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스타벅스/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704a><colcolor=#fff> 제품군 | 피지오 · 티바나 · 프라푸치노 및 블렌디드 · 리프레셔 · 리저브(원두) · 프로모션 음료 · 푸드 · 비아 인스턴트 · RTD 음료 · 등재된 개별 메뉴 | |
매장 | <colbgcolor=#00704a> 한국 | 서울 · 인천 · 부산 · 울산 · 대구 · 광주 · 대전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미국 | 스타벅스 1호점 & 파이크점 | ||
기구 | 마스트레나 · 클로버 · 블랙이글 | ||
서비스 | 리워드 · 카드 · 딜리버스 · 스타벅스 현대카드 | ||
현황 | 파트너 · 논란 | ||
이 외 | 관련 문서 템플릿 · 커피 관련 문서 |
[clearfix]
1. 개요
2024년 11월 25일 기준, 전체 매장 수는 67개이다.국내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141개), 대구(90개), 인천(82개)에 이어 5위이다.[1]
2001년 광주신세계백화점 1층에 오픈한 매장[2]을 시작으로 광주에 진출하였고 201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광주 주요 번화가가 자리잡은 동구와 서구에만 매장이 편중되어 있었으나, 대략 2017년부터 광주 전역에 매장이 생기기 시작하여 현재는 어느 구를 꼽을 것 없이 매장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동으로 따지면 얘기가 달라진다. 상무지구로 개발된 서구 치평동에 서구 전체 매장 수의 1/3이 넘는 6개의 매장이 있고[3] 광주 최후의 리저브 매장도 여기에 있었다.[4]
광주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한가지 꼽자면 DT매장의 비중이 매우 높다는 것인데, 총 67개 중에 무려 28개에 달하며 비율로 보면 42%라는 수치를 보인다. 이는 전국 시/도 가운데 렌터카 관광객 수요가 높은 제주를 제외하면 가장 높으며,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가운데는 최상위 수준이다. 여기에는 광주가 여타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땅값이 저렴해서 부지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과, 대중교통 보다는 자가용 중심의 이동패턴을 보인다는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인지 광주의 DT매장은 주요 대로변 또는 제2순환도로 나들목들과 인접한 곳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특징이 있다.[5][6]
2. 범례
2.1. 매장 유형
매장에 대한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colcolor=#fff> | 스타벅스 일반 매장 |
<rowcolor=#DD926A> |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 |
<rowcolor=#1D2683,#303fdb> | 스타벅스 티바나 인스파이어드 매장 |
<colbgcolor=#007753> DT | <colcolor=#007753> 드라이브 스루 주문 가능 |
WT | 워크 스루 주문 가능 |
* 티바나 인스파이어드 메뉴와 리저브 메뉴를 같이 판매하는 매장은 리저브 매장으로 분류. |
2.2. 연계교통
이모지에 적힌 범례는 다음과 같다.<colbgcolor=#007753><colcolor=#fff> 🚌 | <colcolor=#007753> 버스 터미널 |
🚏 | 버스 정류장 |
✈️ | 공항 |
고속열차(KTX·SRT) 정차역 | |
🚉 | 일반열차 철도역 |
3. 매장 목록
서술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기재했다.===# 광산구 #===
총 17개 매장이 있어 서구와 함께 광주에서 매장이 가장 많다.[7] 광산구는 광주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자치구라 매장이 고르게 퍼져있는 편인데, 최근 첨단지구의 상권이 흥하고 있어 매장이 하나 둘씩 늘어 2024년 기준 5개의 매장이 밀집되어 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매장 | ||
지점명 | 주소 | 연계교통 |
DT 광주비아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과기로 81 (비아동) | |
광산수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신로 134, 1~2층 (수완동) | |
DT 광주산정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아로 342 (산정동) | |
DT 광주선운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운로 20번길 63 (선암동) | |
광주송정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02 (송정동) | 광주송정역 광주송정역 |
광주송정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205번길 6 (송정동) | 광주송정역 광주송정역 |
DT 광주수완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487 (수완동) | |
DT 광주시리단길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826번길 29-12 (쌍암동) | |
2024년 11월 21일 오픈 호남 최초의 칵테일 음료 특화매장이다. 최근 이 일대 상권이 ‘시리단길’로 불리고 있는데, 매장명에 그대로 채용했다. | ||
DT 광주신가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 335 (신가동) | |
2014년 12월 23일 오픈 광주 최초의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다. | ||
DT 광주신창강변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문대로 321 (신창동) | |
2023년 2월 16일 오픈 호남 최초의 베이커리 특화매장이다. DT매장임에도 매장이 300여 평 규모로 상당히 크다. | ||
광주쌍암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 158 (쌍암동) | |
DT 광주운남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156 (운남동) | |
광주장덕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신로 85 (장덕동) | |
광주첨단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 104 (월계동) | |
DT 광주첨단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월봉로 84 (산월동) | |
광주하남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216번길 38-16, 1~2층 (우산동) | |
DT 광주흑석DT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367 (산정동) |
===# 남구 #===
총 10개 매장 가운데 4개가 봉선2동에 몰려있고, 2개가 진월동 생활권에 있다. 그 외에는 각 택지지구 별로 하나씩 있는 수준.
