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px><tablebordercolor=#fff> | 英陽 南氏 영양 남씨 | }}} | |
<colbgcolor=#000> 관향 | 경상북도 영양군 | |||
시조 | 남민(南敏) | |||
중시조 | 남홍보(南洪甫) / 대광공파(大匡公派) 남군보(南君甫) / 밀직공파(密直公派)[1] | |||
파조 | 남계문(南啓文) / 녹사공파(錄事公派) | |||
남호(南顥) / 만호공파(萬戶公派) 남이(南頤) / 현감공파(縣監公派) 남영(南領) / 반송공파(攀松公派) 남수(南須) / 송정공파(松亭公派) | ||||
남희(南禧) / 수사공파(水使公派)[2] | ||||
남부량(南富良) / 부사공파(府使公派) 남수량(南遂良) / 중령공파(中領公派) 남의랑(南義良) / 수의공파(修義公派) 남우량(南佑良) / 회령공파(會寧公派) 남보량(南普良) / 만호공파(萬戶公派) | ||||
남회(南薈) / 목사공파(牧使公派)[3][4] 남과(南薖) / 진사공파(進士公派)[5] | ||||
남유보(南有寶) / 별시위공파(別侍衛公派) 남윤보(南允寶) / 사직공파(司直公派) | ||||
남강(南剛) /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 ||||
집성촌 | 경상북도 영양군·안동시·울진군·영덕군 경상북도 청송군·예천군·봉화군·경주시 경상북도 영주시·구미시·의성군 경상북도 울릉군 대구광역시 충청북도 보은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동해시·강릉시·고성군 | |||
인구 | 82,272명(2015년) | |||
링크 | 남씨대종회 |
[clearfix]
1. 개요
영양 남씨의 유래는 당 이부상서 형주자사로 여남 김씨 김충으로 신라 경덕왕 14년 유린지역에 표박하여 신라왕으로 부터 남씨 성을 사성을 받아 남민이 되었고 왕으로부터 시호를 영의공으로 받으면서 식읍을 영양현으로 받았다. 즉, 원래 시조 남민의 성은 김씨 이다.시조의 15세 남원량의 아들 삼형제 남홍보, 남군보, 남광보(군용)이고 장자는 영양남씨 관향으로 차자의 큰 아들 남공약은 영양남씨안동으로 차자는 대장군 남진용으로 최초로 의령부원군의 시호를 받아 의령파조로 분파 되었고 남홍보의 막내동생 남광보(군용)는 철성부원군의 시호를 받아서 고성파조로 분파 되었다.
2. 인구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82,272명으로 집계되었다.다만, 기사를 참조하면 잘못 기재된 성씨와 본관이 상당히 많다는 걸 알 수 있는데, 2015년 인구조사에서도 조사원 또는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 집계된 본관들이 상당히 많다.
영양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본관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양양 28명, 언양 40명, 여량 11명, 여양 205명, 연양 17명, 예양 104명
모두 영양과 비슷한 발음 또는 영양의 오탈자로 보이는 것들로서 이들을 합산하여 집계하면 총 82,677명이다. 이 밖에 남씨의 본관은 대개 의령, 영양, 고성, 남원 등 4개로 보는 반면, 2015년 통계에는 139개의 본관이 나타났으므로 잘못 집계된 영양 남씨의 숫자는 훨씬 더 많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3. 분파
영양남씨(英陽南氏)는 크게 영양파(英陽派)인 대광공파(大匡公派)와 안동파(安東派)인 밀직공파(密直公派)로 나뉜다.◎ 대광공파(大匡公派) - 파조는 명종 때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중대광(重大匡)을 지낸 남홍보(南洪甫)[계유보]
- 녹사공파(錄事公派) - 파조는 공민왕 때 영경전녹사(令慶殿錄事)를 지낸 남승경(南承敬)[7]의 장손 남계문(南啓文).
경상북도 울진군에 세거하고 있음. - 만호공파(萬戶公派) - 파조는 세종 때 만호(萬戶)를 지낸 남호(南顥).[8]
경상북도 울진군에 세거하고 있음. - 현감공파(縣監公派) - 파조는 세종 때 정읍현감(井邑縣監)을 지낸 남이(南頤).
경상북도 울진군·경주시·봉화군에 세거하고 있음. - 반송공파(攀松公派) - 파조는 남영(南領).
경상북도 울진군·울릉군에 세거하고 있음. - 송정공파(松亭公派) - 파조는 세종 때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를 지낸 남수(南須, 1395~1477).[9]
경상북도 울진군·경주시·영덕군·예천군·영양군·청송군, 대구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세거하고 있음. - 수사공파(水使公派) - 파조는 태종 때 대호군(大護軍), 강원도조전첨절제사(江原道助戰僉節制使)를 지낸 남득량(南得良)[10]의 장남 남희(南禧).출처
경상북도 경주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고성군에 세거하고 있음.
