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014 | 1017 | 1020 | 1111 | 1112 |
1113 | 1114[a] | 1115 | 1116 | 1119 | |
1120 | 1122 | 1124[a] | 1126 | 1127 | |
1128 | 1129[a] | 1130[a] | 1131 | 1132 | |
1133 | 1135 | 1136[a] | 1137 | 1138 | |
1139 | 1140 | 1141 | 1142 | 1143 | |
1144 | 1154 | 1155 | 1162[a] | 1164[a] | |
1165 | 1167 | 1213 | 1218 | 1221 | |
1222 | 1224 | 1226 | 1227 | 1711 | |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 |||||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1. 개요
아진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7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입구)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강북구청)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5:40 |
막차 | 23:10 | 막차 | 23:50 | ||
배차간격 | 11~14분 | ||||
운수사명 | 아진교통 | 인가대수 | 9대(예비 1대)[1] | ||
노선 | 도봉산입구 - 도봉역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성우아파트 - 도봉구청 - 서울문화고등학교 - 방학사거리 - 도봉구보건소 - 창북중학교 - 창동주공1단지 - 쌍문역 - 창2동한일아파트 - 창림초등학교 - 창동서울탁주 - 태영데시앙아파트 - 수유역.강북구청 → 삼성화재강북지점 → 수유역.노스페이스문화센터 → 이후 역순 |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도봉산입구 - 도봉역 - 시루봉길 - 신동아아파트 - 선덕고 - 숭미초 - 광산사거리 - 수유사거리 - 번동사거리 - 창동 - 쌍문역 - 방학사거리 - 도봉구청 - 도봉동 - 도봉산입구'의 경로로 다녀서 도봉구 순환버스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었다. 내/외선 구분이 없었으므로 외선을 한바퀴 돌고 도봉산차고지에 도착 후 다시 내선을 돌아와야 한 탕이었다. 당연히 1127번과 1128번은 운행댓수가 부족하여 15~20분에 1대씩 왔고,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30분씩 벌어졌다.
- 배차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고 근로조건이 열악했다. 2005년 4월 14일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순환선의 서쪽 고리인 안방학동과 쌍문동을 단축하며, 수유역에서 회차하고 창동역(서측)과 창동주공단지를 들어가도록 조정되었다. 같은날 노원구 구간이 단축된 1128번이 이 구간을 대체한다.
- 2005년 12월 20일에 창동역 서측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19년 7월 1일을 기해 평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3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10월 1일을 기해 단축운행차량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면서 단축운행차량이 사라지고, 본래 7대였던 토요일 운행 댓수가 8대로 1대 증편되며, 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평일과 동일한 수준으로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4회/7회 증회되고 공휴일에는 4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2월 10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11월 16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쌍문역 3번 출구가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로 폐쇄되면서 수유역 방향 운행시 마을버스가 서는 쌍문역 4번 출구 정류장이 아닌 쌍문역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에스컬레이터 공사가 완료된 뒤에도 중앙차로 정류장 정차가 그대로 유지된다.
4. 특징
- 기.종점만 본다면 도봉로로 연결이 가능하여 도봉공영차고지 출발 간선버스는 물론 의정부 방향의 도봉로 이용노선들과 완벽하게 중복된다. 따라서 이 노선은 2004년 대개편 당시 지선버스의 역할에 충실하다. 직선경로 대신 창2·3·5동, 도봉2동 등을 경유하는, 이른바 '우회노선'의 형태로 다닌다. 도봉산입구~수유역 구간에서 3번에 걸쳐 도봉로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기를 반복한다. 도봉구민이 도봉구청이나 서울북부지방법원 등을 환승이나 도보 없이 이용하기 편리하고, 신창동(덕릉로) 및 창동중앙약국 일대에서 다른 노선들보다 빠르게 쌍문역으로 주파해서 도봉로 동축에서 중심지로 빠르게 잇는다.
- 사실 이런 기능들 빼고는 이 노선이 하는 일은 거의 없는데다가 대체노선이 풍부하다. 또 도봉로 연선에서 도봉구청, 서울북부지방법원 등으로 간다면 1127번보다 도봉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경유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다.
4.1. 노선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7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삼성화재강북지점 09206 | |||||
수유역.노스페이스문화센터 09248 | ↓ | ← | ↑ | 수유역.강북구청 09272 | ||
수유3동우체국 09247 | 수유3동우체국 09246 | |||||
태영데시앙아파트 10336 | ↓ | ↑ | 태영데시앙아파트 10311 |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 10253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 10252 | |||||
창번2교앞 10314 | ↓ | ↑ | 금용아파트 10313 | |||
창동서울탁주앞 10250 | 창동서울탁주앞 10251 | |||||
창동.신창시장 10330 | ↓ | ↑ | 신창.창동시장 10331 | |||
국립현대미술관창동레지던시 10248 | 국립현대미술관창동레지던시 10249 | |||||
창림초등학교후문 10262 | ↓ | ↑ | 창림초등학교후문 10263 | |||
창동청구빌라 10260 | 창동청구빌라 10261 | |||||
창1동제1공영주차장입구 10257 | ↓ | ↑ | 창2동한일아파트 10256 | |||
KT도봉지점 10259 | 한신아파트101동앞 10258 | |||||
쌍문역.쌍리단길 10126 | ↓ | ↑ | 쌍문역 10015 | |||
창동고등학교.창북중학교 10305 | 창동고등학교.창북중학교 10657 | |||||
창동주공1단지 10228 | ↓ | ↑ | 창동주공1단지아파트 10229 | |||
창5동현대1차아파트 10298 | 창5동현대아파트 10297 | |||||
도봉보건소 10117 | ↓ | ↑ | 도봉보건소 10118 | |||
방학사거리.바로선병원 10115 | 방학사거리 10116 | |||||
서울문화고등학교 10740 | ↓ | ↑ | 서울문화고등학교 10197 | |||
방학1동대상타운현대삼성아파트 10135 | 방학1동대상타운현대삼성아파트 10136 | |||||
도봉구청 10133 | ↓ | ↑ | 도봉구청 10134 | |||
서원아파트 10735 | - | |||||
법조타운공영주차장 10131 | ↓ | ↑ | 법조타운공영주차장 10132 |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성우아파트 10129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성우아파트 10130 | |||||
도봉동서광아파트 10303 | ↓ | ↑ | 성대야구장노원교앞 10160 | |||
노원교 10159 | 노원교 10158 | |||||
도봉역.도봉래미안아파트 10157 | ↓ | ↑ | 도봉역 10156 | |||
도봉동한신아파트 10104 | 도봉동한신아파트 10103 | |||||
김근태기념도서관.도봉고등학교 10155 | ↓ | ↑ | 도봉고등학교 10154 | |||
도봉산입구 10317 · 10153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7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3,214명 | - |
2014년 | 3,184명 | ▽ 30 |
2015년 | 3,353명 | △ 169 |
2016년 | 3,356명 | △ 3 |
2017년 | 3,336명 | ▽ 20 |
2018년 | 3,261명 | ▽ 75 |
2019년 | 3,310명 | △ 49 |
2020년 | 2,648명 | ▽ 662 |
2021년 | 2,623명 | ▽ 25 |
2022년 | 2,896명 | △ 273 |
2023년 | 3,168명 | △ 272 |
2024년 | 3,459명 | △ 291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방학역, 도봉역, 도봉산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쌍문역, 수유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
[1] 토요일 / 공휴일 7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