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7:19:34

야스 마리나 서킷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 3/14~1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멜버른)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파일:호주서킷ㅇ.png
2 3/21~2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상하이서킷ㅇ.png
3 4/4~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즈카)
스즈카 서킷
파일:스즈카서킷ㅇ.png
4 4/11~14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사키르)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바레인서킷ㅇ.png
5 4/18~2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제다 코니쉬 서킷
파일:제다서킷ㅇ.png
6 5/3~5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마이애미 가든스)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파일:마이애미서킷ㅇ.png
7 5/16~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밀리아로마냐 (이몰라)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파일:이몰라서킷ㅇ.png
8 5/23~25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서킷 드 모나코
파일:모나코서킷ㅇ.png
9 5/30~6/1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몬트리올)
서킷 질 빌뇌브
파일:캐나다서킷ㅇ.png
10 6/14~16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바르셀로나)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파일:카탈루냐서킷ㅇ.png
11 6/27~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슈필베르크)
레드불링
파일:레드불링ㅇ.png
12 7/4~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실버스톤)
실버스톤 서킷
파일:실버스톤서킷ㅇ.png
13 7/25~27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파일:스파프랑코샹ㅇ.png
14 8/1~3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헝가로링
파일:헝가로링ㅇ.png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5 8/29~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잔드보르트)
서킷 잔드보르트
파일:잔드보르트ㅇ.png
16 9/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몬차)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파일:몬차서킷ㅇ.png
17 9/19~2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바쿠)
바쿠 시티 서킷
파일:바쿠서킷ㅇ.png
18 10/3~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파일:싱가포르서킷ㅇ.png
19 10/18~2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오스틴)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
파일:코타ㅇ.png
20 10/25~2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파일:멕시코서킷ㅇ.png
21 11/7~10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
파일:브라질서킷ㅇ.png
22 11/21~23 파일:미국 국기.svg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파일:라스베이거스ㅇ.png
23 11/28~12/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카타르서킷ㅇ.png
24 12/5~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야스 섬)
야스 마리나 서킷
파일:아부다비ㅇ.png
}}}}}}}}} ||
파일:야스마리나 로고.jpg
야스 마리나 서킷
حلبة مرسى ياس
Yas Marina Circuit
파일:Abu_Dhabi_Circuit.png
2021년부터 사용중인 레이아웃
서킷 정보
<colbgcolor=#348D9D><colcolor=#FFFFFF> 위치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야스 섬
수용 능력 60,000명
FIA 그레이드 1
착공 2007년 5월
개장 2009년 10월
건설 비용 약 13억 달러
개최 경기 포뮬러 1[1]
걸프 12시[2]
아시안 르망 시리즈[3]
설계자 헤르만 틸케
길이 5.281km
스타트 정보 오프셋[4] 0.115km
폴 포지션 우측 (첫 코너 기준 바깥쪽)
F1 레이스 정보 총 주행 거리 306.183km (58 laps)
컴파운드 C3/C4/C5 (2024년)
코너 16개
트랙 레코드[5] 1:22.10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베르스타펜, RB16B, 2021) 영상
랩 레코드[6] 1:26.103 (파일:덴마크 국기.svg 케빈 마그누센,VF-24, 2024)


1. 개요2. 레이아웃
2.1. 레이아웃 변경
3. 역대 기록
3.1. F1
4. 기타

[clearfix]

1. 개요

<colbgcolor=#348D9D><colcolor=#FFFFFF>
풀 코스 레이아웃 주행
파일:Yas marina.jpg
파일:야스 마리나 서킷.jpg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중 하나인 아부다비에 위치한 포뮬러 1 서킷으로,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서킷이자 매 시즌 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곳이다.

대부분의 F1 서킷 설계를 전담한 헤르만 틸케가 설계를 담당했으며, 2009년 9월에 개장해 동년부터 아부다비 그랑프리를 개최하고 있다. 아부다비 해변의 인공섬인 야스 섬 위에 만들어졌고 아랍의 모나코를 표방하며 주변에 요트 계류장과 호텔이 조성되어 있다. 직선 구간은 사막을 따라 주행하고, 직각 코너가 난무하는 마리나 구간은 요트 계류장과 호텔을 통과한다.

2009년 그랑프리부터 2020년 그랑프리까지는 5.554 km의 트랙을 55랩 돌아 총 305.47km를 주행했었다. 레이아웃 변경을 거친 2021년 그랑프리부터는 5.281km의 트랙을 58랩 돌아 총 306.183km를 주행한다. 2009년과 2010년 F1의 폐막전이 열렸고, 2014년부터 브라질의 인터라고스 서킷 대신 F1의 폐막전이 열리고 있다.

2. 레이아웃

틸케표 서킷답게 차량의 전반적인 주행 능력을 시험하는 서킷 디자인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5번 코너 바로 직전까지의 섹터 1은 중~고속 코너 구간, 섹터 2는 긴 직선주로 2개가 이어진 구간, 섹터 3는 중저속 코너의 연속이다.

