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colcolor=#fff> 브로큰 (2025) Nocturnal | |
장르 | 범죄, 느와르, 드라마, 미스터리, 스릴러, 액션, 하드보일드 |
감독 | 김진황[1] |
각본 | |
제작 | 이민우, 한재덕 |
촬영 | |
편집 | |
조명 | |
음악 | 황상준 |
출연 | 하정우, 김남길, 유다인, 정만식, 임성재 外 |
제작사 | 을지기획, 사나이픽처스 |
배급사 | 바른손이앤에이 |
투자 | |
촬영 기간 | 2021년 1월 21일 ~ 2021년 4월 8일 |
개봉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2025년 2월 5일 |
화면비 | |
상영 타입 | 2D |
상영 시간 | 99분 (1시간 39분 21초) |
제작비 | |
손익분기점 | 110만 명 |
월드 박스오피스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스트리밍 | |
상영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2] |
링크 | | | | | |
[clearfix]
1. 개요
동생이 죽어버린 그 밤의 시작과 끝을 추적하다 시체로 돌아온 동생과 사라진 그의 아내, 사건을 예견한 베스트셀러 소설까지, 모든 것이 얽혀버린 그날 밤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끝까지 달려가는 민태의 분노의 추적을 그린 이야기 |
2. 포스터
<nopad> | ||||
시나리오 표지 | 티저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메인 포스터 | 리뷰 포스터 | |||
민태 | 호령 | }}} | ||
문영 | 창모 | 병규 | ||
캐릭터 포스터 |
3. 예고편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 기타 영상 #===
릴레이션 영상 |
제작기 영상 |
리뷰 예고편 |
4. 프로모션
〈브로큰〉 프로모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2025. 1. 6. | '브로큰밖에 모르는 남자' 배우 하정우, 김남길을 만나고 왔습니다. | 하정우, 김남길 | | ||
2025. 1. 11. | 영화가 좋다 - 새로고침 | – | | | ||
접속! 무비월드 - 기획 | 하정우, 김남길 | | | | |||
2025. 1. 12. | | 4885 vs 118.5! 서로 용서받지 못할 정도로 도발하는 토크쇼 | 딱대 EP25 하정우 | 하정우 | | | |
2025. 1. 22. | | 영화 ‘브로큰’으로 돌아온 배우 하정우, 마리끌레르 2월호 화보 일부 공개! | | | ||
하정우(@__hajungwoo)의 50가지 저장법.📸 | 하정우, 김남길 | | |||
2025. 1. 23. | 영화 <브로큰> 보러 오라고 어필하는, 하정우&김남길 배우에게 안겨 볼래? | | |||
2025. 1. 29. | 하정우, 김남길이 주는 세뱃돈 받고 가세요 🧧 | | |||
2025. 1. 30. | 모닝와이드 3부 | | | |||
2025. 1. 31. | 2월 5일에는 <브로큰> 봐야지 🍿 | | |||
| “이 별명은 이제 임팩트가 없다!” 별명 부자 배우 하정우의 밈터뷰🥔 | 하정우 | | ||
2025. 2. 1. | 영화가 좋다 - 새로고침 | | | |||
접속! 무비월드 - 디렉터스 컷 | – | ||||
| 웃음이 끊이지 않았던 배우 하정우와 함께한 마리끌레르 2월호 화보 스케치 | 하정우 | | | ||
2025. 2. 2. | 출발! 비디오여행 - 기막힌 이야기 | – | | | ||
2025. 2. 3. | | KEEP THE FAITH | ‘브로큰’으로 돌아온 하정우 화보와 인터뷰 | 하정우 | ||
2025. 2. 5. | 이은지의 가요광장 | 유다인, 정만식 |
5. 시놉시스
어느 날 하나뿐인 동생 ‘석태’가 시체로 돌아왔다.
그리고 동생의 아내 ‘문영’은 자취를 감췄다.
동생이 죽고 진실이 잠든 밤,
분노가 깨어났다.
