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서구(대구광역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bgcolor=#008837><tablewidth=250>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구(대구광역시)/행정| 동인청사 중구]] | 동구 | 서구 | 남구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북구(대구광역시)/행정| 산격청사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ac707>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e41b2f><colcolor=#fff>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 내당동 | ||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 비산동 | ||
상중이동 | 상리동 | 중리동 | 이현동 | ||
원대동 | 원대동1가 | 원대동2가 | 원대동3가 | ||
평리1동 평리2동 평리3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 | [[서구청(대구)| 구청 ]] 평리동 |
1.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2.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3. 평리1동, 평리2동, 평리3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4. 상중이동5. 원대동6. 서구 행정구역 변천사
1.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관할 법정동은 내당동이다.- 내당1동: 인구는 9,601명.[P] 달서구 두류동과 달구벌대로를 통해 마주보고 있으며, 서구에 속해 있지만 생활권은 사실상 달서구 생활권이다. 어차피 두류동은 내당동에서 떨어져 나간 동네라 생활권은 이질감이 적은 편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내당역, e편한세상 두류역(902세대), 대구애락원, 홈플러스 내당점이 있으며 두류역도 일부 출구는 내당1동에 걸쳐 있다. 현재는 대명11동으로 이전한 서부정류장의 과거 소재지이기도 하다. 대구두류초등학교는 학교명과 달리 이 곳에 있으며, 반대로 대구내당초등학교는 두류1·2동(그 중 옛 두류1동 지역) 내당네거리에 있다. 학교는 대구두류초가 있다.
- 내당2·3동: 인구는 8,393명.[P] 서문시장 2지구 자리에 舊 롯데마트 서대구점[3]이 있었는데, 2005년 말 화재로 불탄 서문시장 2지구가 임시로 사용하다가 2012년 9월 서문시장 2지구 복구 개발이 완료되면서 내당동에 있던 서문시장 2지구 상가들이 모두 신축된 2지구로 옮겼다. 때문에 현재 구 롯데마트 서대구점 건물은 빈 건물로 방치되어 있었다가 철거되었으며 굿모닝병원이 이전해 올 예정이다. 좀 오래 된 주택들이 많아 다소 낙후된 경관을 보인다. 반고개네거리 못 가서 있는 반고개 구길 쪽에 새길시장, 반고개무침회골목이 있는데 이 동네에서는 제법 유명하다. 반고개역이 이 동네와 양다리 걸치고 있는 역이다. 학교는 대구내서초가 있다.
- 내당4동: 인구는 14,735명.[P] 지금의 내당4동은 1985년 내당6동(現 두류3동)에서 분동된 내당7동이었으며 舊 내당4동은 1988년 달서구 두류동에 편입된 내당4동이 바로 그 곳으로 내당4동, 내당5동, 내당6동이 두류동에 편입되어 사라지면서 내당7동이 (신)내당4동으로 바뀐 것이다. 이 곳도 역시 서구에 속해 있으나 달서구 생활권에 더 가까운 곳이며 두류역과 감삼역은 이 동네와 양다리 걸치는 역이다. 내당동의 다른 동네와 비교하면 삼익뉴타운아파트(1,776세대), 광장타운 1~2차(852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상대적으로 많은 동네. 달구벌대로와 7호광장(두류네거리) 일대는 시내 못지 않은 번화가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광장코아[5] 일대는 서구 최고의 번화가이다. 또한 광코 옆에 서구 최초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롯데시네마 대구광장이 있다. 이 외에 대구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이 있다. 학교는 대구경운초, 경운중, 달성고, 대구과학기술고[6]가 있다.
- 내당동 행정구역 변천사
- 1965년 행정동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설치
- 1970년 내당3동에서 내당5동 분리
- 1982년 내당1동에서 내당6동 분리
- 1985년 내당6동에서 내당7동 분리
- 1988년 내당4동, 내당5동, 내당6동을 신설되는 달서구로 이관, 내당7동을 내당4동으로 개칭
- 1997년 내당2동, 내당3동을 내당2·3동으로 통합
2.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관할 법정동은 비산동이다. 5동과 7동은 경부선 이북에 있어 생활권이 다소 다르다.- 비산1동: 인구는 8,403명.[P] 비산동의 유래가 된 비산(飛山)이 바로 이 동네에 있으며 한참 전에 주거지로 개발되어 산의 형체는 다 사라졌다. 다만 이 동네에 높은 언덕배기가 많아 그 흔적을 알 수 있다.[8] 학교는 대구북비산초, 대구비봉초가 있다.
