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00:38:48

유령역


1. 개요

파일:external/digitalcosmonaut.com/Bahnhof-Siemensstadt.jpg
파일:external/digitalcosmonaut.com/abandoned-sbahn-station-siemensstadt-berlin.jpg
베를린 S반 지멘스선의 지멘스슈타트역.[1] #
포츠다머 플라츠역이 유령역이던 시절에 촬영한 영상
유령역(Ghost station / Abandoned station[2])은 분단, 폐선, 시설노후화, 수요감소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영업을 중단한 철도역이다. 공식용어로는 폐역이라고 부른다.

유령역이라는 말은 독일에서 비롯됐다. 베를린 장벽이 세워지고 동·서독분단이 고착화되며, 당시 베를린 S반베를린 U반이 상대지역의 역에 정차하지 않으면서[3] 자연스럽게 이런 역들이 영업정지 후 폐쇄되었고 이 때 지하구간에서 희미하게 불만 깜빡거리는 이런 역들을 독일어로 Geisterbahnhof라고 부르기 시작했는데 이를 영어로 번역하면서 유령역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한때 베를린에 상당히 많은 유령역들이 있었지만 독일 재통일 후 영업재개로 거의 없어졌고 파리 메트로, 런던 지하철, 뉴욕 지하철, 시카고 전철에는 아직 상당수의 유령역들이 남아 있다. 유명한 곳들은 직접 들어가서 촬영한 동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오기도 한다. 뉴욕처럼 교통박물관에서 유령역 관광 코스를 운영한 경우도 있다.

물론 한국도 독일과 마찬가지로 분단으로 인해 경의선 장단역경원선 월정리역·철원역은 유령역이 되어 버렸다. 이 중 장단역은 분계선 코앞에 있는 지라 전쟁 때 완전히 날아가 건물이란 게 없어져서 대신 개업한 도라산역이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월정리역과 철원역은 2017년까지 재개통하려 했으나 여전히 미개장상태다. 동해북부선제진역은 기껏 돈들여서 역사를 건설했지만 시험운행만 하다가 유령역이 된 케이스. 선로가 북한 측으로만 연결되어 있으니 현재로서는 무용지물이다.

지금은 영업을 하고 있지만 한때 수도권 전철 5호선마곡역도 완공 후 12년 3개월이라는 긴 세월 동안 유령역이었고 서울 지하철 9호선마곡나루역도 5년 동안 유령역이었다가 개통되었다. 이 경우는 개발이 진행 중인 곳에 미리 역을 설치해 놓은 경우이긴 하지만.

2. 한국[A]

2.1. 수도권

2.2. 부산광역시

2.3. 광주광역시

2.4. 그 외

3. 북한

4. 일본[A]

5. 기타 아시아 국가[A]

5.1. 싱가포르

5.2. 중국

6. 북미[A]

7. 유럽[A]

7.1. 스톡홀름 지하철 블로선 심링예역

해당 문서 참조.

7.2. 헬싱키 메트로 캄피역

파일:캄피1.jpg
파일:캄피2.jpg
파일:캄피3.jpg

핀란드 헬싱키 메트로 1호선 캄피역 승강장 아래층에는 넓은 빈 공간이 존재한다. 캄피역 자체가 광교중앙역이나 잠실광역환승센터처럼 거대 지하 버스터미널을 품은 지라 헬싱키 메트로 기준으로 가장 깊은 지표기준 지하 31m에 위치해 있다.[18] 게다가 그 터미널용 복합건물 때문에 수요가 폭발할 것이 자명하여 일찌감치 2호선 환승역으로 지정되었고, 추후 확장시 문제가 될 것을 대비하여 미리 건설되었다. 대한민국의 논현역, 신당역, 영등포시장역, 신풍역 등과 마찬가지 이유.

7.3. 파리 지하철

8. 과거 유령역이었던 역

9. 관련 문서


[1] S반 지멘스선은 이 지역에 있던 지멘스 본사 및 공장의 출퇴근용 철도로, 1929년에 개통되었다. 그러다 지멘스 본사가 뮌헨으로 이전하자 쓸모가 없어졌고, 결국 1980년에 폐지되었다. 폐지 뒤에도 철거되지 않고 대부분의 시설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재개업계획이 세워졌다. 서구권 특히 미국은 역뿐만 아니라 열차조차 공터에 버려두기도 한다.[2] 버려진 역. 구글에 이 단어로 검색해도 엄청난(...) 예시가 나온다. 검색어를 치면 한국에서는 능내역, 벽제역, 양자동역 등이 나온다.[3] 다만 딱 한 군데 예외가 있었는데, 서베를린-동베를린-서베를린 식으로 남북을 가로지르는 U반 6호선과 S반 노선들의 열차가 운행하던 동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이었다.[A] 미개통 및 폐선/폐역으로 인해 영업을 종료하였으나 시설이 철거되지 않은 경우 다른 노선의 역과 환승통로를 미리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으나 백지화되거나 무산되어 방치된 경우도 포함.[5] 서대문역 - 답십리역 사이가 완전히 바뀌었는데 원래의 서대문역 - 새문안로 - 세종대로사거리 - 종로 - 신설동역 - 천호대로 - 답십리역 경로를 현재선형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1호선과의 환승을 평면으로 하려 하던 종로3가역이 막장환승이 됐다.[6] 아직 9호선-공항철도 직결운행을 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로간 평면교차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7] 현재도 호포차량기지 입고를 위해 일부열차는 호포역에 종착하긴 한다.[8] 김정일의 시신은 2011년에 안치되었다.[A] [10] 입구는 칸막이로 막혀 당연히 들어갈 수 없다.[11] 6분 27초 참고.[12] 심지어 그 4량 편성조차도 선두 차량의 끝 부분은 홈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였다.[13] 그 이유는 혼자 근무하는 역무원의 휴식 때문. 보안상의 이유로 인해 무인화 시킬 수도 없었다고.[14] 침목, 레일 등이 심하게 부식된 것은 물론, 건널목 위에 아스팔트가 깔려 있고 선로 부지내에 주민들이 꽃을 심고 농사를 짓는 등 그동안 세이부 철도에서 방치한 탓에 관리 상태가 막장이다.[A] [A] [A] [18] 물론 대한민국의 여의나루역이나 만덕역에 비하면 심각하게 깊은 수준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