사건의 실마리를 찾던 민태는, 자신과 같은 흔적을 쫓는 소설가 ‘호령’을 만나고
그의 베스트셀러 [야행]에서 동생의 죽음이 예견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얽혀버린 진실 사이에서 혼란스러운 가운데,
형제가 몸담았던 조직과 경찰까지 개입하며 서로가 서로를 쫓고
민태는 동생이 죽은 그날 밤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분노의 추적을 시작한다.
그리고 동생의 아내 ‘문영’은 자취를 감췄다.
동생이 죽고 진실이 잠든 밤,
분노가 깨어났다.
사건의 실마리를 찾던 민태는, 자신과 같은 흔적을 쫓는 소설가 ‘호령’을 만나고
그의 베스트셀러 [야행]에서 동생의 죽음이 예견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얽혀버린 진실 사이에서 혼란스러운 가운데,
형제가 몸담았던 조직과 경찰까지 개입하며 서로가 서로를 쫓고
민태는 동생이 죽은 그날 밤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분노의 추적을 시작한다.
6. 등장인물
6.1. 주요 인물
6.1.1. 배민태
배민태 (배우: 하정우) |
조폭 출신의 건설 현장 노동자 |
밝혀야 한다, 동생이 죽은 그날 밤의 진실을.
잘나가던 조폭 출신이었으나 동생을 대신해 감옥에 다녀온 뒤, 조폭 생활을 청산하고 건설 현장 노동자로 평범한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어느 날 동생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동생이 죽던 밤의 진실을 쫓는다.6.1.2. 강호령
강호령 (배우: 김남길) |
베스트셀러 작가 |
지켜야 한다, 내 소설과 명예를.
베스트셀러 소설 '야행'의 저자. 본래 무명작가였으나 문화센터에서 수업을 듣는 문영이 들려준 이야기를 토대로 한 소설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다. 어느 날 경찰이 찾아와 석태가 자신의 소설 속 내용처럼 사망하게 된 것을 알게 되고, 소설과 자신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사라진 문영을 찾아 나선다.6.1.3. 차문영
차문영 (배우: 유다인) |
석태의 아내 |
숨어야 한다, 모든 것으로부터.
오슬로 노래타운 사장. 석태와 함께 살며 창모파가 관리하는 노래 주점에서 일하고 있다. 문학 특강에서 만난 소설가 호령에게 석태로 인해 불행해진 자신의 삶에 대해 털어놓는다. 석태가 죽자 흔적도 없이 숨어버리고, 어떤 이유에서인지 필사적으로 모두에게서 도망친다.6.1.4. 석창모
석창모 (배우: 정만식) |
창모파 보스 |
묻어야 한다, 조직을 흔드는 위험한 진실을.
과거 민태가 몸담았던 폭력 조직의 보스. 조직의 에이스였던 민태의 부탁에 동생 석태까지 조직원으로 거뒀지만 계속해서 사고만 치는 석태가 성가시다. 동생 찾기에 혈안이 된 민태를 상대하게 된 그는 흔들리는 조직을 지키기 위해 민태와 날카롭게 대치한다.6.1.5. 병규
파일:브로큰(영화) 병규.jpg |
병규 (배우: 임성재) |
창모파 조직원 |
따라야 한다, 진실을 쫓는 그의 옆을.
석태와 함께 창모 밑에서 조직 생활을 해온 민태의 부하. 한때 조직 생활을 함께했던 민태가 도움을 청하자, 망설임 끝에 그를 따라나선다. 진실을 쫓는 민태의 추적에 동행하며 성심껏 민태를 돕는다.6.2. 주변 인물
- 배석태 (배우: 박종환)
민태의 동생이자 창모파 조직원.
- 배수민 (배우: 김하은)
석태의 딸.
- 민 형사 (배우: 이설)
강원춘천경찰서 마약팀 형사.
- 손 형사 (배우: 서현우)
강원춘천경찰서 강력1팀 형사.