- 비산2·3동: 인구는 8,105명.[P] 달성공원 옆에 있는 인동촌시장 근처 동네로, 오래 된 가옥들이 좀 많다. 특히 달성공원 바로 옆의 주택단지는 그 정도가 심하며 상당히 낙후된 지역이다. 주민센터는 대구제일고등학교 건너편에 있었지만 비산2동과 비산3동이 합동하면서 대구상수도사업본부 서부사업소로 바뀌었다. 이마저도 현재는 중리동 경덕여고 근처로 이전하여 현재는 서구자원봉사센터로 이용 중이다. 현재 행정복지센터는 서부초로 가는 골목 안쪽의 인동촌시장으로 가는 길에 있다. 서부시장이 있다. 학교는 대구서부초가 있다.
- 비산4동: 인구는 8,820명.[P] 비산동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행정동이다. 옛 대영학원 쪽을 경계로 내당2·3동과 접해 있으며, 활발한 주택 재개발로 빌라들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동네이다. 우방맨션, 한신휴플러스 등 아파트단지도 약간 있다. 더 남쪽으로 반고개역이 있으며 이 역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하면 바로 비산4동이다. 다만 서문시장과 가까운 동 동쪽은 3호선 서문시장역 이용이 더 편하다. 주요 관공서로는 한국전력공사 서대구지점이 있다. 학교는 대구대성초, 대구청라중, 대구제일고가 있다.[11]
- 비산5동: 인구는 5,211명.[P] 생활권은 원대동, 북구 노원동과 같이 팔달시장권에 종속되어 있다. 경부선 철로변으로 복개도로가 있는데, 성서3번 팔달시장행만 다닌다. 학교는 대구인지초가 있다.
- 비산6동: 인구는 6,748명.[P] 딱히 특별한 관공서나 건물이 없는 일반주택지역이다. 이 지역은 버스가 편도운행을 하고 있는데, 비산웰빙하와이 ~ 비산6동주민센터 구간이 이에 해당한다. 비산6동주민센터 앞은 서구1번, 건너편은 524번이 편도운행하므로 그 쪽으로 가려면 잘 확인해야 한다.
- 비산7동: 인구는 8,532명.[P] 대구광역시의 관문 중 하나인 북부정류장이 있는데, 강원도로 가는 차편이 많아 군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팔달시장 주변의 약간의 주거지역을 제외하고 동의 대부분은 비산염색산업단지가 차지하고 있다. 공단 지역이라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다. 북구 노원동3가와 접해 있으며, 팔달교를 통해 북구 칠곡(강북)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다.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옛 월마트 비산점)이 있고,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 옆길과 북부정류장을 잇는 도로[15] 주변에는 자동차 정비업소들과 타이어 판매점, 윤활유 판매점이 많으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차량들도 정비를 받으러 해당 정비업소 주변에 가끔 주차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심지어는 가끔 김천시 시내버스 회사인 김천버스 차량도 대구로 넘어와서 정비를 받으러 이쪽 업소에 보이기도 한다. 학교는 서대구초가 있다.
- 비산동 행정구역 변천사
- 1965년 행정동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비산4동 설치
- 1970년 비산1동에서 비산5동 분리
- 1975년 비산1동과 비산3동 각 일부를 비산6동으로 분리
- 1979년 비산5동에서 비산7동을 분리
- 1997년 비산2동, 비산3동을 비산2·3동으로 통합
3. 평리1동, 평리2동, 평리3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
관할 법정동은 평리동이다. 평리6동 일부는 경부선 북쪽에 있다.- 평리1동: 인구는 6,760명.[P] 비산6동과 바로 이웃한 동네로 이 곳 역시 딱히 특별한 시설이 없는 일반주택 지역이다. 문화로(평리1동 행정복지센터) 구간은 시내버스 편도운행 구간인데 평리1동주민센터 앞은 524번, 건너편은 서구1번이 편도운행한다.(건너편은 전술했듯이 비산6동) 학교는 대구비산초가 있다.
- 평리2동: 인구는 7,258명.[P] 비산2·3동 못지 않게 낙후된 지역이었으나, 주거 재개발로 현재 평리 롯데캐슬(1,281세대)이라는 제법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들어선 동네이다. 학교는 대구서도초가 있다.
