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02:41:11

서울 버스 1224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1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014 1017 1020 1111 1112
1113 1114[a] 1115 1116 1119
1120 1122 1124[a] 1126 1127
1128 1129[a] 1130[a] 1131 1132
1133 1135 1136[a]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1154 1162[a] 1164[a] 1165
1167 1213 1218 1221 1222
1224 1226 1227 171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서울 버스 1224 삼화상운.jpg 파일:IMG_12241224.jpg
삼화상운 차량 흥안운수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사건.사고4.2.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

1. 개요

삼화상운흥안운수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1.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224 노선도.svg
기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흥안운수상계4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청량리역환승센터(5번승강장))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30
막차 23:20 막차 00:20
평일배차 5~10분 주말배차 토요일 8~14분/공휴일 10~15분
운수사명 흥안운수 / 삼화상운 인가대수 22대(예비 2대)[1][2][3]
노선 상계4동종점 - 노원롯데캐슬시그니처 - 상계역 - 중계1동주민센터 - 은행사거리 - 중계목련3단지아파트 - 하계역 - 한천중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안마을 - 태릉사거리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역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 → 제기동주민센터.서울약령시앞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이후 역순

3. 역사

4. 특징

4.1. 사건.사고

2015년 8월 4일 16시 30분경 버스가 도로를 이탈하며 당현천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 사유는 운전 기사의 빈혈이다. 기사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4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8,426명 -
2014년 18,259명 ▽ 167
2015년 18,130명 ▽ 129
2016년 17,487명 ▽ 643
2017년 17,951명 △ 464
2018년 18,153명 △ 202
2019년 17,853명 ▽ 300
2020년 13,430명 ▽ 4,423
2021년 13,892명 △ 462
2022년 14,991명 △ 1,099
2023년 16,084명 △ 1,093
2024년 16,831명 △ 747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4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제기동주민센터.서울약령시앞
06168
청량리수산시장
06418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
06286
이상 회차 구간
청량리역환승센터(2번승강장)
06018
청량리역환승센터(5번승강장)
06020
- 청량리미주상가앞
06315
서울성심병원
06114
떡전교사거리.동대문노인복지관
06014
휘경동입구
06117
시조사삼거리
06013
삼육서울병원
06012
삼육서울병원
06011
중랑교
06010
중랑교
06009
중랑역.동부시장
07006
중랑역.동부시장
07005
중화동한신아파트
07110
국민은행중화동지점
07109
지하철7호선중화역
07108
지하철7호선중화역
07107
한국전력동대문중랑지사
07106
한국전력동대문중랑지사
07105
먹골역4번출구
07426
먹골역5번출구
07425
묵1동주민센터입구.먹골역
07214
묵1동주민센터입구.먹골역
07215
묵동공감대아파트
07202
-
묵동구길
07212
묵동구길
07213
태릉사거리
11112
태릉사거리
11115
두산힐스빌아파트
11131
두산힐스빌아파트
11130
안마을
11129
안마을
11132
원자력병원공릉동삼익2차아파트
11157
원자력병원입구
11128
동부아파트
11124
공릉동.동신아파트앞
11170
서울과학기술대앞
11418
서울과학기술대앞
11121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11445
한천중학교
11446
- 청솔7단지앞
11801
경춘선숲길방문자센터
11505
경춘선숲길방문자센터
11803
하계미성아파트
11417
하계장미아파트
11448
하계미성아파트.을지병원
11425
하계역
11426
한성여객종점
11429
-
대진고등학교
11433
골마을근린공원
11434
서울온천
11435
하계1동주민센터
11436
노원경찰서.혜성여고
11437
노원경찰서
11438
하계현대아파트
11442
중계목화아파트4단지
11381
롯데마트
11358
목련아파트상가
11380
중계구민체육센터
11356
중계구민체육센터
11357
롯데우성아파트
11355
중계주공10단지.중계건영3차아파트
11354
은행사거리
11414
은행사거리
11349
중계1동주민센터
11398
중계1동주민센터
11348
중계주공4단지
11397
중계주공4단지
11396
중계주공2단지
11395
중계주공3단지
11394
상계역
11393
상계역
11392
상계역
11391
상계벽산아파트
11240
상계불암대림아파트
11231
당고개입구오거리
11241
노원롯데캐슬시그니처아파트
11229
노원롯데캐슬시그니처아파트
11230
동아불암아파트
11228
동아불암아파트
11227
- 불암현대아파트
11226
흥안운수종점
11224
흥안운수종점
11225
흥안운수상계4동종점
11232 · 11491
}}}}}} ||

6. 연계 철도역



[1] 삼화상운 8대 / 흥안운수 14대(예비 2대)[2] 토요일 19대(삼화상운 8대, 흥안운수 11대) / 공휴일 17대(삼화상운 6대, 흥안운수 11대) 운행[3] 흥안운수 예비차 1대는 평일에 정규차처럼 투입[4] 공릉동을 기준으로 노원구 생활권과 중랑구 생활권이 나뉘기 때문. 때문에 먹골역을 지날때쯤엔 오히려 한산해진다.[5] 따라서 공릉2동으로 가는 1132번과 같이, 두 노선 다 5~10분 정도의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운행함에도 통학 시간대엔 혼잡이 뜨는 일이 매우 흔하다.[6] 노원구의 지선버스들이 타 지역 지선버스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매우 처참해서 이 노선으로 많이 쏠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1132번, 1135번, 1137번, 1142번, 1167번이 배차가 좋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