- 재만 (배우: 김찬형)
창모파 중간보스.
- 차명우 (배우: 정재광)
중국집 배달원. 문영의 동생.
- 영섭 (배우: 차래형)
삼거리파 조직원.
- 강호 (배우: 장준녕)
삼거리파 두목.
- 서장 (배우: 김민상)
강원춘천경찰서장(총경).
- 오하성(배우: 임한성)
대경그룹 회장 아들.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브로큰 OST | |||
발매일: 2025. 01. 23. | |||
<rowcolor=#fff> 트랙 | 곡명 | 아티스트 | 링크 |
01 | <colbgcolor=#f5f5f5,#2d2f34> 어른의 노래 (From 영화 ‘브로큰’) Song for the Grown-ups (From the Movie 'Nocturnal') | 황상준, 정홍일 | |
02 | 어른의 노래 (From 영화 ‘브로큰’) (Inst.) Song for the Grown-ups (From the Movie 'Nocturnal') (Inst.) | | |
| |||
|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왓챠=mdKpwk9, 왓챠_user=2.1, 왓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브로큰, 네이버영화_audience=7.02,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CGV=89389, CGV_egg=64, CGV_highlight=display,
시사회를 통해 영화가 공개된 후, 김남길의 분량이 생각보다 적다는 반응과 함께 극 중 호령이 벌이는 일련의 행동이 납득되지 않는다는 평이 있다. 이에 대해 하정우는 인터뷰에서 "김남길 대목이 많이 축약됐다. 시나리오에서는 호령이 쓴 소설 '야행'의 이야기가 또 다른 축으로 흘러간다. 후반 편집 작업에서 많이 정리된 것 같은데 보는 사람들은 민태 이야기에 집중돼 비어있는 느낌이 들기도 할 것이다. 시나리오에서는 호령 이야기가 더 탄탄하게 잘 붙어있다. 25~30분가량 편집되다 보니까 결과적으로 구조 자체가 소설을 둘러싼 스릴러가 못 미치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개봉이 된 후에는 작품 내에서 설명되지 않는 맥거핀이 되어버린 떡밥들이 너무 많다는 점과 90년대 작품을 보고 있는것 같다는 반응이 주를 이었다. 창고 영화인 것을 감안해도 연출 자체가 너무나 올드한 면모가 있어 다소 황당무개할 정도로 맥이 빠지는 대사와 전개가 지속됐으며, 하정우와 김남길 두 주연의 열연 외에는 좋은 점수를 주기 힘들다는 평가다. 이에 에그 점수는 63%로 2024-25년 개봉 한국 영화 중 최하위 점수로 시작하였으며 이외에도 왓챠, 메가박스, 네이버 실관람객 평점, 롯데시네마 등 국내 모든 리뷰 사이트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9.1. 평론가 평가
10. 흥행
10.1.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명, 누적 매출액 -원[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
1주차 | 2025-02-05. 1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25-02-06. 2일차(목) | -명 | -위 | -원 | ||||
2025-02-07. 3일차(금) | -명 | -위 | -원 | ||||
2025-02-08. 4일차(토) | -명 | -위 | -원 | ||||
2025-02-09. 5일차(일) | -명 | -위 | -원 | ||||
2025-02-10. 6일차(월) | -명 | -위 | -원 | ||||
2025-02-11. 7일차(화) | -명 | -위 | -원 | ||||
2주차 | 2025-02-12. 8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25-02-13. 9일차(목) | -명 | -위 | -원 | ||||
2025-02-14. 10일차(금) | -명 | -위 | -원 | ||||
2025-02-15. 11일차(토) | -명 | -위 | -원 | ||||
2025-02-16. 12일차(일) | -명 | -위 | -원 | ||||
2025-02-17. 13일차(월) | -명 | -위 | -원 | ||||
2025-02-18. 14일차(화) | -명 | -위 | -원 | ||||
3주차 | 2025-02-19. 15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25-02-20. 16일차(목) | -명 | -위 | -원 | ||||
2025-02-21. 17일차(금) | -명 | -위 | -원 | ||||
2025-02-22. 18일차(토) | -명 | -위 | -원 | ||||
2025-02-23. 19일차(일) | -명 | -위 | -원 | ||||
2025-02-24. 20일차(월) | -명 | -위 | -원 | ||||
2025-02-25. 21일차(화) | -명 | -위 | -원 | ||||
4주차 | 2025-02-26. 22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25-02-27. 23일차(목) | -명 | -위 | -원 | ||||
2025-02-28. 24일차(금) | -명 | -위 | -원 | ||||
2025-03-01. 25일차(토) | -명 | -위 | -원 | ||||
2025-03-02. 26일차(일) | -명 | -위 | -원 | ||||
2025-03-03. 27일차(월) | -명 | -위 | -원 | ||||
2025-03-04.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
11. 기타
- 2021년 강원영상위원회가 로케이션 인센티브, 춘천시영상산업지원센터가 올 로케이션을 지원한 작품으로, 강원도 춘천을 주 배경으로 홍천, 강릉, 양양 등지에서 3개월간 촬영했다고 한다.