- 평리3동: 인구는 12,524명.[P] 서대구역 반도유보라 센텀(1,678세대)이 있으며 서구청, 대구서부경찰서, 서구보건소, 대구광역시립서부도서관 등 서구를 대표하는 공공기관들이 많은 서구의 중심지. 대구가정법원이 서구청 바로 옆에 있었으나 용산1동의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으로 이전했고, 옛터는 대구 한국업사이클센터가 들어서 있다. 학교는 대구평리초, 대평중(구 평리여중), 서대구중, 평리중, 대구서부고가 있다.
- 평리4동: 인구는 16,016명.[P] 평리동에서 평리3동과 함께 그나마 좀 잘나가는 곳. 평리 푸르지오(1,819세대), 평리청구타운아파트(605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제법 있고, 주요 관공서로는 서대구우체국과 모자보건센터가 있다.
- 평리5동: 인구는 8,568명.[P] 인구가 상승 중인데, 동 중앙을 밀고 평리뉴타운 사업이 진행되면서 2023년 서대구역 화성파크드림(1,594세대), 서대구역 서한이다음 더 퍼스트(856세대)가 완공되었고 서대구역 센텀 화성파크드림(1,404세대)이 2024년 완공될 예정이다. 학교는 대구이현초, 한국폴리텍대학 대구캠퍼스가 있다.
- 평리6동: 인구는 5,563명.[P] 평리5동과 더불어 평리뉴타운 사업이 진행되면서 서대구KTX 영무예다음(1,418세대)이 들어섰으며, 그 외 대구서부소방서, 대구학생예술창작터가 있다. 학교는 대구서평초가 있다.[22]
- 평리동 행정구역 변천사
- 1965년 행정동 평리동 설치
- 1975년 평리동을 평리1동, 평리2동으로 분리
- 1979년 평리1동에서 평리3동 분리, 평리2동에서 평리4동 분리
- 1982년 평리3동에서 평리5동 분리
- 1992년 평리5동에서 평리6동 분리
4. 상중이동
관할 법정동은 상리동(上里)·중리동(中里)·이현동(梨峴)이다.[23] 원래는 상중이동을 상리동과 이현동을 포함한 상이동과 중리동으로 분동 후 따로 관할하고 있었으나, 인구 감소로 상이동과 중리동을 다시 통합했다. 인구는 17,991명[A]으로 서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이현동은 현재 서대구산업단지인 공단 지대이면서 대구차량등록사업소 북부분소, 서구문화회관, 이현체육공원이 있고 서대구IC 진입로가 있다. 구 이현삼거리는 서대구역 신설과 함께 진입 도로가 건설되어 현재의 서대구역네거리로 바뀌었다. 학교는 대구중리초가 있다.
중리동은 반은 서대구산업단지(서편), 반은 주택단지(동편/서구청 방향)와 퀸스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중리 롯데캐슬(1,968세대)[25] 등 주거지 재개발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상중이동 인구 대부분이 중리동에 밀집해 있다. 시립병원인 대구의료원이 중리동 와룡네거리 근처에 있으며, 상수도사업본부 서부사업소와 대구광역시 선거관리위원회 및 서구 선거관리위원회도 재개발한 중리롯데캐슬 근처 옆으로 이전해 왔다. 2019년에 청소년 문화의 집이 선거관리위원회 근처에 세워졌다. 학교는 대구달서초, 서남중[26], 중리중, 경덕여고[27]가 있다.
