 함께 하는 고교학점제
- 생태교육 환경 조성
- 관계 중심의 어울림 프로그램 운영
- 특색사업 2. 꿈을 키우는 진로교육
- NIE 신문 읽기 교육
- 전공 탐색 논문 읽기
- 특색사업 3. 아침 체인지(體仁智) 활동 정착
4.1. 복장
-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검은색의 정장형을 채택했다. 남자 셔츠는 차이나 카라, 여자 셔츠는 레귤러 카라이며 둘 다 넥타이는 없다. 단추는 금색. 하복은 남자의 경우 흰색 셔츠에 칼라에 곤색이 들어 있고 여자 셔츠는 흰색이다. 바지와 치마는 곤색.
- 학교 체육복은 원래 동복 밖에 없었다가, 2014년 하복이 처음 생겼다. 그 전에는 사복으로 대체했었다. 2024년 기준, 1학년 흰색, 2학년이 회색, 3학년이 파란색이다.
5. 학교 시설
- 1층은 미술실, 무용실, 음악실과 행정실, 보건실, 교장실이 배치되어 있다
- 2층은 1학년 교실과 교무실, 컴퓨터실 그리고 남학생 식당이 배치되어 있다.
- 3층은 2학년 교실과 여학생식당, 과학 관련 교실이 포집해 있다.
- 4층은 부현재(도서관), 스터디카페,학생회실, 대강의실과 여러 강의실이 있으며 온라인 스튜디오, 학생휴게공간 등이 있다.
- 5층은 3학년 교실과 부흥관(강당)이 있다.
6. 학교 생활
- 등교시간은 오전 8시 20분 59초를 기준으로 하며, 입학 후 배정받는 자동등교체크기가 중앙현관을 통과하면 알아서 등교시간을 기록하고 벌점을 부과한다.
- 5교시 종료 후 청소시간이 있다.
6.1. 주요 행사
- 1학기
- 3월 중반에 학부모 총회가 있다. 부흥관에서 교사들의 연설을 듣고 자녀의 담임교사와도 면담이 가능하다.
- 5월 중~말 즈음에 운동장에서 체육대회를 개최하며 판 뒤집기, 릴레이, OX 퀴즈, 줄다리기, 미션 달리기, 댄스부 공연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육대회 전 사회자도 미리 선발하여 축구 중계 등을 하는데 마이크나 스피커 등이 좋지 않아 전달력이 매우 떨어진다. 게다가 중계할 때는 신청곡도 못 들어서 학생들의 불만이 많았다. 그러나 2024년은 동명대학교에서 체육대회를 개최하였다. 잔디구장과 여러 편의 시설등이 있어 학생들의 반응이 대체로 좋았다.
- 7월 중 꿈 발표 대회가 있다. 제출한 문서로 심사하는 예선을 통과하면 부흥관에서 발표하는 본선을 거친다.
- 2학기
- 수능 하루 전 3학년 학생들이 부흥관에 모여 수험표를 받은 후 수능 응원 영상을 시청한다. 그리고 1~2학년 학생들은 부흥관에서부터 학교 정문까지 두 줄로 아주 긴 줄을 서 있으면서 부흥관에서 나오는 3학년들에게 응원의 박수를 쳐준다.
- 12월 말 겨울방학식을 하기 전에 학교 축제인 해월제를 개최한다. 2018년 기준 동아리별 부스 개최와 전시, 동아리 발표, 공연 등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어서 꽤 알차고 학생 반응도 좋았다.
6.2. 학교 일과
- 오후 9시까지 야간자율학습이 있다.
6.3. 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30 | 등교 |
7. 운동부
- 운동부로는 부산에 몇 안 되는 태권도부가 편성된 학교이다. 전국적으로도 인지도가 있는 편이며, 학교에서도 이를 자랑스러워해서 열심히 지원해 주려는 듯 하다. 훈련이 매우 힘들다고 한다. 9시까지 훈련을 하는 날이 많다고 한다. 해월제에서 공연을 한 이력이 있다. 반응이 꽤나 폭발적으로 좋았다.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부흥고.해운대백병원(09043) 한라아파트 방면 | |
일반 | |
급행 |
부흥고.해운대백병원(09038)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방면 | |
일반 | |
급행 | |
마을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09040) 동신아파트 방면 | |
일반 | |
일반 (아침) | 아침 3회 한정 |
급행 |
대우2차아파트(09257) 부흥고.해운대백병원 방면 | |
일반 | |
마을 |
대우2차아파트(09258) 송정1단지주공 방면 | |
일반 |
9.2. 철도
| 장산역 (09338) 환승 | 부흥고.해운대백병원 (09038) 하차 |
도보 기준 | 장산역 2번 출구에서 554m (약 9분 소요) |
10.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11. 기타
- 해운대 신시가지가 한창 개발될 무렵 개교했다.
- 사실상 장산역 상업지구와 가장 가까이 위치한 고등학교다.
- 학교에 문이 정문 하나밖에 없다. 예전에는 후문이 있었는데 폐쇄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학생들이 매우 불편해 한다.
- 2주에 한 번 학교생활기록부 자율활동란 기재를 위해 화요일 6,7교시씩 방송을 통한 교육이 있다. 생명존중교육, 안전교육, 양성평등교육 등을 실시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듣지 않고 자습 등을 하는 편이다.
- 무슨 일이 있어도
다리에 깁스를 하지 않는 이상학교 체육복 등교가 허용되지 않는다.
- 상점을 10점 이상 받으면 학교생활기록부에 학교생활을 성실히 하였다고 적어준다.
하지만 상점을 10점이나 받을 일이 없다.반면에 벌점은 15점 이상 받으면 학교생활기록부에 학교생활을 성실히 하지 못하였다고 적어준다.
- 운동장 면적도 가뜩이나 좁은데 모래인지라 창가자리는 창문을 열어놓을시 책상이 사막화되는 현상을 겪을 수 있다. 신입생들이 처음 보면 모두 놀란다. 운동장에 전교생이 다 있으면 얼마나 좁은지 더욱 실감할 수 있다. 사다리꼴 형태의 기괴한 모양은 덤
운동장 구석에 모래사장과 철봉, 윗몸일으키기 기구가 있다. 굉장히 낡고 구식이며, 잡초투성이에 나무는 관리가 안되어 있고 봄과 가을에는 고양이들의 아늑한 화장실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