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법무부 교정본부 | ||
서울지방교정청 | <colbgcolor=#ecebff,#020033> 교도소 | 안양교도소 · 의정부교도소 · 화성직업훈련교도소 · | |
구치소 | 서울구치소 · 서울남부구치소 · 서울동부구치소 · 수원구치소 (평택지소) · 인천구치소 · | ||
대구지방교정청 | 교도소 | 대구교도소 · 경북북부제1·2·3교도소 · 경북직업훈련교도소 · 부산교도소 · 창원교도소 · 포항교도소 · 안동교도소 · 김천소년교도소 · 경주교도소 · 진주교도소 · 상주교도소 | |
구치소 | 부산구치소 · 대구구치소 · 울산구치소 · 밀양구치소 · 통영구치소 · 거창구치소 | ||
대전지방교정청 | 교도소 | 대전교도소 (논산지소) · 공주교도소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 천안개방교도소 · 천안교도소 · 청주교도소 · 청주여자교도소 | |
구치소 | 충주구치소 · | ||
광주지방교정청 | 교도소 | 광주교도소 · 전주교도소 · 순천교도소 · 목포교도소 · 장흥교도소 · 군산교도소 · 제주교도소 · 해남교도소 · 정읍교도소 · | |
구치소 | |||
국군교도소 (국방부) · 소망교도소 (민영) · 국립법무병원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b39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부과천청사 입주기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서울지방교정청 서울地方矯正廳 Seoul Regional Correction Headquarter |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중앙동)[1] | ||||
국가 | |||||
관할구역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 ||||
교정청장 | 최제영 | ||||
상급기관 | 법무부 교정본부 | ||||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한 교도소 및 구치소를 관리하는 기관.2. 역사
1991년 11월 1일에 개청했다.3. 조직
- 총무과
- 보안과
- 사회복귀과
- 분류센터
- 전산관리과
3.1. 휘하 교도소·구치소
- 교도소
- 구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