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2:03:12

부흥고등학교(경기)

안양부흥고등학교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지역의 부흥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부흥고등학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과학중점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정부상징.svg 교육부 지정 과학중점학교
고잔고등학교 과천중앙고등학교 구리고등학교 김포고등학교 백운고등학교
보평고등학교 봉일천고등학교 부흥고등학교 세마고등학교 시흥매화고등학교
양일고등학교 양지고등학교 용호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일산동고등학교
주엽고등학교 초당고등학교 태장고등학교 풍생고등학교 효양고등학교
효원고등학교
파일:경기도교육청 엠블럼.svg 경기도형 과학중점학교
낙생고등학교 도당고등학교 라온고등학교 배곧고등학교 백신고등학교
백현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부천여자고등학교 분당중앙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솔터고등학교 송우고등학교 수리고등학교 수성고등학교
수원칠보고등학교 수지고등학교 원미고등학교 정명고등학교 정발고등학교
지산고등학교 청덕고등학교 퇴계원고등학교 한빛누리고등학교 효성고등학교
봉담고등학교
푸른색 바탕은 남자고등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고등학교, 이외 남녀공학
}}}}}}}}} ||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충청 | 전라 | 경북 | 경남 | 제주

파일:안양시 CI_White.svg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 관양고등학교 동안고등학교
백영고등학교 부흥고등학교 인덕원고등학교
평촌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color=#FFF> 부흥고등학교
復興高等學校
Puhung High School
파일:안양 부흥고등학교 교표.png
<colbgcolor=#036b3f> 교훈 성실()
개교 1993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중점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형태 공립
교조 매(조류)
교화 개나리
교목 느티나무
학생 수 995명[기준]
교직원 수 108명[기준]
소재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달안로 15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교훈 및 상징
3.1. 교조3.2. 교화3.3. 교목3.4. 교훈3.5. 교가
4. 과학중점학교5. 시설
5.1. 본관
5.1.1. 지하 1층5.1.2. 1층5.1.3. 2층5.1.4. 3층5.1.5. 4층
5.2. 신관
5.2.1. 1층5.2.2. 2층5.2.3. 3층5.2.4. 4층
5.3. 체육관 (응비관)
5.3.1. 1층5.3.2. 2층5.3.3. 3층
5.4. 포레스트(학교 숲)
6. 학교생활
6.1. 교풍6.2. 급식6.3. 응비제 (축제)6.4. TEDx 부흥토크대회
7. 출신 인물8. 대중교통
8.1. 버스8.2. 지하철
9. 사건사고10. 여담

1. 개요

부흥고등학교 홍보영상
Renaissance Brain Up!
부흥고등학교(, Puhung High School)는 1993년에 개교한 공립, 남녀공학 고등학교이다.

