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9:02:18

연희동(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b4f>
파일:서대문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8b4f> 충현동 북아현동 합동 미근동 충정로2가 충정로3가
천연동 천연동 현저동 영천동 옥천동 냉천동
북아현동 북아현동
신촌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대신동 대현동
연희동
구청
연희동
홍은1, 2동 홍은동
홍제1~3동 홍제동
북가좌1, 2동 북가좌동
남가좌1, 2동 남가좌동
}}}}}}}}} ||
서대문구법정동
연희동
延禧洞 | Yeonhui-dong
<colbgcolor=#008b4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서대문구
행정표준코드 1141011700
관할 행정동 연희동
면적 3.01㎢
1. 개요2. 동명 유래 및 역사3. 관할 행정동
3.1. 연희동
4. 특징5. 음식점
5.1. 연세대 서문5.2. 연희교차로5.3. 연희삼거리5.4. 연희초등학교/한성화교학교
6. 관내 주요 시설
6.1. 학교
6.1.1. 초등학교6.1.2. 중학교6.1.3. 고등학교6.1.4. 대학교
6.2. 의료기관
6.2.1. 내과,가정의학과6.2.2. 마취통증의학과6.2.3. 소아청소년과6.2.4. 이비인후과6.2.5. 재활의학과6.2.6. 치과6.2.7. 피부과6.2.8. 요양병원
6.3. 관내 교통
6.3.1. 철도6.3.2. 버스
6.4. 관공서 및 주요 건물6.5. 주거6.6. 기업
7. 출신 인물8. 관련 유명인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구청이 있다. 단일 행정동으론 서대문구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2. 동명 유래 및 역사

조선시대 이궁(離宮) 가운데 하나였던 연희궁이 동명의 어원이다. 이 궁의 이름을 딴 한성부 성저십리의 서부 지역을 관할했던 연희방(延禧坊)이 있었으며 그 중 현 연희동 지역은 궁동(宮洞), 음월동(陰月洞), 정자동(亭子洞), 염동(廉洞) 등으로 나뉘어 불리다가, 1914년 일제가 이를 합쳐 연희리라 하고 고양군 연희면에 편제하였다. 1936년 경성부에 재편입되었고 일본식 이름인 연희정(延禧町)으로 개칭되었으며 1943년 서대문구에 편제되었다가, 해방 후에 연희동이 되었다. 옛 중 궁동(宮洞)의 경우 아직 궁동산, 궁동근린공원 등의 명칭에 사용되고 있는데, 역시 이 자리에 궁궐이 있어서 붙여진 명칭이다.

원래 마포구 연남동 역시 연희동에 속했으나, 1975년 서울특별시 자치구 경계 조정 당시 연희동의 경의선 이남을 떼어 마포구로 편입시키면서 '연희동의 남쪽' 이라 하여 연남동(延南洞)이라 명명되었다. 성산로 남쪽 일부 지역(연희성당, 연희대우아파트가 있는 지역)도 연희동인데, 연남동은 떨어져나갔으나 연희로 동쪽 부분은 계속 연희동에 속하게 되었다.[1] 창천동(행정동상 신촌동)이 아니다.

본래는 행정동이 연희1~3동까지 나뉘어져 있었으나 2008년 연희동으로 통합되어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며, 통합 이후 동사무소는 구 연희2동 청사를 쓰고 있다.

3. 관할 행정동

3.1. 연희동

서대문구행정동
연희동
延禧洞 | Yeonhui-dong
<colbgcolor=#008b4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서대문구
행정표준코드 3120129
관할 법정동 연희동
하위 행정구역 57통 459반
면적 3.05㎢
인구 34,193명[2]
인구 밀도 11,210.82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서대문구 갑

파일:zsdkl3gasdg.svg
김동아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문성호 (초선)
서대문구의원 | 나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덕현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경선 (재선) }}}}}}}}}
행정복지센터 연희로 189 (연희동 77-9)
연희동 주민센터
[clearfix]

4. 특징

연희동 북동쪽에는 안산이 자리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홍제천이 흘러 남가좌동, 홍은동과 경계를 이룬다. 전반적으로 동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멀어질수록 표고가 높아지는 분지 지형이다. 경의선 이남은 마포구 연남동인데 1970년대 이전에는 여기도 연희동이었다. 동쪽으로 넘어가면 연세대학교가 있는 신촌동인데 사실 연세대학교 일부는 연희동에도 걸쳐져 있다. 연세대에서 서문 및 북문으로 나가면 모두 연희동 땅으로 나오게 된다. 연희동 북문에는 서태지서태지와 아이들 시절 당시 거주했던 주택이 있다. 그 주택에는 서태지와 아이들이 은퇴했을 당시 큰 소동이 벌어졌고 팬들이 찾아와서 가지 말라고 써놓은 글귀들이 담벼락에 남아있는데, 최근에는 그 흔적들이 많이 지워졌다.

