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4DFC1> | 체스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4DFC1> 체스 게임 | ||
<colcolor=#8F5432> 구성 | 체스판 · 기물(틀) · 체스 시계 | ||
규칙 | 경기 방법 · 기보 표기법(FEN 표기법) | ||
특수 규칙 캐슬링 · 프로모션 · 앙파상 | |||
진행 | 오프닝(목록 · ECO 코드) · 미들게임 · 엔드게임 | ||
전술 및 용어 | 전술(정리 희생 · 트랩) · 폰 구조 · 갬빗 · 배터리(알레킨의 총) · 체크메이트(스콜라 · 백랭크 · 스머더드) · 스테일메이트 · 블런더 · 체크 · 탁월수 | ||
파생 게임 | 변형 체스(체스 960·버그하우스·그랜드 체스·안티 체스) · 변형 체스 기물(틀) · 체스 퍼즐 · 체스 복싱 | ||
타임 컨트롤 | 스탠다드 · 래피드 · 블리츠 · 불렛 · 아마겟돈 · 통신 체스 | ||
체스 대회 | |||
기관 | 세계체스연맹(FIDE) · 유럽체스연맹(ECU) · 아시아체스연맹(ACF) · 아메리카체스연맹(CCA) · 아프리카체스연맹(ACC) · 대한체스연맹 | ||
주요 대회 | 월드 체스 챔피언십(2024년) · 체스 월드컵 · FIDE 그랑프리 · 체스 올림피아드 · 월드 블리츠 체스 챔피언십 · 월드 불렛 체스 챔피언십 · 유로피안 개인 체스 챔피언십 · 아시아 체스 챔피언십 | ||
랭킹 | Elo 레이팅 · 타이틀(GM · IM · FM · CM) · 체스 세계 챔피언(역대 챔피언) · 체스 여자 세계 챔피언(역대 챔피언) | ||
주요 선수 | 체스 선수 목록 · 체스 선수 세계 랭킹 | ||
활동중인 선수 딩리런 · 구케시 디 · 망누스 칼센 · 파비아노 카루아나 · 이안 네폼니아치 · 히카루 나카무라 · 노디르벡 압두사토로프 · 알리레자 피로우자 · 허우이판 · 비스와나탄 아난드 · 쥐원쥔 · 비비사라 아사우바예바 · 웨슬리 소 · 웨이이 · 앤드류 탕 | |||
20c 선수 바비 피셔 · 가리 카스파로프 · 미하일 보트비닉 · 미하일 탈 · 티그란 페트로시안 · 알렉산더 알레킨 ·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 파울 케레스 · 아론 님조비치 · 엠마누엘 라스커 | |||
19c 이전 선수 빌헬름 슈타이니츠 · 폴 모피 · 아돌프 안데르센 · 하워드 스턴튼 · 루이 로페즈 데 세구라 · 앙드레 필리도르 | |||
기타 | |||
체스 사이트 | Chess.com · Lichess · Chess24 · Chessle | ||
체스 엔진 | 딥 블루 · 드래곤 · 코모도 · 스톡피시 | ||
기타 | 명언 · 나무위키 체스 프로젝트 | }}}}}}}}} |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 b8=, c8=, d8=, e8=, f8=, g8=, h8=, a7=, b7=, c7=, d7=, e7=, f7=, g7=, h7=,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Rw, d3=, e3=, f3=, g3=, h3=, a2=, b2=, c2=Rw, d2=, e2=, f2=, g2=, h2=, a1=, b1=, c1=Qw, d1=, e1=, f1=, g1=, h1=, caption=)] |
알레킨의 총의 대표적인 예시 |
[clearfix]
1. 개요
Alekhine's Gun배터리의 일종으로, 체스에서 퀸과 룩 2개가 룩-룩-퀸 순서로 같은 파일(세로줄)에 중첩되어 있는 포지션을 말한다. 세계 체스 챔피언 알렉산더 알레킨의 이름에서 따 왔다.
보통은 'Alekhine's Gun'을 직역해서 '알레킨의 총'이라는 명칭이 자주 쓰이지만, 시대적인 맥락을 고려했을 때 'gun'은 '대포'로 번역하는 것이 맞다. 현대에 와선 'gun'이 개인화기를 지칭하는 말로 굳어졌지만 1930년대에는 보통 화포를 지칭하는 말이었기 때문.
2. 상세
잘 구축해 놓으면 엄청난 파괴력을 자랑하는 포지션이지만 구축하는 데 수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주 등장하지는 않으며 기물 배치 봐서 충분히 쓸 수 있는 상황이면 그냥 쓰는 정도다. 애초에 퀸을 교환해 버려서 이 포지션을 쓰고 싶어도 못 쓰는 경우가 허다하다.하지만 이 포지션은 매우 파괴적인 포지션인데 직선 이동이 가능한 세 기물을 모두 한 줄에 뭉쳐 놓은 것이기 때문에 상대방의 방어를 깨트리기 쉽다. 한 지점도 아니고 한 줄 전체를, 그것도 무려 세 개의 기물이 한 번에 노리고 있다는 것은 체스에서 매우 골치 아픈 상황인데 방어가 깨져서 자칫하면 포지션 자체가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괜히 '총'(gun)이라는 이름이 붙은 게 아니다.
룩-룩-퀸 순서대로 배치된 것만 알레킨의 총이라고 부르지만 상황에 따라 룩-퀸-룩 순서의 배치가 더 좋을 수도 있다. 퀸-룩-룩 순서의 배치는, 룩 둘을 모두 희생한 뒤 퀸이 나가는 알레킨의 총이나 룩 하나 희생 후 퀸룩 배터리로 킹을 위협할 수 있는 룩-퀸-룩 배치에 비해 그리 강력하지 않은 편이다.