광주광역시 남구 매장 | ||
지점명 | 주소 | 연계교통 |
DT 광주방림DT | 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67 (방림동) | |
광주봉선 |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 176, 1층 101,111호 (봉선동) | |
상무대교점과 더불어 광주의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 중 한 곳이었으나, 2019년 경 일반매장으로 전환했다. | ||
광주봉선로 | 광주광역시 남구 제석로 104 (봉선동) | |
광주봉선중앙 |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중앙로 51 (봉선동) | |
광주서문대로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 665 (진월동) | 🚌 남부시외버스정류소[8] |
DT 광주월산DT | 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386 (월산동) | |
DT 광주주월DT | 광주광역시 남구 회재로 1256 (주월동) | |
광주진월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 745 (주월동)[9] | |
DT 광주효천DT | 광주광역시 남구 임암길 232 (임암동) | |
봉선이마트 |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 198 (봉선동) |
===# 동구 #===
총 9개의 매장이 있어 광주에서 매장이 가장 적은 자치구이지만 동시에 면적도 동구가 가장 작아서 부족하단 느낌은 들지 않는다. 그 중 3개가 충장로에 몰려있고, 동명동/조선대/무등산[10] 등 나름 중요 포인트에 하나씩 있다.
광주광역시 동구 매장 | ||
지점명 | 주소 | 연계교통 |
광주동명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 16 (동명동) | |
DT 광주지산DT |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240 (동명동) | |
광주지산유원지입구 |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 592 (산수동) | |
DT 광주지원DT |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527 (용산동) | |
DT 광주충장DT | 광주광역시 동구 천변우로 421(불로동) | |
광주황금 |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160번길 14 (황금동) | 금남로4가역 |
조선대 |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로 3 (서석동) | |
충장서림 |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93-5 (금남로2가) | 문화전당역 |
2002년 8월 14일 오픈 광주지역 2호점이자 현재 가장 오래된 매장이다. | ||
충장일가 |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로 43 (충장로1가) | 문화전당역 |
===# 북구 #===
총 14개 매장이 있다. 북구가 광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인걸 생각하면 인구 대비 매장 수가 가장 적다.
===# 서구 #===
광선구와 함께 광주에서 가장 많은 17개 매장이 있으며, 그 중 무려 7개가 상무지구에 몰려 있고 3개는 신세계백화점 쪽에 있다.