연세대학교/신촌캠퍼스 서쪽 상당 부분이 연희동에 속하는데, 예를 들어 도서관 뒤의 이과대학, 과학원, 제2공학관, 생과대(삼성관), 운동장 등 상당수 건물이 신촌동이 아닌 연희동 소속이다. 구 연희3동(연희로 동쪽)지역 상당 부분은 연대 서문과 통하는 연세대학교 근처 자취 및 하숙촌이 되어 대학생들이 많이 살고 있다. 사실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가 바로 이 동네의 이름(정확히는 조선시대 행정구역인 연희방)에서 딴 것이기도 하다.

서문 생활권의 연희동 상권은 과거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일가가 살았을 정도로 부촌이다.[3] 당연히 물가가 비쌀 수밖에 없고, 신촌을 제외하고 가장 가까운 상권으로, 연희동 근처 대학생들이 학식 먹기도 짜증나고 그러면 자주 나간다. 당연히 초이스가 별로 없으니 가게들끼리 일종의 카르텔이 형성되어 있다.

경내의 고급 주택지에는 고위직 공무원과 교수, 선교사, 해외 관계자, 정치인 등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서대문구청, 서대문구 보건소, 서대문도서관 등 서대문구의 주요 시설이 이 연희동에 위치한다. 대체로 아파트는 적고 주택이 많은 동네다.

연희동은 서울 시내에서도 손꼽히는 지하철 사각 지대에 위치한다. 따라서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 일단 서대문03, 서대문04 등 마을버스나 시내버스를 타고 신촌역까지 나가서 2호선으로 갈아타는 사람이 많은데, 평상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출퇴근 시간 피크 타임에는 이 방향으로 나가는 길이 신촌 방향이든 홍대 방향이든 연세대 방향이든 엄청나게 막히는 문제가 있다. 서대문구청과 같이 연희동 북쪽이라면 3호선 홍제역이 조금 더 가까우며, 홍제역과 연희동을 연결해 주는 7738번의 이용객도 꽤 많은 편이다. 출퇴근 시간의 정체 때문에 본래는 2호선을 타야 할 사람이 일부러 차량 정체가 덜한 홍제역 쪽 방향으로 7738번을 타고 돌아가는 루트를 택하는 경우도 은근히 많은 편이라고.[4]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연희동을 통과하기로 계획되어 있으나 언제 착공할 지 아직은 기약이 없는 상태.

많이 알려지진 않은 사실이지만 서대문구청 근처의 연희로, 홍제천로 그리고 연희지하차도가 있는 가좌로 사이에 있는 삼각형 비스무리하게 생긴 곳은 연희동에서 꽤 낙후된 지역이다. 시설이 다른 곳에 비해 오래 된 편이며, 노인들이 많이 거주 중이다.

연희동은 전통적으로 분위기 좋은 레스토랑과 카페들이 있어서 데이트 코스로 꽤 인기가 좋다. 이 부근에 화교들이 많이 살아서 맛있는 중국집들도 많다. 대표적으로 이연복 셰프의 식당인 목란도 이 동네에 위치해있다. 한성화교학교(중고등학교)도 이 곳에 있다. 중국집 코스는 경의선 건너 연남동으로도 이어진다.

연희동에는 이전부터 직장인이나 교수들을 타겟으로 한 고급 중식당이나 한정식집이 많았는데,[5] 2010년대 들어 젊은 취향의 카페, 레스토랑도 많이 들어서고 있으며,[6] 특히 사러가쇼핑 주변에 음식점 상권이 잘 형성되어 있어 사러가쇼핑 근처를 지나가는 길 이름을 아예 연희맛로로 붙였을 정도. 대신 유명한 패스트푸드점은 한동안 이 동네에 없었는데 예를 들면 과거 KFC가 연희동에 생겼다가 버티지 못하고 없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2013년에 버거킹이 들어왔다. 이외에 빵집도 유명한데, 증가로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역시 곧 개점 40년이 다 돼가는 피터팬제과점(빵집)이 있고 사러가쇼핑 근처에는 사러가쇼핑에 입점해 있는 피터팬제과점 분점과 맞은편에 있는 역시 2010년대 기준 4대째로 역사가 오래된 독일빵집이 존재한다. 동네빵집 등쌀에 프렌차이즈 빵집은 맥을 못 추는 중이다. 이전에 지금의 연희맛로에 있었던 파리바게뜨는 망해버렸으며 지금은 연희로 동쪽, 그러니까 연세대 자취생들이 많이 사는 쪽에 존재한다. 반대로, 연대서문쪽 구 연희3동의 경우 지역이 지역이니만큼 대학생 대상의 식당이 여럿 몰려있다.

