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7:02:17

스파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파클(붕괴: 스타레일)
1. 개요2. 목록
2.1. 게임 내2.2. 게임 외
2.2.1. 네이밍 관련 논란2.2.2. 별무리 기행, 캐릭터 PV 관련

1. 개요

스파클에 대한 여담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2.1. 게임 내

2.2. 게임 외

파일:스타레일_발렌타인_스파클.webp
발렌타인 축전

2.2.1. 네이밍 관련 논란


[ 개척 임무 3장 스포일러 ]
* 개척 임무 3장에서 공개된 아케론의 본명이 라이덴 (보센모리) 메이로 밝혀짐에 따라, 스파클 역시 본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설이 대두되었다. 스타레일에서 번역된 인명들을 보면 응성(블레이드), 라이덴 메이(아케론) 처럼 이명은 번안명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에도성 출신으로 추측되는 스파클 역시 아케론과 마찬가지로 일본식 본명이 따로 있을 수 있다.

2.2.2. 별무리 기행, 캐릭터 PV 관련

파일:별무리기행_스파클1.png
파일:별무리기행_스파클2.png

[1] 일본에서 키츠네 가면이라 불리는 가면이다.[2] 야릴로 박물관 스토리 때, 박물관에 갈 유물들로 한 몫 챙기려다 개척자에게 적발되고 회유하려고 하는데 거절했을 때 딱 1번이지만 삼포가 개척자를 저렇게 부른 적이 있다.[3] 스텔라론 헌터인 은랑도 인게임 필드에서 2배속을 하면 "2배속이 이거야?"라며 제4의 벽을 깨는 대사를 내뱉는다.[4] 삼포로 변장한 스파클의 겉모습만 보고 바로 신체적 특징과 전투 스타일까지 파악해낸 반디마저 설마 누군가 변장한 모습이라고 생각하지 못할 정도였다.[5] 삼포의 변장 능력이 스파클보다 낮은 건 당시에는 삼포의 가면이 없어서(어째서인지 스파클이 들고 있다가 블랙 스완 동행 임무 시점에서 돌려받았다.) 능력을 제대로 쓸 수 없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6] 한국어 및 다른 언어는 비교적 순화하였지만 중국어 원문에선 성상납을 하여 고위직에 오른 여성, 고급 매춘부를 뜻하는 交际花(교제화)라는 단어를 사용했다.[7] 삼포로 위장한 채 주인공과 반디를 지켜보다가 재미없다고 판단하자마자 망설임 없이 꿈세계에 떨어뜨려 위험에 빠뜨렸고, 선데이와 만나서는 그를 '닭날개에 못 박은 소년'이라 부르는가 하면 그의 여동생 로빈이 죽은 것에 대한 고인드립을 치기도 했다. 어벤츄린에게도 어떻게 가족을 설득했냐며 싹 다 벗고 알몸으로 석고대죄라도 한거냐, 넌 맨홀이 어울릴 것 같으니 맨홀에나 들어가 있으라고 하는 등의 모욕적인 언사를 서슴지 않았다.[8] 개척 임무 막바지의 임팩트가 워낙 세서 스파클이 반디의 죽음에 일조했다는 오해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반디가 기억의 영역의 밈에게 살해당한 건 이미 한번 블랙스완이 반디와 개척자를 꺼내주고 다시 꿈세계로 들어갔을 때 일어났다.[9] 대표적으로 버전PV에서는 대놓고 흑막 악역인 것마냥 연출됐으면서 실제 스토리에선 순수한 조력자로 나온 원신의 아를레키노나, 불행한 과거사와 역사개변이라는 치트키를 통해 개연성을 부여해 신분을 세탁한 스카라무슈가 있다.[10] 심지어 캐릭터 PV에서 권총으로 자신을 쏘는 장면도 나오는데 이 부분도 토키사키 쿠루미의 능력인 <자프키엘> 같은 느낌을 준다.[11] 신용 또인트의 경우 인벤토리의 귀중품 항목으로 들어가며, 사용 시 10만 신용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12] 1번째는 부현으로, 본인 회차에서 시청자 전화 연결로 목소리만 나오다가 최후반에 게스트였던 청작의 등 뒤에서 나타났다.[13] 원래 삼포가 출연하기로 했으나 그녀가 대신 출연하면서 삼포의 이름이 나온 자막을 찢어버리고 본인의 이름으로 대체한다. 이 찢어진 이름표는 스파클의 은하탐구생활에서 삼포가 출연했을 때 테이프로 고쳐놓은 상태로 다시 나타난다. 삼포의 언급에 의하면 세트장 뒤에서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맞고 쓰러졌다는데 정황상 스파클이 기절시킨 후 대신 출연한 모양.[14] 실제로 인터뷰 중에는 파란색이었던 빼미의 드레스 코드가 잠깐의 줌인-줌아웃으로 포커스가 흐려진 사이에 붉은 색으로 바뀌어 있다[15] 예를 들어, 산고노미야 코코미에서 '산고노미야'는 산호궁을 뜻하는 궁호다. 원신 영어판은 이를 발음명인 'Sangonomiya Kokomi'라고 번역했지, 번안명을 택하여 Kokomi of Coral Palace 이런 식으로 적지 않았다.[16] 엔딩 일러스트에서 묘사된 스파클의 설정 중 공허 4성 광추인 쇼타임의 일러스트와 스파클의 장신구를 찬 페피와 함께 헤르타로 분장한 스파클을 볼 수 있다.[17] 마침 스파클의 PV가 공개된 시기에 페르소나 3의 리메이크 작품인 페르소나 3 리로드가 발매되기도 하였다.[18] 원본 작품을 밝혔어도 사전에 원작자와 직접 상의한 것은 아니기에 결국 도작이라는 반응과 12세 게임의 공식 미디어에 R-18G, 그것도 성인인증을 마쳐도 경고 메시지가 뜰 정도로 수위가 높은 작품을 오마주하는 게 과연 적절한가라는 논쟁이 일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