광주광역시 서구 매장 | ||
지점명 | 주소 | 연계교통 |
광주광천 | 죽봉대로 66, 씨엔타워 1층 (농성동) | |
2024년 3월 28일 오픈 앞서 영업종료된 신세계광주점의 대체매장이다. | ||
DT 광주금호DT |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107 (쌍촌동) | |
광주동림 | 광주광역시 서구 하남대로 672-1, 송림빌딩 1층 (동천동) | |
DT 광주신세계DT | 광주광역시 서구 죽봉대로 33 (화정동) | 농성역 |
광주상무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75, 메디피아 1층 (치평동) | |
2008년 2월 21일 오픈 광주지역 4호점 | ||
광주상무대교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90, 눈높이상무센터 1층 (치평동) | |
광주의 최후의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이었다. 2021년 3월 4일을 끝으로 일반매장으로 전환했다. | ||
광주상무시민로 |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253, 아이타워 103호 (치평동) | |
광주상무중앙로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46, 오션2빌딩 1층 (치평동) | |
DT 광주상무DT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847 (쌍촌동) | 운천역 |
광주염주 | 광주광역시 서구 월드컵4강로 56, 가우디움56 1층 (화정동) | |
광주풍암 |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2로 8, 한아름빌딩 (풍암동) | |
광주풍암호수공원 | 광주광역시 서구 회재로 970 (풍암동) | |
DT 광주화정DT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080 (화정동) | 화정역 |
상무역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7, 상무타워 1층 (치평동) | 상무역 |
상무치평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자유로 173, 대영빌딩 1층 (치평동) | |
DT 서광주DT | 광주광역시 서구 서광주로 23 (매월동) | |
신세계광주신관B1 | 광주광역시 서구 죽봉대로 61, 플레이 스팟 지하 (B) 01호 (화정동) | |
2011년 10월 19일에 광주신세계백화점 본관 5층에 위치한 신세계광주5F점과 함께 오픈했다.[11] 패션스트리트가 신세계 신관으로 리뉴얼되면서 스타벅스 역시 리뉴얼을 거쳤고 매장명도 변경했다. |
===# 폐점 매장 #===
서술 순서는 폐점한 순서대로 기재했다.
광주광역시 폐점매장 | ||
지점명 | 주소 | 연계교통 |
신세계광주5F |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32(광천동) | |
신세계광주패션몰점(現. 신관B1점)과 함께 2011년 10월 19일 오픈 2017년경 영업종료. 광주 1호 폐점매장이다. | ||
DT 광주운암DT |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78 (운암동) | |
2015년 9월 10일 오픈 주상복합 신축을 위해 2021년 6월 30일을 끝으로 영업종료했다.[12] | ||
광주무등산 |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6 (운림동) | |
2014년 1월 22일 오픈했고 국내 700호점이었다. 2022년 5월 31일을 끝으로 영업종료했다. | ||
광주충장로 |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65(충장로3가) | |
2010년 8월 27일 오픈 광주지역 5호점이었다. 2022년 8월 11일을 끝으로 영업종료했다. | ||
신세계광주 |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32 (광천동) 신세계백화점 1층 |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2001년 10월 12일 오픈 한국 25호점이자 광주 및 호남지역 1호점이었다. 백화점 매장 확장을 위해 2023년 11월 20일을 끝으로 영업종료했다. |
[1] 광주 인구가 대구보다 100만명이나 적고 인천의 절반 수준이라는 걸 감안하면 엄청난 수치다.(한때 인천보다 더 많기도 했었다.) 그만큼 광주의 스타벅스 사랑이 만만치 않다는 반증이기도 하고.[2] 구 신세계광주점. 지금은 백화점 매장 확장으로 인해 사라졌다.[3] 주소 상 쌍촌동으로 분류되지만 사실상 상무지구 권역인 상무DT점까지 합한다면 7개다.[4] 광주상무대교점이었는데, 2021년에 일반매장으로 전환되었다.[5] 광주 다음으로는 대구, 울산이 DT매장이 높은 비율을 보이는데, 이 도시들 또한 자가용 이동 비율이 광주 못지않다.[6] 이게 서울에서는 정반대로 작용해서 전체 571개 매장 가운데 DT매장은 18개에 불과하다.[7] 하지만 광산구의 인구가 서구보다 10만명 이상 더 많은걸 생각하면 인구 대비 매장 수는 서구가 더 많다.[8] 출구에서 오른쪽으로 약 400미터 쭉 걸어가면 정류장이다.[9] 행정구역상으로는 주월동이나 실제로는 진월동 생활권이다.[10] 지산유원지와 증심사입구에 각각 있었는데 증심사입구는 폐점하였다.[11] 신세계광주5F점은 2017년에 폐점.[12] 새로 지어지는 주상복합 상가에 다시 입점한다는 소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