3. 실전 예시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lexander Alekhine v. Aron Nimzowitsch(1930),a8=, b8=Rb, c8=, d8=, e8=, f8=Kb, g8=, h8=,
a7=Pb, b7=, c7=Rb, d7=Qb, e7=Nb, f7=, g7=Pb, h7=,
a6=Pw, b6=Pb, c6=Nb, d6=, e6=Pb, f6=, g6=, h6=Pb,
a5=, b5=Bw, c5=, d5=Pb, e5=Pw, f5=Pb, g5=, h5=,
a4=, b4=Pw, c4=, d4=Pw, e4=, f4=Pw, g4=, h4=,
a3=, b3=, c3=Rw, d3=, e3=, f3=Nw, g3=, h3=,
a2=, b2=, c2=Rw, d2=, e2=, f2=, g2=Pw, h2=Pw,
a1=, b1=, c1=Qw, d1=, e1=, f1=, g1=Kw, h1=,
caption=26.Qc1)]
백은 흑의 공간이 부족한 점을 이용해 알레킨의 총을 만들어 압박을 가한 뒤 26...Rbc8 27. Ba4[1] b5 28.Bxb5 Ke8 29.Ba4 Kd8[2] 30.h4 이후 추크츠방으로 흑의 기권을 받아냈다. 알레킨의 총이 공식적으로 처음 등장한 경기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William Winters v. Alexander Alekhine(1936),
a8=, b8=, c8=Kb, d8=, e8=Qb, f8=, g8=, h8=,
a7=Pb, b7=Pb, c7=Pb, d7=, e7=Rb, f7=, g7=, h7=,
a6=, b6=, c6=Nb, d6=Bb, e6=Rb, f6=Pb, g6=Pb, h6=,
a5=, b5=, c5=, d5=Pb, e5=, f5=Nb, g5=, h5=,
a4=, b4=, c4=, d4=Pw, e4=, f4=Pw, g4=Nw, h4=Pb,
a3=, b3=, c3=Pw, d3=Qw, e3=, f3=, g3=, h3=Pw,
a2=Pw, b2=Pw, c2=, d2=Bw, e2=Nw, f2=, g2=Pw, h2=,
a1=, b1=, c1=, d1=Kw, e1=Rw, f1=Rw, g1=, h1=,
caption=24...Qe8)]
알레킨은 흑으로도 알레킨의 총을 만들었으며 포지션의 압박을 통해 유리한 엔드게임으로 들어가[3] 기권승했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Duncan Suttons v. Bobby Fischer(1970),
a8=, b8=, c8=, d8=, e8=, f8=, g8=Kb, h8=,
a7=Pb, b7=Pb, c7=, d7=, e7=, f7=, g7=, h7=Pb,
a6=, b6=, c6=, d6=Pb, e6=, f6=Qb, g6=Pb, h6=,
a5=, b5=, c5=Nb, d5=Pw, e5=, f5=, g5=, h5=,
a4=, b4=, c4=Pw, d4=, e4=, f4=Rb, g4=, h4=,
a3=, b3=, c3=, d3=, e3=, f3=Rb, g3=, h3=Pw,
a2=Pw, b2=Pw, c2=, d2=Qw, e2=Rw, f2=, g2=, h2=,
a1=Kw, b1=, c1=Rw, d1=, e1=, f1=Bw, g1=, h1=,
caption=33...Qf6)]
바비 피셔도 알레킨의 총을 응용한 적이 있다. 34.Ree1?? 등으로는 비숍을 방어할 수 없어 34.Bg2가 강제되고 34...Rf2 35.Rce1[4] Rxe2 36.Rxe2 Rxc4로 흑이 폰 하나를 따내고 엔드게임에서 승리하게 된다.
[1] 28.b5를 위협한다.[2] 30.b5에 Nb8으로 후퇴가 가능하도록 c7칸의 방어를 더했지만 결국 추크츠방에 걸리게 된다.[3] 25.Qf3 Na5 26.b3?(26.Qxd5 Rxe2 27.Qxa5가 최선이다.) Nc4! 27.Bc1(27.bxc4?? Qa4+ 28.Kc1 Ba3+ 29.Kb1 Rb5+ 30.Ka1 Qc2 이후 체크메이트가 강제된다.) Nce3+ 28.Nxe3 Nxe3+ 29.Bxe3 Rxe3 30.Qf2 Qb5 31.Nc1 Rxc3 32.Rxe7 Bxe7 33.Qe1 Kd7 34.f5 Re3(34.Qxc3 Qxf1+) 35.Qf2 g5 36.Re1 Re4 37.Rxe4 dxe4 38.Kd2 Bd6 39.Kc3 Bf4 0-1(흑 기권승, 퀸이 c열에 와서 체크와 함께 c1의 나이트에 더블어택을 가해 기물이 모두 교환되면 흑이 폰이 많은 엔드게임이 되고 나이트나 킹이 이동하면 흑 퀸이 Qd3+ 등으로 침투해 백이 추크츠방에 걸린다.)[4] 35.Rxf2??는 Rxf2 36.Qc3(b2칸 방어) Qxc3 37.Rxc3 Rxg2로 백이 비숍을 잃는다. 여러모로 알레킨의 총과 7랭크(2랭크)의 룩이 합쳐진 강력한 콤비네이션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