섹터 3에서 추월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레이아웃 변경 전까지는 섹터 1의 5번 코너에서 추월시도가 많이 나왔다. 레이아웃 변경 이후로는 5번 코너(구 7번)에서 추월시도가 나오는 편이다. 섹터 2의 직선주로는 각각 DRS를 쓸 수 있어 배틀과 추월이 자주 발생하며, 첫번째 DRS 구간에서 추월을 허용하더라도, 2번째 DRS 구간에서 DRS를 사용하여 추월할 기회가 생기기 때문에 재추월도 잦은 곳이다. 따라서 직선주로 추월 시도 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레이아웃 변경 전에는 5-7번 코너의 존재로 섹터 2에서 추월이 생각보다 잘 나오지 않았지만, 레이아웃 변경 후로는 추월과 배틀이 자주 연출되며, 레이아웃 변경 후의 9번 코너 역시 헤어핀을 끼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2대의 차량이 배틀을 펼치는 장면이 종종 연출된다.

자잘한 특징으로, 홈스트레이트 레코드 라인이 특이하다. 마지막 코너가 시계방향이고 첫 코너가 반시계방향으로 코너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7] 때문에 홈스트레이트에서 레코드 라인을 바꿔서 타야한다.

고저차는 거의 없으며, 평균 속도 역시 직선주로 2개가 뚜렷하게 있는 서킷 치고는 그렇게 빠르지 않다. 레이아웃 변경 전 까지는 추월이 상당히 어렵다는 평을 많이 받아서 재미없는 서킷 1순위로 많이 꼽혔다. 일례로 2010년 그랑프리에서 페르난도 알론소가 앞에 있던 퍼포먼스가 다소 떨어지는 르노의 페작가 비탈리 페트로프에게 40랩 가까이 틀어막히며 7위를 기록, 거의 다 잡은 챔피언쉽 우승을 날려먹은 적이 있을 정도. 게다가 당시에는 DRS, KERS도 없어서 추월도 더 힘들었다. 키미 래이쾨넨의 말로는 몇 코너는 괜찮은데 나머진 별 볼 일 없다고. 2012 시즌에서 7대가 리타이어하고 추월 등의 박진감 넘치는 흥미로운 레이스가 나온 적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지루한 레이스가 연속되며 재미없는 '틸케드롬'의 대명사 처럼 자리잡았었다. 5-6번 시케인을 없애 섹터 2를 완전한 추월섹터로 둬야 한다는 말이 계속 나왔음에도 레이아웃 변경 계획은 없는 듯 했지만...

2.1. 레이아웃 변경

<nopad> 파일:야스 마리나 서킷 변경.jpg
기존 레이아웃와 현재 레이아웃 비교

하도 루즈한 레이스가 나온걸 인지했는지, 2021년 6월 24일, 레이아웃이 변경되었다. 대체적으로 추월 기회 상승에 포커스를 두었고 2021시즌 최종전에 수정 레이아웃이 적용되었다.[8] 그리고 이 레이아웃 변경은 마이클 마시의 희대의 경기 운영을 통해 F1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기존 5,6번 시케인이 모두의 염원대로 제거되어 5-7번 코너가 하나의 헤어핀(현재의 5번 코너)으로 변경되었다. 2번째 직진구간 끝에 나오는 11-13번 시케인과 14번 코너도 하나의 큰 헤어핀(현재의 9번 코너)으로 변경되었다. 섹터 3의 18, 19, 20번 코너(현재의 13-15번 코너)는 각진 구조가 부드러워졌다. 서킷 길이는 약간 짧아졌으나, 랩타임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9] 섹터 2의 추월 가능성이 대폭 향상되며 레이스의 재미가 향상되었고, 외적으로도 2021년 이후로 시즌 최종 순위를 위해 접전을 펼치는 모습이 매년 펼쳐진 덕분에 이전의 악명을 어느 정도 떨쳐내고 있다.

3. 역대 기록

3.1. F1

[ 펼치기 · 접기 ]
||<#348d9d> 연도 ||<#348d9d> 드라이버 ||<#348d9d> 소속팀 ||
}}} ||

4. 기타


[1] 아부다비 그랑프리 (2009~ )[2] (2013~2019, 2021~ )[3] (2021~ )[4] 스타트 라인과 피니시 라인 사이의 길이[5] 이 서킷에서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6] 레이스 도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 대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7] 2025년 캘린더 기준, 첫 코너와 마지막 코너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서킷은 중국, 스파, 아부다비 총 3곳이다.[8] 다만 F1 2021 게임에서는 적용되지 않았다. 후속작에서나 적용될 듯.[9] 2020년 폴랩이 1:35.246이었는데 2021년에는 1:22.109가 나왔다.[10] 페라리 월드에는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롤러코스터인 포뮬러 로사가 있다.[11] 제 1은 당연히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 다만 페라리의 공식 홈 서킷은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자동차 경주장이다.[12] 현 포뮬러 1의 야간 레이스는 바레인, 사우디, 싱가폴, 카타르, 라스베가스 총 5곳이다.[13] 현재는 전량 퇴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