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03:22:48

스즈카 서킷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 3/14~1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멜버른)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파일:호주서킷ㅇ.png
2 3/21~2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상하이서킷ㅇ.png
3 4/4~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스즈카)
스즈카 서킷
파일:스즈카서킷ㅇ.png
4 4/11~14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사키르)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바레인서킷ㅇ.png
5 4/18~2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제다 코니쉬 서킷
파일:제다서킷ㅇ.png
6 5/3~5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애미 (마이애미 가든스)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파일:마이애미서킷ㅇ.png
7 5/16~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밀리아로마냐 (이몰라)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파일:이몰라서킷ㅇ.png
8 5/23~25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서킷 드 모나코
파일:모나코서킷ㅇ.png
9 5/30~6/1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몬트리올)
서킷 질 빌뇌브
파일:캐나다서킷ㅇ.png
10 6/14~16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바르셀로나)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파일:카탈루냐서킷ㅇ.png
11 6/27~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슈필베르크)
레드불링
파일:레드불링ㅇ.png
12 7/4~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실버스톤)
실버스톤 서킷
파일:실버스톤서킷ㅇ.png
13 7/25~27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스파-프랑코샹)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파일:스파프랑코샹ㅇ.png
14 8/1~3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헝가로링
파일:헝가로링ㅇ.png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R 날짜 대회 레이아웃
15 8/29~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잔드보르트)
서킷 잔드보르트
파일:잔드보르트ㅇ.png
16 9/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몬차)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파일:몬차서킷ㅇ.png
17 9/19~2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바쿠)
바쿠 시티 서킷
파일:바쿠서킷ㅇ.png
18 10/3~5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파일:싱가포르서킷ㅇ.png
19 10/18~2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오스틴)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
파일:코타ㅇ.png
20 10/25~2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멕시코 시티)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파일:멕시코서킷ㅇ.png
21 11/7~10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상파울루)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
파일:브라질서킷ㅇ.png
22 11/21~23 파일:미국 국기.svg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파일:라스베이거스ㅇ.png
23 11/28~12/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카타르서킷ㅇ.png
24 12/5~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야스 섬)
야스 마리나 서킷
파일:아부다비ㅇ.png
}}}}}}}}} ||
파일:혼다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e1e1e>계열사 및 사업부
완성차 혼다 | 아큐라
고성능 브랜드 타입 R | 타입 S | A 스펙
합자 회사 광치 혼다(혼다 차이나 | 에베루스) | 둥펑 혼다(둥펑혼다 시모) | GE 혼다 에어로 엔진스 | 소니 혼다 모빌리티 | 몬테사 혼다 | 히타치 아스테모 | L-H Battery Company
공장 혼다 공장
항공 혼다 항공기 회사 | 혼다 항공
기술 GE 혼다 에어로 엔진스 | 아시모
전력 혼다 인디아 파워 프로덕트 리미티드
딜러점 베르노점 | 프리모점 | 클리오점
국가별 총판 혼다코리아 | 혼다 자동차 인디아(혼다 모터사이클 앤드 스쿠터 인디아) | 혼다 스페인 | 혼다 파키스탄 | 혼다 캐나다 | 혼다 UK | 혼다 대만
기타 혼다 콘셉트 카 | 아큐라 콘셉트 카 | 혼다 웰컴 플라자 | 혼다 컬렉션 홀
스포츠
축구 혼다 FC
럭비 미에 혼다 히트
모터스포츠 HRC(HRC US) | 혼다 레이싱 F1 팀 | 무겐 모터스포츠 | 혼다 HRC 팀
서킷 혼다 모빌리티랜드(스즈카 서킷 | 모빌리티 리조트 모테기)
e스포츠 Team Liquid Honda
핵심 인물
혼다 소이치로
}}}}}}}}} ||

파일:suzuka logo.svg
스즈카 서킷[1]
鈴鹿サーキット
Suzuka Circuit
파일:Japan_Circuit.png
<colbgcolor=#298f9b><colcolor=#fff> 스즈카 서킷 레이싱코스(レーシングコース) 트랙 정보
위치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 이노초[2]
개장 1962년
설계자 요하네스 "한스" 휘헌홀츠[3]
소유자 혼다기연공업 산하 모빌리티랜드
수용능력 161,000명
FIA 그레이드 1
개최 경기 포뮬러 1 일본 그랑프리, 슈퍼 GT, 슈퍼 포뮬러, 슈퍼 다이큐, WTCC,
, MJF 슈퍼바이크, 스즈카 1000km,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길이 그랑프리
레이아웃
5.807km
동쪽 서킷
레이아웃
2.243km
스타트 정보 오프셋[4] 0.300km
폴 포지션 좌측 (첫 코너 기준 바깥쪽)
F1 레이스 정보 총 주행 거리 307.471km (53 laps)
컴파운드 C1/C2/C3 (2025년)
코너 그랑프리
레이아웃
18개
동쪽 서킷
레이아웃
7개
트랙 레코드[5] 그랑프리
레이아웃
1:26.983 (막스 베르스타펜, RB21, 2025)
동쪽 서킷
레이아웃
-
랩 레코드[6] 그랑프리
레이아웃
1:30.965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 메르세데스-AMG F1 W16 E 퍼포먼스, 2025)
동쪽 서킷
레이아웃
0:53.885 (알랑 메뉴, 쉐보레 크루즈 WTCC, 2012)