상리동은 와룡산 기슭에 자리잡은 대구광역시 서구에서 유일하게 산지로 이루어진 마을로, 자연마을로는 새방골(상리1동),[28] 가르뱅이(상리2동)가 있다. 그리고 말이 상리동이지 새방골과 가르뱅이는 서로 월경지로, 새방지하도에서 가르뱅이로 직통할 수 없고, 중간에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과 신천대로가 놓여 있어서 두 동네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가르뱅이 뒷쪽의 상리지하차도를 통해 비산염색공단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비산염색공단(달서천로)으로 이어지는 서재로를 통해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로 가는 서재로 중간에 있는 와룡대교를 통해 북구 사수동 및 금호동과 경계를 마주보는 곳이다.[29] 가르뱅이 일대는 혐오시설들이 많아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30]
상리동에는 상리동CNG충전소, 음식폐기물처리장(옛 달서천위생처리장), 경부선 선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교각(가르뱅이 시내버스 종점 바로 상단이 서대구TG) 등이 있는데, 특히 음식폐기물처리장 설치 때 반발이 강했다. 음식폐기물처리장을 만들면서 시내버스들의 편의를 위해 방천리로 나가는 서재로에 상리동CNG충전소를 설치했다. 상리동CNG충전소가 없으면 가르뱅이로 들어오는 노선들은 가스를 충전하러 성서산단이나 서재로에서 와룡대교 혹은 매천대교를 타고 관음동공영차고지까지 가야 한다. 그럼에도 202(-1)번이 들어오기 전까지 가르뱅이 일대는 서구 관내에서 오지 아닌 오지였다.[31] 학교는 중구 대신동 서문시장 옆에 있던 계성고가 2016년 3월에 세방골의 세방지하차도 북쪽으로 이전했다. 그런데 서대구공단으로 들어가는 입구 방향이라 환경 문제가 걸릴 듯하고, 세방골로 다니는 시내버스는 524번밖에 없어서 교통은 상대적으로 불편하다. 상리동 소재는 아니지만 경원고등학교[32]가 2000년 용산2동과 상리동 경계 근처로 이전하면서 이 동네가 알려졌을 정도다.
자가용 이용 시 한정이지만, 달성군 하빈면으로 갈 때 달구벌대로를 타는 것보다 비산염색공단(달서천로)으로 진입하여 가르뱅이 북쪽의 서재로를 통해 달천리로 접근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33]
여러 시내버스 회사들의 차고지[34]가 있었으나, 모두 외곽지로 이전하여 현재 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는 없다.[35]
중리동에 있는 상리공원은 서구 관할이지만 정작 이용하는 사람의 90% 이상은 옆 동네인 달서구 용산동 주민이라는 아이러니함이 존재한다. 나머지는 서대구산단에 근무하는 근로자들 정도. 다만 이러한 이유는 어차피 현재의 용산동과 죽전동이 과거에는 서구였던 터라 관할 구만 달라졌을 뿐, 인접한 생활권역이라는 이야기이다.
- 1965년 행정동 상중이동 설치
- 1985년 상중이동을 상이동, 중리동으로 분리
- 1998년 상이동, 중리동을 다시 상중이동으로 통합
5. 원대동
관할 법정동은 원대동1~3가이다. 후술하지만 북구와 인접한 동네고 전화 국번도 원대동 전역이 북구와 공용하고 있으며, 북구청 본청, 북구청 노원별관, 북부경찰서, 북부도서관이 길 하나 건너면 있을정도로 지리적으로 가까워 북구 관할인 줄로 은근히 헷갈려 하지만, 서구 관할이다. 인구는 10,235명.[A]신라시대 화랑도의 수련원이 있었던 자리라고 하여 원터, 노원이라 불리던 곳이다.[37] 팔달로를 사이로 북구 노원동과 접해 있으며, 이 동네에서 제법 큰 팔달시장과도 접해 있는 곳이라 북구 노원동과 함께 팔달시장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다. 원대동에 있는 팔달로 위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공사가 활발할 때는 덕분에 예전부터 상습정체 구간이었던 이 곳이 더욱 정체가 심해져 출퇴근 길에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따로 없었다.[38]
서구의 다른 지역들과 달리 북구 생활권[39]에 가까운 관계로, 서구 관내에서는 평리6동(북편)[40], 비산5, 7동과 함께 북구의 350번대 국번을 공용한다. 원대오거리 앞 재개발을 통해 서대구센트럴자이(1,526세대)가 건설되었다. 동아리공원 자리에는 원래 북부정류장이 있었다. 학교는 대구달성초, 경일중이 있다.
참고로 이 동네에 북구청역이 있다. (서구 원대로 71) 정확히는 서구 원대동2가와 북구 고성동3가의 경계에 있으나, 일단 주소는 서구 소재로 되어 있다. 어차피 북구랑 양다리 걸쳐 있는 곳이다.