연희동 서남쪽의 궁동산은 1950년 9월 6.25 전쟁 당시 서울 수복 작전에 나선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를 방어하려던 북한군 사이에 치열한 격전이 벌어진 곳으로 이를 기리는 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지금도 육군 방공 진지가 있다. 104고지라고 불리며 전적비와 작은 공터가 있는데, 낮은 동산이지만 남쪽으로 전망이 탁 트여 있어서 인근 주민들이 가끔씩 산책을 오기도 한다. 바로 앞 성산로 큰길가의 버스 정거장 이름도 연희 104고지/구 성산회관이다. 또한 궁동 산자락에 있던 연희시범아파트가 철거된 후 그 자리에 궁동 근린공원이 만들어져 연희동 지역민들의 휴식처가 되었다. 궁동 산자락 바로 너머로는 홍제천이 흐르는데, 이쪽 지역에는 오래된 주택이 많으며 현재 홍제천 건너 동네들의 상황과 비슷하게 여기저기 재개발 조합이 결성된 상태지만 뒤가 바로 산이라 터가 좁은 게 문제. 특히 연희1구역의 경우 재개발이 부결 되는 등 이래저래 사업은 2016년 기준으로 지지부진한 편이었으나 2019년 관리처분인가 후 2020년부터 이주를 시작해 2025년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그리고 이쪽은 홍제천가여서 그런지 '홍연', '홍남' 같은 이름이 여기저기 붙어 있고 이래저래 홍제천 대안의 홍은동이나 남가좌동과 비슷한 느낌이다. 홍제천에는 산책로가 만들어져 있어 운동하기 좋다. 거리는 조금 멀지만, 내려가다 보면 한강까지 나갈 수 있다.

궁동산 북쪽 산자락에는 문인들이 창작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공된 거주 공간인 연희문학창작촌이 있는데, 이런저런 문화행사가 연중 열리고 관내를 산책하는 것도 가능하다.[7] 서대문구청 뒤에 있는 안산연희숲속쉼터 산책길은 아름드리벚꽃나무가 여럿 심어져 있는지라 특히 꽃피는 봄에 가면 경치가 좋은 공원이다.

연희동 방향으로 나있는 과학관과 과학원 사이 서문에서 출발하여 연희동 지역 대부분을 커버하는 상권이다. 중심길은 연희로10길로, 주 소비층은 이 부근의 자취하숙촌 자취생, 하숙생들과 공대/이과대/생과대/생시대/체대 등 캠퍼스 남서부 지역 단과대 학생/대학원생, 그리고 교수님들(...)[8]이다. 술집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고[9], 특히 학교에 가까운 서문 근처쪽은 대부분[10] 밥집들과 무난한 소규모 카페들이다.

서문 언덕을 다 내려와 연희로를 건너면 본격적인 연희동 상권[11]인데, 이곳은 부촌[12]이라서 학생들이 접근하기는 좀 부담스러운 곳이긴 하다. 그래도 가끔 사치 한 번 부려보겠다고 이곳까지 오는 학생들도 있다.

2010년대 후반 들어 전반적으로 서대문구의 다른 동과는[13] 왕래가 적어지고 따로 노는 경향이 강해졌다. 특히 홍대상권의 발달이 가속화된 2010년 중반 이후로는 서대문구의 다른 동보다 홍대, 합정동, 연남동 등 홍대 상권으로의 종속이 이루어지는 편. 심지어 일부에선 홍대 상권의 일부로 연희동이 소개되기도 할 정도. 물론 넓게 잡았을 경우 그렇다는 것이다. 교통/쇼핑 등의 생활권이 마포구와 밀접해지고 있다.

5. 음식점

5.1. 연세대 서문

5.2. 연희교차로

5.3. 연희삼거리

5.4. 연희초등학교/한성화교학교

6. 관내 주요 시설

6.1. 학교

6.1.1. 초등학교

6.1.2. 중학교

6.1.3. 고등학교

6.1.4. 대학교

연세대학교 일부가 이 동에 걸쳐 있다.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14]와 세브란스의과대학[15]의 결합으로 지어진 이름이다.[16]

6.2. 의료기관

6.2.1. 내과,가정의학과

6.2.2. 마취통증의학과

6.2.3. 소아청소년과

6.2.4. 이비인후과

6.2.5. 재활의학과

6.2.6. 치과

6.2.7. 피부과

6.2.8. 요양병원

6.3. 관내 교통

6.3.1. 철도

없다. 홍대입구역, 홍제역, 새절역, 신촌역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 사실 연희동에 6호선 연희역이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前 대통령 전두환이 자기 사는 동네(?)는 조용해야 한다고 반대해서 취소되었다는 소문이 있다. 또한 연희동에는 서울 지하철 11호선이 들어설 예정이였지만 IMF로 계획 무산, 현재는 서울 경전철 서부선 미래 계획만 남아있다. 중전철이 경전철로.. 너무하네[17] 일제강점기에는 연세대학교 정문 앞에 경성순환노선 연희역이 있었지만, 폐역되었다.