2. 역사

학교 연혁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fff,#191919> 1991.12 <colbgcolor=#fff,#191919> 24학급 설립 인가
1993.01 30학급 학칙변경 인가
1993.03 초대 허복 교장 취임
1995.04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시범학교 지정(도)
1998.10 36학급 학칙 변경 인가
1999.01 체육관(응비관) 준공
1999.02 제4회 졸업 (연1,893명)
2000.02 제5회 졸업 530명 (연 2,423명)
2001.01 제6회 졸업 521명(연 2,944명)
2001.12 학칙 인가 변경(51학급 증설)
2002.06 신관 준공(16개 교실)
2002.09 51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03.02 제8회 졸업식 (529명, 연 4,634명)
2003.03 제11회 입학식 (686명 입학), 환경 시범 학교 지정(도)
2003.09 50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04.03 제6대 김성혁 교장 취임
2005.10 화장실 리모델링 완공
2006.09 50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09.02 제14회 졸업(17학급 590명, 연 7,035명)
2009.03 제17회 입학(16학급 648명)
2009.09 48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10.02 제15회 졸업(17학급 619명)
2010.03 제18회 입학(16학급 632명), 에코그린선도교(경기도 교육청 지정)
2011.02 제16회 졸업 (633명)
2011.03 제19회 입학 (585명), 자율학교, 과학·수학 영재학급운영, 과학중점학교 및 B1-type 과학·수학 특성화지원형 교과교실제 연구학교
2011.09 제 8대 조능식 교장 취임
2012.02 제17회 졸업 (625명)
2012.03 제 20회 입학 (561명), 자율학교,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과학중점학교 및 B1-type 과학·수학 특성화지원형 교과교실제 연구학교
2013.02 제18회 627명 졸업
2013.03 제 21회 입학 (544명), 자율학교,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과학중점학교 및 B1-type 과학·수학 특성화지원형 교과교실제 연구학교
2014.02 제 19회 562명 졸업
2014.03 제 22회 입학(526명),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 학교 및 수학과학 교과교실제,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2015.02 제20회 550명 졸업
2015.03 제23회 501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및 수학과학 교과교실제,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2015.09 제9대 최승복 교장 취임
2016.02 제21회 543명 졸업
2016.03 제24회 510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및 수학과학 교과교실제,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2017.02 제22회 518명 졸업
2017.03 제25회 420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및 수학과학 교과교실제,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2018.02 제23회 486명 졸업
2018.03 제10대 박병훈 교장 취임, 제26회 367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및 수학과학 교과교실제,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2019.02 제24회 504명 졸업
2019.03 제27회 383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및 수학과학 교과교실제, 과학수학 영재학급 운영
2020.02 제25회 403명 졸업
2020.03 제28회 336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수학과학 교과교실제
2021.02 제26회 352명 졸업
2021.03 제29회 325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2021.09 제11대 김송미 교장 취임
2022.01 제27회 379명 졸업
2022.03 제30회 351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2022.09 제12대 이원환 교장 취임
2023.01 제28회 318명 졸업
2023.03 제31회 358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인공지능(AI) 선도학교 지정
2023.12.27 제29회 316명 졸업
2024.03 제32회 357명 입학, 교육과정 자율학교, 과학중점학교, 제13대 정경애 교장 취임

}}} ||

3. 교훈 및 상징

3.1. 교조

파일:매05.png

씩씩한 기상과 도전으로 부단히 자기를 연마하는 창조적인 부흥인을 상징함

3.2. 교화

파일:개나리05.jpg
개나리

밝은 미래에 대한 기대와 희망으로 꿈을 일구는 성실한 부흥인을 상징함

3.3. 교목

파일:큰 느티나무.jpg
느티나무

당당하고 넓은 아량으로 큰 덕을 베푸는 마음이 따듯한 부흥인을 상징함

3.4. 교훈

성실(誠實)
교훈

3.5. 교가

파일:안양 부흥고등학교 교가.gif
교가

4. 과학중점학교

부흥고등학교는 2011년 3월에 과학중점학교[3]로 지정되어, 3번의 연장 끝에 2020년부터 5년간 계속 운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동안구 학교 영재교육은 부흥고가 주관하며 학교에는 다양한 심화 기자재가 비치되었다. 물론 일반 문과반도 운영되며 문과를 제외한 이과 중 과중반 학생을 선별하여 과중반을 만들게 된다. 학교는 2학년부터 2~4개의 과학중점반을 운영할 수 있으며 3학년 기준 2012년 2개반, 2013년 3개반, 2014년부터 4개반이 운영되었었다.

그 이후 계속 과학중점학급을 가고 싶어 부흥고로 진학하는 학생들이 많아져, 2022 수능을 치르는 2019년 입학 학생들부터 선별 없이 신청서만 작성한다면 모두 과학중점학급이 될 수 있도록 했다. 그로 인하여 과학중점학급은 해가 바뀔수록 많아졌으며, 역효과로 문과와 과학수학학급은 계속 감소했다. 2020년 고2 기준 과학중점 학급이 총 7반, 과학수학 학급이 총 4반, 문과가 총 2반이다. 예상했겠지만 일부러 과학중점학급을 노리려고 오는 학생들이 많아지며 학구열이 2018년 이후로 많이 높아졌다.

