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21:13:27

알렉산드르 콜두노프

파일:소련 방공군 휘장.png
소비에트 연방 방공군 총사령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color: #ffe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400> 노농적군 제6본부장 (1930-1932)
Начальники 6-го Управления Штаба РККА
<rowcolor=#ffe400> 초대 제2대 제3대
이오시프 블라제비치 드미트리 쿠친스키 미하일 메드베데프
<rowcolor=#ffe400> 방공국장 (1932-1940)
Начальники Управления ПВО
<rowcolor=#ffe400> 제3대 제4대 제5대
미하일 메드베데프 세르게이 카메네프 알렉산드르 세디아킨
<rowcolor=#ffe400> 제6대 제7대 제8대
이오시프 블라제비치 그리고리 코블렌츠 야코프 폴랴코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e400> 방공군 참모장 (1940-1941)
Начальники Гла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ВО
<rowcolor=#ffe4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미하일 코롤료프 드미트리 코즐로프 예브게니 프투킨 그리고리 시테른
<rowcolor=#ffe4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니콜라이 보로노프 알렉세이 오시포프 미하일 그로마딘
<rowcolor=#ffe400> 방공군 사령관 (1941-1955)
Командующие Войсками ПВО
<rowcolor=#ffe4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미하일 그로마딘 레오니트 고보로프 니콜라이 나고르니 콘스탄틴 베르시닌
<rowcolor=#ffe400> 제19대
레오니트 고보로프
<rowcolor=#ffe400> 방공군 총사령관 (1955-1991)
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е Войсками ПВО
<rowcolor=#ffe4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세르게이 비류조프 블라디미르 수데츠 파벨 바티츠키 알렉산드르 콜두노프
<rowcolor=#ffe400> 제24대 제25대
이반 트레티야크 빅토르 프루드니코프 }}}}}}}}}
<colbgcolor=#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23대 방공군 총사령관
알렉산드르 콜두노프
Алекса́ндр Колдуно́в | Alexander Koldunov
파일:알렉산드르 콜두노프.jpg
본명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콜두노프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Колдуно́в
Alexander Ivanovich Koldunov
출생 1923년 9월 20일
소련 러시아 SFSR 스몰렌스크현 스몰렌스크구 모시치노보 마을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스몰렌스크주 모나스틔르시치나군 모시치노보)
사망 1992년 6월 7일 (향년 68세)
러시아 모스크바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 제23대 방공군 총사령관
1978년 7월 ~ 1987년 6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e400,#ffe300> 복무 노농적군
1941년 ~ 1943년
소비에트 연방 공군
1941년 ~ 1978년
1987년 ~ 1992년
소비에트 연방 방공군
1978년 ~ 1987년
최종 계급 항공상원수 (소비에트 연방 공군)
주요 참전 독소전쟁
주요 서훈 레닌훈장 (3회)
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
적기훈장 (6회)
격추 이력 최소 15기[1] }}}}}}}}}

1. 개요2. 생애3. 진급 이력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소련군인. 야코블레프 전투기를 탄 에이스 중 최고로 꼽힌다.

2. 생애

노동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32년 가족은 모스크바로 이사한 뒤 콜두노프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기계 생산 공장에서 근무했다.

2.1. 제2차 세계 대전

2.1.1. 독소전쟁

1943년 3월 먀스니코프 항공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제3예비항공여단의 교관으로 임명됐으나 곧바로 현역 파일럿으로 차출됐다. 1943년 5월부터 제866전투항공연대 소속으로 1943년 7월 18일 도네츠 강에서 첫 공중전에서 승리했다. 1943년 가을부터 비행편대를 지휘하며 드네프르 강 전투,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부다페스트 공방전 등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1944년 5월 초까지 콜두노프는 45회의 공중전을 벌이는 동안 15기의 독일 공군 항공기를 격추시켰다. 이는 당시 독일 공군 비행편대 1개에 맞먹는 수치였다. 1944년 8월 2일과 1948년 2월 23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법령에 따라 레닌훈장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

2.1.2. 미국 공군의 실수

미국 공군과 공중전을 벌인 적이 있다. 1944년 11월 7일, 유고슬라비아 니스 근처에서 P-38 라이트닝 27기로 구성된 항공편대 2개가 오인 사격으로 장교를 포함한 노농적군 군인 12명이 사망했다. 제6근위소총군단장 그리고리 코토프가 콜두노프에게 반격을 명령해 9기의 소련 전투기가 출격했다. 콜두노프는 선제 공격을 하지 않고 라운델을 미국 공군에게 보여줬으나 결국 콜두노프는 2기의 전투기를 잃었다. 콜두노프가 3기를 격추시키자[2] 찰나의 공중전이 중단됐다. 외교적 충돌이 생길 뻔했으나 미국에서 먼저 사과를 건넸다고 한다.[3] 이 사건을 포함해 여러 번 위기에 빠졌으나 콜두노프의 전투기는 단 한 번도 격추된 적 없었다.

2.1.3. 전후

1952년 모니노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북캅카스 군관구 제394전투항공연대장을 역임했다. 콜두노프는 MiG-21을 포함한 제트 전투기까지 조종했다.

2.2. 콜두노프의 실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티아스 루스트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87년 6월 11일 독일의 아마추어 조종사 마티아스 루스트가 세스나 172를 몰고 붉은 광장 근처에 착륙했다. 요격을 위해 전투기가 이륙했으나 콜두노프는 1983년 9월 1일 발생한 KAL 007편 격추 사건을 생각하여 세스나기가 붉은 광장에 착륙할 때까지 격추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결국 미확인 위협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았단 이유로 해임됐다.[4]

2.3. 사망

1944년부터 소련 공산당, 소련 최고회의에서 위원으로 활동하다 1992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해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됐다.

3. 진급 이력

4. 둘러보기

파일:소련 국방부 휘장.svg
소비에트 연방군
병과상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파일:소련 포병상원수 계급장(견장).png파일:투명.png
포병상원수
Главные маршалы артиллерии
<colcolor=#000,#ddd>
제2차 세계 대전기

니콜라이 보로노프
냉전기

미트로판 네델린 | 세르게이 바렌초프 | 블라디미르 톨룹코
파일:소련 기갑상원수 계급장(견장).png파일:투명.png
기갑상원수
Главные маршалы бронетанковых войск
냉전기

파벨 로트미스트로프 | 아마자습 바바자냔
공군
파일:소련 항공상원수 계급장(견장).png파일:투명.png
항공상원수
Главные маршалы авиации
제2차 세계 대전기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 알렉산드르 골로바노프
냉전기

파벨 지가레프 | 콘스탄틴 베르시닌 | 파벨 쿠타호프 | 보리스 부가예프 | 알렉산드르 콜두노프
비고 ※ 진급시기 기준 세분, 2차 대전기는 전간기부터 1945년 8월까지 해당.
}}}}}}}}}



[1] 소련의 주장과 미국의 주장이 다르다.[2] 미국의 주장은 2기[3] 당시 미국 파일럿들은 사과하지 않았다.[4] 취임 이틀 만에 해임됐지만 그동안의 업적을 인정받아 1992년까지 항공상원수 계급을 유지하며 복무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