6.3.2. 버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bgcolor=#3d5bab> 간선 ||
110A
110B
163
171
172
270
272
470
601
606
672
673
674
700
710
721
740
742
750A
750B
753
761
||
지선, 맞춤
일반시내
마을
심야
공항

6.4. 관공서 및 주요 건물

6.5. 주거

서대문구청과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근처의 아파트 시설들은 꽤 오래 되었다. 성원아파트 일대는 1998년 전까지 연희 B지구 빌라였다.

6.6. 기업

7. 출신 인물

8. 관련 유명인


[1] 연희대우아파트는 경의선 남쪽에 위치하지만 연희동이다.[2]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3] 다만 전두환이 살던 집은 추징금 내려고 공매로 내놓았고, 여러 번 유찰되다 2019년 결국 기존 금액의 반값인 51억원에 낙찰되었다.[4] 홍제동우체국 앞에 있는 홍제역 가변 정류장에서 야간에 연희동(연희A지구방면)으로 가는 사람들이 7738번에 몰려서 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게다가 이 정류장에는 7738번이 거의 빈 차로 들어오기 때문에 환승하기에도 나쁘지 않다. 다만 모래내로(고은초교) 구간은 단방향으로만 버스가 다니는지라, 서대문구청에서 홍제역으로는 어쩔 수 없이 정원여중 입구까지 돌아서 가야한다.[5] 물론 연대 서문쪽은 이야기가 다르다.[6] 그러나 거주민의 카더라에 따르면 5년 이상 가기가 힘들다고 한다. 이유는 젊은이들의 얇은 지갑, 연희동 특유의 높은 땅값과 레드오션 등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실제 연희동엔 까페가 이미 포화 상태이다.[7] 단, 이 근처에 전직 대통령들의 사저가 있어서 올라가는 길에 검문을 당할 수도 있으니 염두에 두자. 특별한 건 없고, 길에 접어드는 사람에게 어떤 일로 오셨냐고 물어보는 수준이다. 다만, 의경들이 검문하는 길은 연희문화창작촌으로는 갈 수 없는 길이므로, 창작촌을 가려고 하는데 이들을 마주친다면 길을 잘못 든 것이다.[8] 밥 먹다 아는 교수님을 식당에서 마주치면 학생들 입장에서는 밥이 입으로 넘어가는지 코로 넘어가는지 모른다.[9] 당연히 술은 자취방에 사들고 가서 먹는다. 홍대와 연남동일대가 젠트리피케이션을 겪은 이후 술집도 몇몇군데 생겼는데, 이 곳은 연세대와 거리도 멀고 분위기도 대학생들 보다는 20대 후반 이상의 성인들을 노리는 경향이 강하다.[10] 당연히 밥집들끼리 맛 경쟁을 한다고 더 자극적인 맛을 내려고 한다. 학생들은 "서문밥 먹다가 암 걸리는 것 아니냐"고 농담 삼아 말한다. 그리고 가격은 자취생들의 초이스가 그닥 많지 않다 보니 일종의 담합이 형성되어 폭리를 취한다.[11] 연희로/연희맛로 주변, 사러가마트가 중심이다.[12]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도 이 곳에 산다. 전경들이 경호하기도 한다. 다만 전두환의 경우 2019년 집이 팔렸다. 계속 거주할지는 불투명. 그리고, 노태우도 2021년 10월 26일에 사망했다.[13] 홍은동, 홍제동, 남가좌동 등.[14] 조선기독대학-연희전문학교(경신학당 대학부)를 계승했다. 해방 후 연희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연희전문학교를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로 이름을 강제로 변경시키는 등 학교의 권위를 격하시키려 했다.[15]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계승하였다. 現 연세대학교 의과대학[16] '연세'는 연희대학교의 ‘연(延)’과 세브란스의과대학의 ‘세(世)’를 따왔다.[17] 다만 새절에서 서대문구청으로 가는 7017번은 명지대 인문캠을 찍고 가기 때문에 굴곡이 있다.[18] 서대문구청 옆에 있다.[19] 서대문구청 뒤쪽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