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30 13:10:55

서울맹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서울맹학교_전경.jpg
학교 전경
서울맹학교
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Blind
서울盲學校
파일:국립서울맹학교_로고.jpg
파일:서울맹학교_로고.jpg
교훈 근면·성실·행동
설립 연도 1913년 4월 1일[1]
유형 시각장애인(맹아) 특수학교
운영 형태 국립
성별 남녀공학
시설 수 84개
학급 수 39개
학생 수 186명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 필운대로 97(1-4)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훈맹정음()의 창시자, 박두성(, 1888년 4월 26일~1963년)2.2. 미국사회운동가, 헬렌 켈러([ruby(Hellen, ruby=헬렌)] [ruby(Adams, ruby=애덤스)] [ruby(Keller, ruby=켈러)], 1880년 6월 27일~1968년 6월 1일) 여사내한
3. 연혁4. 교육목표5. 교훈 및 상징6. 교가7. 졸업생8. 이용가능한 대중교통9. 기타

[clearfix]

1. 개요

서울맹학교(서울盲學校)[2]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에 위치한 시각장애 국립 특수학교이다.

2. 역사

의외로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에 대한 교육의 역사가 근대교육 태동기와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된 것만큼 오래 되었는데 1894년, 로제타 홀([ruby(Rosetta, ruby=로제타)] [ruby(Sherwood, ruby=셔우드)] [ruby(Hall, ruby=홀)], 1865년 9월 19일~1951년 4월 5일)[3] 여사가 최초로 맹인여학생을 가르친 것에서 부터 비롯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로제타 홀 여사는 1900년 6월에는 한국 최초의 맹학교인 에디스 마그리트 어린이 병동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일제강점기인 1913년 4월 1일, 장애인들의 교육 시설인 제생원이 설립되었고, 제생원의 맹아부에 뿌리를 둔 서울맹학교의 기원이기도 하다. 광복 후인 1945년 10월 1일, 국립맹아학교로 개칭했고, 6.25 전쟁이 한참 진행중이였던 1952년 6월 1일에는 서울맹아학교로 재창 개칭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서울 용산에 맹학생들과 졸업생을 위한 이료 교육시설이 갖춰져 있다.

2.1. 훈맹정음()[4]의 창시자, 박두성(, 1888년 4월 26일~1963년)

파일:박두성_선생_초상.jpg
본관무안(). 송암()으로, 경기도 강화군[5]에서 6남 3녀 중 맏이로 태어났으며, 1895년 고씨 집안의 결혼을 하였고, 1913년에 제생원의 교사로 취임한 박두성은 1920년부터 7년간의 노력 끝에 1926년,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한글 점자훈맹정음을 창안하였다. 이 후 훈맹정음으로 서적을 번역하고, 시각장애인들의 민족의식 고취에 힘을 쏟고 있다.

그러다가 1936년 퇴임을 하고, 인천 영화소학교[6]에 교장으로 취임하면서도 점자 보급에 아주 열중히 기울였는데, 해방 후에도 보급을 위해 헌신을 여전히 아낌없이 쏟아내고 있으며 1940년 조선 맹아 사업 협회를 조직하면서, 1945년에는 인천 시각 장애인 회람지인 '촉불'을 발간하기도 하였다.

2.2. 미국사회운동가, 헬렌 켈러([ruby(Hellen, ruby=헬렌)] [ruby(Adams, ruby=애덤스)] [ruby(Keller, ruby=켈러)], 1880년 6월 27일~1968년 6월 1일) 여사내한

파일:chosun_07.14.1937.jpg
조선일보 1937년 7월 14일
파일:dong-a_07.13.1937.jpg
파일:dong-a_07.13.1937_(2).jpg
동아일보 1937년 7월 13일
일제가 중국(중화민국) 대륙을 본격적으로 기습·침공하여 전쟁이 벌어지던 시기의 1937년, 그녀의 스승이셨던 시각장애인 앤 설리번([ruby(Johanna, ruby=조애나)] [ruby(Mansfield, ruby=맨스필드)] [ruby(Sullivan, ruby=설리번)] [ruby(Macy, ruby=메이시)], 1866년 4월 14일~1936년 10월 20일)의 끊임없는 가르침과 노력을 통하여 ··를 모두 극복하였던 미국의 사회운동가인 헬렌 켈러 여사가 조선 경성부도착·방문을 하기도 하였다.

3. 연혁

파일:서울맹학교_연혁.jpg

4. 교육목표

파일:서울맹학교_목표.jpg

5. 교훈 및 상징

파일:서울맹학교_상징.jpg

6. 교가

파일:서울맹학교_교가.jpg

7. 졸업생

8.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8.1. 통학버스 시간

파일:서울맹학교_통학버스_시간.jpg

8.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서울 지하철 3호선

파일:서울맹학교_교통안내.jpg

9. 기타

맹학교 교사와 청와대의 거리가 상당히 가까운 편이다. 청와대 앞 분수광장 기준으로 약 500여 미터 정도. 그래서 청와대 앞에서 집회가 열릴 때 생기는 소음 때문에 불편한 점이 많다.

이는 맹학교 뿐만 아니라 청와대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겪는 일이지만 맹학교의 경우 문제가 더 크다. 맹학교의 교사 및 학생들은 그 특성상 소리로 사물과 거리를 구분해야 해서 소음에 더욱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게 어제 오늘 일이 아니어서 학교 측이 주변 거주 주민들과 함께 공동으로 집회를 막아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지만 해결이 쉽지 않은 편이다.
[1] 일제강점기때 이름은 제생원으로 장애인들의 교육 시설이었다. 좀 더 정확히는 제생원 맹아부(맹본과)였다.[2] 대한민국 특수학교 목록 중 최초로 작성된 특수학교 문서다. 정확히는 광주인화학교가 더 먼저 작성되었으나, 현재 폐교된 상태이다.[3]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전신인 보구녀관()에서 의료선교 활동을 한 미국인 여의사이면서 아들이였던 선교사인 셔우드 홀(1893년 11월 10일~1991년 4월 5일)의 어머니이기도 한다.[4] 파일:훈맹정음.jpg 파일:훈맹정음_2.jpg[5] 인천광역시 강화군.[6]인천 영화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