그 결과 부흥고의 내신관리가 너무 어렵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과학중점을 바라고 오는 상위권 학생들을 제외한 지근거리의 일반학생들 사이에서는 기피현상이 생겼고, 결국 2020년 고입때 1지망 미달이 났다. 물론 2~8지망에서 미달은 모두 충원되었다. 과학중점학급은 일반 이과반보다 교육청으로부터 추가로 지원을 받으며 빵빵한 자금으로 여러가지 활동을 진행하곤 한다. 영재학급 외에도 토요탐구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5. 시설

중앙의 본관, 입구쪽의 신관, 대로쪽의 체육관으로 구성된 ㄷ자 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5.1. 본관

개교때 부터 있던 4층 + 체력단련실 구조의 건물이다.[4]

내부는 나름 청결하고 오래된 감이 있으나, 대부분의 아이들은 불평 없이 준수하다고 여긴다. 오래된 느낌은 있어도 낡았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2022년 겨울방학 기간에 본관 화장실 공사를 진행하여 양변기와 화장하기 좋은 거울이 설치되었다.

5.1.1. 지하 1층

하지만 2022년 기준 창고로 쓰이고 있다.

실제로 본교를 졸업한 모 유튜버가 영상으로 남겨두었다.



5.1.2. 1층

일반 교실 5개, 도움반이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교실 2개로 이루어져 있다.

5.1.3. 2층

5.1.4. 3층

5.1.5. 4층

5.2. 신관

부흥중학교와 맞닿은 곳에 신축한 것으로 전혀 신축한걸로 보이지는 않다. 본관과는 2,3,4층을 통로로 연결해 둔 건물. 남향인 본관과 직각으로 연결돼있는 구조기 때문에 여름에는 시원하지만 겨울에는 춥다는 단점이 있다. 1층의 도서관과 3층의 학생부를 제외하면 전부 일반 교실이다. 외관만 보면 제법 최신식 시설이 많을 것 같은 건물 같지만 위에서도 말했듯이 극히 평범한 교실용 건물이다. 게다가 벽돌로 만들어져서 좁지만 그래도 아늑하게 느껴지는 본관의 교실과는 달리 신관의 교실은 넓지만 뭔가 매우 허전하다. 최근에 화장실 공사를 했다.

그렇지만 창이 넓고, 복도 양옆에 교실이 있는 본관과 달리 한쪽에만 교실이 있어 바람을 막아주지도 못하고, 교실쪽 창문은 서쪽을 향하기 때문에 겨울에 너무 춥다.[6] 본관에서 신관으로 향하는 통로를 지날땐 공기가 달라지는 것을 체험할 수 있다. 신입생의 경우 자신의 교실이 신관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7] 담요를 미리 챙겨가자.

5.2.1. 1층

5.2.2. 2층

5.2.3. 3층

5.2.4. 4층

5.3. 체육관 (응비관)

신관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건물로 흔히 매체에서 묘사되는 모습의 둥근 반파이프 형태의 지붕을 한 체육관이다. 학교 행사나 모임을 주로 이 건물에서 행하며 그래서인지 각종 기자재들이 존재한다.
2023년도에 체육관 지붕을 다시 짓는 공사를 하였다.

5.3.1. 1층


2020년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 마주보고 앉거나 대각선으로 앉는 것까지 금지되면서 6명이 앉을 수 있는 공간에 고작 2명만 앉게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래서 학년마다 배식 시간을 달리하여(3교시 이후 배식, 4교시 이후 배식과 같은 방법)으로 최대한 사람간 접촉을 줄이면서 배식받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동선이 겹치거나 혼동되지 않도록 중앙계단과 동쪽 계단으로 급식을 먹으러 내려가는 것을 금지시켰다. 동선을 모두 서쪽 계단 하나로만 통일시킴으로써 한명한명 체온측정하는 것이 더 수월하도록 만들었다.

5.3.2. 2층

5.3.3. 3층

5.4. 포레스트(학교 숲)

파일:안양 부흥고등학교 학교 숲 입구.jpg
파일:안양 부흥고등학교 학교 숲 내부.jpg
<rowcolor=#fff> 입구 내부

운동장 가장자리에 위치한 학생들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2022년도에 조성되었다.
숲 이름은 공모전을 통해 투표로 선정되었으며, 숲 조성을 위해 교육청이 배정한 예산은 2억원이다.