- 2021년 1월에 촬영을 시작해 4월에 마무리되었다. 크랭크인 시점으로부턴 무려 4년 만에 공개되는 셈이다.
- 카카오M이 처음으로 투자해 선보이는 디지털 플랫폼용의 오리지널 영화로, 초기에는 카카오TV와 상영관으로 동시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카카오M이 2021년 3월 2일 카카오페이지와 함께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 흡수 합병되었고, 카카오TV가 지난 2023년 4월부터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을 중단하면서 추후 극장 개봉으로 변경되었다. # #
- 초기 제목은 ‘야행’이었으나, 김진황 감독이 조금 더 직관적이고 주인공 배민태의 감정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제목을 원해 이후 개봉일이 확정되면서 ‘브로큰’으로 변경되었다.
- 하정우는 제작보고회에서 영화에 대해 "조직 생활을 하다가 손을 씻고 새 출발 하려던 주인공이 동생의 죽음을 마주하고 원래 계획했던 것을 부수게 된다"라고 소개하며 "그런 의미에서 '부러졌다' '부서졌다'라는 뜻인 '브로큰'이 제목이 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 포스터에도 나와있듯이 극 중 배민태가 주로 들고 다니는 무기는 파이프이다. 김진황 감독이 파이프를 주요 액션 소품으로 선정한 이유는 대학 시절 단편영화 제작비를 마련하기 위해 배관설비 현장 일을 했었는데 추운 날씨 때문인지 파이프가 굉장히 차갑고 날이 서 있다는 느낌이 들었고, 그 파이프로 맞으면 매우 고통스럽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 경험을 토대로 민태를 건설노동자로 설정해 자신이 경험했던 배관설비 일을 맡겨보자고 생각했고, 기역(ㄱ) 자형 파이프가 주무기가 됐다고 한다. #
- 국내 개봉 전, 해외 158개국에 선판매 됐다.
- 2025년 영국 글래스고 영화제(Glasgow Film Festival) 공식 섹션 비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2025년 한국 영화 초청작으로는 〈브로큰〉이 유일하다. #
- 2025년 1월 23일,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언론시사회가 진행되었다. 풀버전
[1] 영화 〈양치기들〉로 제22회 춘사국제영화제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하였다.[2] 등급분류 결정내용: 파이프 등의 둔기로 신체를 가격하는 장면, 칼로 찌르는 장면 등 도구를 이용한 물리적 폭력과 폭력성에서 유발되는 공포, 모방위험의 요소가 표현되지만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표현되지는 않는다. 욕설과 저속어의 사용이 있으나 맥락상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표현되었다. 주제를 비롯하여 폭력성, 공포, 대사, 모방위험에 있어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특별출연] [4] ~ 2025/02/05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내용정보 표시항목: )[특별출연] [4] ~ 2025/02/05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