- 1965년 행정동 원대1·2가동, 원대3가 1동, 원대3가 2동 설치
- 1966년 위 행정동들을 각각 폐지 및 개편하여 원대1·2·4가동, 원대3가동, 원대5·6가동으로 재설치
- 1975년 원대1·2·4가동의 법정동 원대동 4가와 원대동2가 일부, 원대5·6가동이 북구로 이관, 나머지 원대동을 원대1·2·3가동으로 개편
- 1979년 원대1·2·3가동을 원대1·2가동, 원대3가동으로 분리
- 1997년 원대1·2가동, 원대3가동을 원대동으로 통합
6. 서구 행정구역 변천사
- 1965년 행정동제 실시
행정동 설치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성당동 | 성당동 | 행정동제 실시 |
내당동 |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 ″ |
비산동 |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비산4동 | |
평리동 | 평리동 | |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 상중이동 | |
원대동1가, 원대동2가 | 원대1·2가동 | |
원대동3가 | 원대3가1동, 원대3가2동 | |
노곡동 | 노곡동 | |
조야동 | 조야동 |
- 1966년 원대동 일대 행·법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원대동1가 | 원대동1가 | [행정동1] |
원대동2가 | 원대동2가 | [행정동1] |
원대동3가 | 원대동3가, 원대동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 | [행정동2] |
- 1970년 행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내당3동 | 내당3동, 내당5동 | |
비산1동 | 비산1동, 비산5동 |
- 1975년 행정동 2차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원대1·2·4가동, 원대3가동, 원대5·6가동 | 원대1·2·3가동 | [44] |
서구 노곡동 | 북구 노곡동 | |
서구 조야동 | 북구 조야동 | |
비산1동, 비산3동 | 비산1동, 비산3동, 비산6동 | [45] |
평리동 | 평리1동, 평리2동 |
- 1979년 행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비산5동 | 비산5동, 비산7동 | |
평리1동 | 평리1동, 평리3동 | |
평리2동 | 평리2동, 평리4동 | |
원대1·2·3가동 | 원대1·2가동, 원대3가동 |
- 1981년 경상북도 달성군 성서읍 편입, 대구직할시 서구로 승격
- 1982년 행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성서출장소 장동, 장기동, 용산동 | 성서1동 | |
성서출장소 죽전동, 감삼동 | 성서2동 | |
성서출장소 본리동 | 본리동 | |
내당1동 | 내당1동, 내당6동 | |
평리3동 | 평리3동, 평리5동 |
- 1983년 성서출장소 폐지, 폐지 직전 관할구역에 성서3동 설치[법정동]
- 1985년 행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성당동 | 성당1동, 성당2동 | |
내당6동 | 내당6동, 내당7동 | |
상중이동 | 상이동, 중리동 |
- 1987년 서구 본리동일부가 남구에 편입, 법정동 본동 설치
- 1988년 서구와 남구 일부지역을 관할로 달서구 설치
달서구 설치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남구 월배1동 | 달서구 월배1동 | 관할 구 변경 |
남구 월배2동 | 달서구 월배2동 | ″ |
남구 월배3동 | 달서구 월배3동 | ″ |
남구 송현1동 | 달서구 송현1동 | ″ |
남구 송현2동 | 달서구 송현2동 | ″ |
서구 성서1동 | 달서구 성서1동 | ″ |
서구 성서2동 | 달서구 성서2동 | ″ |
서구 성서3동 | 달서구 성서3동 | ″ |
서구 성당1동 | 달서구 성당1동 | ″ |
서구 성당2동 | 달서구 성당2동 | ″ |
서구 본리동 | 달서구 본리동 | ″ |
서구 내당4동 | 달서구 두류1동 | 명칭변경 및 관할 구 변경 |
서구 내당5동 | 달서구 두류2동 | ″ |
서구 내당6동 | 달서구 두류3동 | ″ |
- 1992년 평리5동에서 평리6동 분리
- 1997년 행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내당2동, 내당3동 | 내당2·3동 | |
비산2동, 비산3동 | 비산2·3동 | |
원대1·2가동, 원대3가동 | 원대동 |