1. 개요2. 서킷 구성3. 역대 기록
3.1. F1
4. 기타


1. 개요

파일:external/www.f1fanatic.co.uk/merc-suzu-2012-2-941x529.jpg
<colbgcolor=#298f9b><colcolor=#FFFFFF>
풀 코스 레이아웃 주행

스즈카 서킷(Suzuka Circuit, 鈴鹿サーキット)의 레이싱코스는 1962년에 완공된 FIA 1급 서킷이다. '일본 자동차 역사는 스즈카 이전과 이후로 분류 한다.'는 말이 생길 정도로 일본 자동차 산업에 영향을 끼친 서킷이다. 현재는 후지 스피드웨이, 오카야마 인터내셔널 서킷, 트윈 링 모테기와 함께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서킷이다.

원래는 혼다 스즈카 공장에서 생산한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테스트 코스 목적으로 설립된 유서 깊은 코스로, 이후 계속된 보수를 거쳐 메이저급 모터스포츠를 하나하나 개최하기에 이른다. 현 운영주체는 2006년에 같은 혼다 산하의 트윈링 모테기와 합병하여 생겨난 모빌리티 랜드로 혼다의 완전자회사이다.

F1 일본 그랑프리, Super GT, 슈퍼 포뮬러, 슈퍼다이큐, WTCC 등 각종 그랑프리, 스프린트 레이스, 내구레이스 등을 계속해서 개최하는 곳이며 2013년에는 대한민국의 CJ 슈퍼레이스 제 5전이 이곳에서 열리기도 했다. 그리고 2000년대 초까지 MotoGP도 이 곳에서 열렸지만 아래에 후술한 사고로 인하여 지금은 트윈 링 모테기에서 일본 그랑프리가 열리고 있다. 레이싱 경기 외에도 혼다 사나 여러 튜닝샵, 동호회 등에서 주행회나 이벤트를 열기도 한다.

2020년과 21년에는 코로나 19로 주최 측에서 개최를 취소하였다.

2. 서킷 구성

파일:스즈카 서킷 구조2.png

길이는 4륜 기준 5.807km, 2륜 기준 5.821km로 아시아에서 가장 긴 상설 서킷[7]이고, 포뮬러 1 서킷들 중 유일하게 입체 교차 모양으로 되어있다.[8] 즉 서킷 자체는 시계 방향 구조이나, 헤어핀을 돌면 반시계 방향 주행을 함과 동시에 헤어핀을 돌기 이전 구간 위로 달리게 된다. 이런 테크니컬한 특성 때문에 많은 드라이버들이 재밌는 서킷들 중 하나로 스즈카 서킷을 선택한다. 하지만 드라이빙 난이도는 높은 축에 속한다. 나름 고속 서킷으로 분류됨에도 일정량의 높은 다운포스가 필요해서 추월이 생각보다 많이 안 나오는 편. 대개 높은 다운포스가 요구되는 서킷들이[9] 추월이 어렵듯이 여기도 마찬가지라고 보면 된다.[10]

모터스포츠가 인기 있는 일본에서도 그 중요성이 높은 서킷이다 보니, 몇몇 코너들에 이름이 붙어있다. 공식 명칭은 스즈카 서킷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현재 여러
전체적으로 추월 시도가 가능한 포인트로는 첫 코너와 헤어핀 그리고 130R 통과 후 나오는 시케인이 있다.

DRS는 피트 스트레이트 1곳이다. DRS 디텍션 존은 제법 떨어진 15번 커브 130R을 지나자마자 있다. 스즈카 서킷에서 가장 긴 가속구간은 스푼을 지난 후의 스트레이트이지만, 이 곳을 DRS존으로 설정할 경우 130R에서의 사고 위험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지기 때문에, 설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22]

