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법무부 교정본부 | ||
서울지방교정청 | <colbgcolor=#ecebff,#020033> 교도소 | 안양교도소 · 의정부교도소 · 화성직업훈련교도소 · | |
구치소 | 서울구치소 · 서울남부구치소 · 서울동부구치소 · 수원구치소 (평택지소) · 인천구치소 · | ||
대구지방교정청 | 교도소 | 대구교도소 · 경북북부제1·2·3교도소 · 경북직업훈련교도소 · 부산교도소 · 창원교도소 · 포항교도소 · 안동교도소 · 김천소년교도소 · 경주교도소 · 진주교도소 · 상주교도소 | |
구치소 | 부산구치소 · 대구구치소 · 울산구치소 · 밀양구치소 · 통영구치소 · 거창구치소 | ||
대전지방교정청 | 교도소 | 대전교도소 (논산지소) · 공주교도소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 천안개방교도소 · 천안교도소 · 청주교도소 · 청주여자교도소 | |
구치소 | 충주구치소 · | ||
광주지방교정청 | 교도소 | 광주교도소 · 전주교도소 · 순천교도소 · 목포교도소 · 장흥교도소 · 군산교도소 · 제주교도소 · 해남교도소 · 정읍교도소 · | |
구치소 | |||
국군교도소 (국방부) · 소망교도소 (민영) · 국립법무병원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c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ca2>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행정 | | |
사법 | | | |
소방 | | ||
병무 | | ||
치안 | |||
수사 | | ||
교정 | | ||
보훈 | |
법무부 교정본부 서울지방교정청 인천구치소 Incheon Detention Center | 仁川拘置所 | |
| |
<colbgcolor=#141b4d><colcolor=#fff> 종류 | 구치소 |
운영주체 | 법무부 교정본부 서울지방교정청 |
개소 | 1990년[1] |
소장 | 민낙기 |
위치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30 (학익동) |
서신주소 | (21552) 인천시 남인천우체국 사서함 343호 |
연락처 | 032-868-8771 |
링크 |
[clearfix]
1. 개요
법무부 교정본부의 서울지방교정청 산하 구치소. 인천지방법원[2]과 인천지방검찰청[3] 부근에 위치해 있다. [4]2. 역대 소장
<rowcolor=#fff> 대수 | 성명 | 임기 | 비고 |
제30대 | 김동현 | 2021년 1월 25일~2021년 8월 7일 | 행정 41기 |
제31대 | 최규철 | 2021년 8월 8일~현재 | 교정간부 36기 |
3. 조직 및 수용구분
- 총무과
- 보안과
- 출정과
- 분류심사과
- 수용기록과
- 민원과
- 사회복귀과
- 복지과
- 의료과
4. 주요 수감자
- 교도소 일기의 저자 -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5](수감기간 불명[6])
- 성명준 - 권리금 사기 사건
- 이청연 - 前 인천시교육감. 뇌물 혐의(2017.2 ~ 2017.3)
- 박중원 - 박용오 전 두산그룹 회장 차남. 사기 혐의(2021.6 ~ )
- 유상봉 - 공직선거법 위반, 사기, 전자장치 부착등에 관한 법률 위반, 도주(2021.7 ~ 현재)[7]
- 이은해, 조현수 - 살인 혐의(2022.4.19. ~ 2023)[8]
- 인하대학교 재학생 준강간치사 사건의 범인(신상공개 이뤄지지 않음) - 준강간살인 혐의(2022.7.22. ~ 2023.1.20.) #[9]
- 불리 다 바스타드 - 마약 투약 혐의(2022.7.12. ~ 2023.12)
- 안정권 - 문재인 전 대통령 명예훼손 및 모욕,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대선 경선 방해 및 후보자 비방, 허위사실 공표에 따른 공직선거법 위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계양을 보궐선거 유세 방해 및 후보자 비방, 허위사실공표에 따른 공직선거법 위반 (2022.9.5.~2023.3.5)[10]
- 권인석 - 강도살인 혐의(2023.2 ~ 2024.2?)[11]
- 전청조 - 사기 혐의[12]
5. 사건사고
- 2019년 3월 한 수용자가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다른 수용자가 반말을 한다는 이유로 폭행하여 1심에서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고, 그 어린 수용자에게 되려 맞았다며 항소했으나 기각당했다. 링크
- 2020년 9월 중국 국적 수용자 2명이 같은 수용실에 있던 한국인 수용자 1명을 공동 폭행해 1심에서 각각 징역 8월과 징역 6월이 선고되었다.링크
- 서울동부구치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을 계기로 2021년 1월 법무부에서 전수조사를 진행했고 직원과 수용자 전원 음성판정을 받았다.링크
- 2022년 5월 집단 폭행 사건이 발생해 재소자가 뇌사 상태에 빠지는 사건이 발생했다.국민일보, SBS 결국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교정시설의 질서를 잡는 일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연합뉴스
6. 여담
법무부에서 인천고등법원 및 인천고등검찰청 개청을 추진함에 따라 수용 소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며 2024년 현재 수용가능인원보다도 초과된 상태로 운영중[13]인데 2개 기관이 개청함에 따라 인천구치소도 증축을 통해 수용인원을 증가시킬 계획이다.인천일보7. 교통
구치소 정문에서 인천지방법원 쪽으로 가면 '법원, 검찰청 입구' 정류장에서 인천 버스 4, 인천 버스 111-2, 인천 버스 515, 인천 버스 515-1, 인천 버스 9200[14]과 연결된다. 또한 법원 방향 반대편으로 도보 10분 정도 거리에 있는 학익2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인천 버스 516, 인천 버스 4, 인천 버스 5-1, 인천 버스 8, 인천 버스 1601[15], 광명 버스 3001과 연결된다.[1] 인천소년형무소는 천안으로 이전하였고, 같은 건물을 인천구치소로 개소한게 1990년이다. 이후 1997년에 현 위치에 신축하였다.[2] 위 사진 옆 작은 건물이 인천지방법원이다.[3] 위 사진의 인천구치소 건물 바로 뒤에 인천지방검찰청이 위치해 있다.[4] 현재의 인천지방법원과 인천지방검찰청이 과거 인천소년교도소(인천구치소) 부지 일부였다.[5] 작품의 배경도 이곳이다.[6] 수감 도중 집행유예 처분을 받고 석방되었다.[7] 앞에 두 혐의는 이미 대법원에서 형이 확정되었다.[8] 서울구치소 이감[9] 1심에서 검찰 측이 항고하여 서울구치소로 이감되었으며, 대법원에서 20년형이 확정된 후 경북북부교도소로 이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 2023년 3월 6일 담당판사 인사변동으로 인해 구속수감 반년 만에 구속집행정지로 출소했다.[11] 2024년 2월 대법원에서 무기징역 확정[12] 최근에 징역형이 확정된 사건이 아닌 이전 범행에 대한 재판을 받던 중 이곳에 수감된 걸로 보임.[13] 1058명을 수용가능하나 2200여명을 넘게 수용중[14] 서울 방향만 경유[15] 인하대 방향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