- 1998년 상이동과 중리동을 다시 상중이동으로 통합
[P]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3] 2000년 개점했다가 2005년 1월 폐점[P] [5] 현재는 웨딩리젠시가 건물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대구 시민들 사이에선 관습적으로 광장코아 혹은 약자인 '광코'로 불리운다. 곧 광장코아&이란 이름으로 재건축될 예정이다.[6] 구 서부공업고등학교[P] [8] 비봉초등학교가 비산의 봉우리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는데 바로 이 곳이 비산의 봉우리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영향인지 경부선이 비산이 있던 비산1동 지역에서 약간의 곡선 드래프트가 있다.[P] [P] [11] 대구청라중과 대구제일고는 협성교육재단 산하에 있다. 대구제일고는 본래 경상여자상업고등학교였다가 2000년 3월 인문계 남녀공학으로 전환과 동시에 교명을 변경하였고, 대구청라중은 원래 경상여자중학교였으나 2024년 3월 남녀공학으로 전환과 동시에 교명을 변경하였다.[P] [P] [P] [15] 본래 칠곡 방향 한정으로 일방통행이었는데, 3호선 공사를 하면서 양방통행으로 전환됐다. 대구 차적의 버스는 이 도로로 안 다니고, 왜관/성주 250번같은 노선만 이 도로를 통해 다닌다.[P] [P] [P] [P] [P] [P] [22] 구 서부여자중학교로 걸스데이 멤버인 소진(박소진)의 모교였던 서진중학교도 이 곳에 있었지만 학생 수 감소로 인근 평리3동의 서부중학교와 통합, 서대구중학교로 변경되었다.[23] 상중이동(上中梨洞)이라는 이름 자체가 저 법정동 3개의 앞 글자를 이어붙인 이름이다.[A] [25] 옛 중리주공아파트. 줄여서 중리아파트로 불렀다.[26] 달서구 감삼동과 마주 보는 서남시장 근처에 있다. 원래 교명은 중리여자중학교였으나, 2003년 남녀공학으로 바꾸면서 서남중학교로 교명을 바꿨다.[27] 걸스데이의 멤버인 박소진의 모교다.[28] 세방골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사실 지금도 새방골 주민들이 둘을 많이 혼동해 한다. 사실상 새방골과 세방골 둘 다 관습적으로 혼용하고 있다고 봐야 할 듯.[29] 거기에 금호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를 통해 중간에 북구 금호동이 끼여 있는 구조다. 즉, 여기도 북구의 월경지다.[30] 쓰레기처리장이나 철도 차량기지, 각종 장묘시설이 대표적인 혐오시설이다.[31] 242번이 1일 10회 다녔다가 204번에게 넘겼고, 204번은 40분에 1대 다녔다. 2006년부터 202(-1)번이 풀 타임으로 운행하여 그나마 교통이 나아졌다.[32] 원래 달서구 송현동 청구제네스 아파트 자리에 있었다.[33] 시내버스로는 좋지 못한 게, 염색공단 안쪽으로는 성서3번이 1일 5회밖에 안 들어오기 때문이다. 성서3번 놓치면 상리지하차도(위생처리장 쪽)까지 걸어가서 204번, 234번, 240번, 서구1(-1)번을 타야 한다.[34] 세한여객, 경신교통, 달구벌버스(구.국일여객), 경상버스, 우진교통 등 무려 5개 업체. 옛날엔 서구였던 용산1동의 남도버스가 지금의 대곡지구가 아닌 제 자리에 있었고 분구되지 않았다면 서구 구내에서만 해도 6개의 버스 회사가 있을 수 있었다.[35] 다만 우진교통과 경상버스는 면허 주소지만큼은 서구 이현동으로 유지하고 있다.[A] [37] 현재 원대동 길 건너편에 있는 북구 노원동도 동명 유래가 같다.[38] 북구 칠곡지구를 연결하는 관문인 팔달교에서 만평역을 거쳐 원대오거리까지 이르는 팔달로 구간은 복현오거리 일대와 함께 대구 시내에서 상습적인 교통체증 구간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게다가 만평역에서 대구북부정류장을 거쳐 평리네거리까지 헬게이트가 이어지기 때문에 대구 3호선 공사를 하면서 상신삼거리(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 - 북부정류장 일방통행 도로를 양방통행으로 바꿨을 정도였다.[39] 정확하게는 팔달시장과 팔달신시장, 만평네거리 생활권[40] 비산염색공단의 달서천 이남 지역도 북구 국번을 쓴다.[행정동1] 원대1·2·4가동[행정동1] [행정동2] 원대3가동, 원대5·6가동[44] 원대동2가 일부, 원대동4~6가 전체가 북구로 이관[45] 비산1동과 비산3동의 일부지역을 관할로 비산6동 설치[법정동] 이곡동, 갈산동, 신당동, 호림동, 호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