3. 역대 기록

3.1. F1

[ 펼치기 · 접기 ]
||<#298f9b> 연도 ||<#298f9b> 드라이버 ||<#298f9b> 소속팀 ||
}}} ||

4. 기타



[1] 스즈카 국제 레이싱 코스가 정식명칭이라 여겨지는 경우가 있으나, 개장 당시부터 정식명칭은 '스즈카 서킷'이며, JAF 공식 홈페이지도 스즈카 서킷으로 표기한다.# 스즈카 서킷에는 트윈링 모테기처럼 두 개의 독립된 트랙 (레이싱코스, 미나미코스)이 존재하며, 이 중 F1이 열리는 레이싱코스의 예전 공식명이 국제레이싱코스(国際レーシングコース, International Racing Course)이었다. 때문에, 공식 문서나 언론에서 이 코스를 한정적으로 지칭할 때 鈴鹿サーキット国際レーシングコース(Suzuka Circuit International Racing Course)로 표기하였는데 이를 서구권에서 오인하여 Suzuka International Racing Course라는 표현이 퍼졌고, 관용적으로 쓰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표기가 관용적으로 쓰인 바람에 영문위키의 표제어로 등록된 것은 물론, 각종 심레이싱 게임에서 스즈카 서킷의 명칭으로 쓰이며 심지어 2010년대까지 F1공식홈페이지조차 위와같이 표기하였다. (현재는 Suzuka Circuit으로 표기한다.) 영문위키는 한술 더떠 일본어 표기가 '鈴鹿国際レーシングコース'라 소개하지만, 실제로는 저런 표기가 공식적으로 일본 내에서 쓰인 적은 없다.[2] 나고야 시내에서 직선거리로 서남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다.[3] 영어권에서는 John Hugenholtz로 쓴다. 다만, 휘헌홀츠는 실제로는 Hans를 애칭으로 썼으며 John은 그냥 영어권에서 Johannes를 영어 표기로 바꾼것에 불과하다.[4] 스타트 라인과 피니시 라인 사이의 길이[5] 이 서킷에서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6] 이 서킷에서 열린 레이스 도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 대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7] 마카오 시가지 서킷이 6km로 가장 길지만 상설 서킷 기준으로 보면 스즈카 서킷이 가장 길다.[8] 피트레인도 포함한다면 야스 마리나 서킷도 해당되기는 한다.[9] 주로 초고속으로 코너를 돌아나가는 구간이 있는 서킷[10] 고속 코너에선 슬립스트림 등의 추월 기술을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1] 에너지 드링크 이름이다.[12] F1에서는 100R만 7번으로 번호가 붙어있다. 한편, 스즈카 서킷 측에서는 100R과 180R 묶어서 하나의 커브로 취급하고 7번 코너로 번호 붙였다.[13] 평균이 180이라 180R로 표기하기도 한다.[14] 일본에서 도로 포장으로 유명한 기업이다. 스즈카 서킷의 포장 및 건설을 담당했던 인연으로 네이밍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보인다.[15] 역 뱅크라 불리기 때문에, 바깥쪽으로 뱅크가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앞 커브들에 있던 뱅크가 없어지면서 내리막을 내려가기에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느낌이 강해 역 뱅크가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 붙은 별명이다.[16] 쥘 비앙키의 사고도 던롭에서 발생하였다.[17] 당해 50cc 챔피언이었던 그가 스즈카에서 열린 첫 공식 경기에서 선두로 달리던 중 스핀하였기에, 그 임팩트가 상당했을 것으로 보인다.[18] 당연히 컵라면으로 유명한 그 닛신(日清)이 아니며, 브레이크로 유명한 아스테모 산하의 닛신공업(日進工業, 현재 아스테모 산하이다.)이다. 아스테모가 혼다기연 산하 출신이고, 헤어핀이 주요한 브레이킹 존인 만큼 굴지의 브레이크 제조사인 닛신이 네이밍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보인다.[19] 조화평균이 대략 136으로 대략 130이다.[20] 아스테모는 토키코 이외의 계열사들이 원래 혼다 출신인 만큼 혼다와의 인연이 깊어 네이밍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보인다.[21] 정식 명칭이다.[22] 비슷한 이유로 모나코 서킷의 터널 구간도 DRS존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23] 프랑스 현지시간 2015년 7월 17일 오전[24] 다행히도 쥘 비앙키의 사고 후 안전에 2024년 현재까지 F1 그랑프리에서 사망사고는 없다. 많은 안전 대책들이 추가적으로 마련되었으며, 특히 헤일로는 많은 드라이버들을 치명적인 사고로부터 지켜주고 있다.[25] 그나마 미에는 운행횟수라도 13회로 꽤 많지만 난키는 하루 4번이 끝이다. 여기에 이세 철도 구간을 경유하기 때문에 JR 도카이이세 철도 구간의 운임요금을 모두 내야 한다. JR패스를 써도 이세 철도 구간의 운임요금은 별도로 내야 한다.[26] 이노역과 달리 도보 이동이 힘들 정도로 거리가 있다.[27] 실제로 해당 경기 시즌에 시로코역에는 미에 교통 등 인근 지역에서 긁어모은 버스들이 몰려들어서 사람들을 태우고 다니는 걸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