6. 학교생활

6.1. 교풍

매우 자유롭다. 학교 내에서 휴대폰을 걷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학교 내에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다. 일부 선생님들에 한해서는 수업시간 중 아이패드 사용을 미리 허락받으면 제한하지 않기도 한다. 선생님이 핸드폰 사용에 대해 눈치를 주지도 않고 오히려 함께 하려 한다. [9] 가방을 안들고와도, 에코백을 사용해도, 교복을 계절에 맞지 않게 입어도 교문에서 잡지 않는다. 애초에 관심도 거의 없으시다.교문에서 슬리퍼를 신거나 실내화를 신고 등교하는 학생들에게는 뭐라고 하신다. 하지만 교복에 대해서는 크게 상관하지 않으신다. 학교내에서 운동화를 신고 있어도 그냥 넘어간다. 사복또한 안보이게 입으면 굳이 확인하지 않는 지경에 이르면서 매우 프리한 상태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학업분위기가 망가지는 느낌은 아니다. 자신이 편한 대로 지내면서 그 동시에 학업 분위기를 잘 따르는 느낌이다.

6.2. 급식

급식은 체육관 1층의 급식실에서 먹는다.

6.3. 응비제 (축제)

매년 기말고사가 끝난 연말에 축제를 진행한다.
2022년도 이후부터 오전에는 학급 부스(또는 동아리 부스), 오후에는 응비관에서 무대 관람으로 굳어진 형태이다.

6.4. TEDx 부흥토크대회

2013년부터 진행된, 상단의 문구를 지키는 대표적인 대회로 각자의 이야기를 TEDx 처럼 일정한 시간에 맞춰 말하는 대회를 진행한다. 주로 10월 중순이나 11월 초에 대회를 연다. 사실 TED라는 이름을 사용하려면 일정한 조건과 인증서가 있어야하며 TED에서 조건을 맞춰 승인하여야만 하는데 2016년 1월 24일 현재 등록돼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TED 측에 허락을 받지 않고 무단으로 이름을 붙인 것으로 추정된다.

7. 출신 인물

8. 대중교통

8.1. 버스

부흥중학교 안양 버스 11-5, 안양 버스 917, 안양 버스 3, 안양 버스 5-2, 안양 버스 10, 의왕 버스 03
부흥고등학교 안양 버스 3, 안양 버스 5-2, 안양 버스 10, 의왕 버스 03
부흥고등학교(경수대로 방면) 수원 버스 900, 구리 버스 1650, 안양 버스 2-1

8.2. 지하철

4호선 범계역8번출구와 10분정도 거리

9. 사건사고

10. 여담


[기준] 2024학년도[기준] 2024학년도[3] 과학중점학교 및 B1-type 과학·수학 특성화지원형 교과교실제 연구학교[4] 이 체력단련실은 옥상에 혼자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구조로 악명이 높았다. 기존에는 이 자리에 음악실이 있었는데, 2017년 1월자로 음악실이 1층으로 이전되면서 그 자리에 들어섰다.[5] 물리실 안쪽에 실험 자재보관실이 있으며, 여기와 지구과학실도 연결되어 있다..[6] 물론 같은 이유로 여름엔 본관보단 시원한 편이다.[7] 2023년 기준 1학년은 1반~5반이 신관을 사용한다.[8] 2023년 기준 1학년 1반만이 다른 1학년들과 달리 3층을 사용한다.[9] 물론 수업시간에는 교사가 허락한 시간, 자유시간 외에는 사용 금지이지만 할 애들은 다 한다.[10] 원래 교복에선 와이셔츠와 후드티가 허용됐으나 2011년을 기점으로 갑자기 이유없이 금지되어 와이셔츠 대신 생활복을 입게 바뀌었고 후드티는 입는 게 금지됐다. 물론 말 안듣고 잘 나간다고 나대는 양아치들은 무조건 입는다. 그리고 언제부터인가 후드티는 다시 허용됐다카더라.[11] 참고로 이 색상은 개교 초창기부터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색상이다.[12] 여학생 체육복은 남색 베이스에 흰색이 추가된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