◎ 밀직공파(密直公派) - 파조는 명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낸 남군보(南君甫)[癸酉譜]
- 부사공파(府使公派) - 파조는 태종 때 과의장군(果毅將軍), 삼척진병마첨절제사(三陟鎭兵馬僉節制使)를 지낸 남부량(南富良).[12]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경상북도 구미시·안동시에 세거하고 있음. - 중령공파(中領公派) - 파조는 중령호군(中領護軍)을 지낸 남수량(南遂良).
경상북도 안동시에 세거하고 있음. - 수의공파(修義公派) - 파조는 세종 때 수의교위(修義校尉)를 지낸 남의량(南義良).
경상북도 안동시에 세거하고 있음. - 회령공파(會寧公派) - 파조는 세종 때 병조참의(兵曹參議), 단종 때 회령도호부사(會寧都護府使)를 지낸 남우량(南佑良).출처1출처2
경상북도 안동시에 세거하고 있음. - 만호공파(萬戶公派) - 파조는 세종 때 만호(萬戶)를 지낸 남보량(南普良).[13]
경상북도 구미시나 영주시 상주시 영천시 등지에 세거하고 있음. - 목사공파(牧使公派) - 파조는 세종 때 창성부사(昌城府使), 제주목사(濟州牧使)를 지낸 남회(南薈).[14][15]
경상북도 울진군·영주시에 세거하고 있음. - 진사공파(進士公派) - 파조는 남과(南薖).[1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동해시에 세거하고 있음. - 별시위공파(別侍衛公派) - 파조는 남유보(南有寶).
- 사직공파(司直公派) - 파조는 남윤보(南允寶).
충청북도 보은군에 세거하고 있음. -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 파조는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남강(南剛).
4. 집성촌
-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산법리
- 충청북도 보은군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남촌마을(南村)[17]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호명리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산촌리[18]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오산리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도목리[19]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중가구리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20]·송리리[21]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매곡리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22]·원구리[23]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신양리[24]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리·인량리[25]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칠성리[26]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섬촌리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만방리
-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작곡리
- 경상북도 예천군 은풍면 부초리[27]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신림리·읍남리·정림리[28]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노음리·행곡리[29]
-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정명리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삼근리·왕피리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금매리[30]·신흥리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사계리
-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소태리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화성리[31]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32]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거성리[33]·개일리[34]·도평리[35]·월매리[36]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
4.1. 조선시대
- 남사고 - 만호공(萬戶公) 남호(南顥)의 증손.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
남정수 전 감사원교육원장
남일호 전 감사원 감사위원
남해일 전 해군제독
남영신 전 육군참모총장
남중수 전 KT사장
남중철 전 풍산금속 사장
5. 항렬에 대한 정보
※ 영양 남씨는 대동항렬이 제정되어 있지 않고 전국 48개 문중에서 항렬자를 다르게 쓰고 있으며, 심지어 같은 파에 같은 지역 이면서도 문중에 따라 항렬자가 다른 경우도 많이 있다.참조5.1. 21세
5.2. 22세
- 남병표 - 독립운동가[38]
- 남승철 - 독립운동가[39]
- 남승하 - 독립운동가[40]
- 남왈기 - 독립운동가[41][42]
- 남자현 - 독립운동가[43][44]
- 남재정 - 독립운동가[45]
- 남재한 - 국회의원
- 남정철 - 독립운동가[46]
5.3. 23세
- 남만귀 - 독립운동가[47]
- 남만기 - 독립운동가[48]
- 남상현 - 독립운동가[49]
- 남석광 - 독립운동가[50]
- 남석술 - 독립운동가[51]
- 남석인 - 독립운동가[52]
- 남석우 - 독립운동가[53]
- 남석우 - 독립운동가[54]
- 남석태 - 독립운동가[55]
- 남재량 - 독립운동가[56]
- 남조홍 - 독립운동가[57]
5.4. 24세
- 남광호 - 독립운동가[58]
- 남교문 - 독립운동가[59]
- 남병구 - 독립운동가[60]
- 남복수 - 독립운동가[61]
- 남복이 - 독립운동가[62][63]
- 남삼진 - 독립운동가[64]
- 남석순 - 독립운동가[65][66]
- 남왈성 - 독립운동가[67][68]
- 남응하 - 독립운동가[69]
- 남효순 -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70][71]
- 남효직 - 독립운동가[72]
- 남효채 - 경상북도 행정부지사(1급)[73]
5.5. 25세
- 남계병 - 독립운동가[74]
- 남대충 - 대한불교천태종 제2대 종정[75][76]
- 남만진 - 독립운동가[77]
- 남승순 - 독립운동가[78]
- 남재준 - 육군참모총장, 국가정보원장[79][80]
- 남지학 - 독립운동가[81]
- 남진두 - 독립운동가[82]
5.6. 26세
- 남규우 - 독립운동가[83]
- 남병세 - 독립운동가[84][85]
- 남용식 - 독립운동가[86]
- 남원수 - 독립운동가[87]
- 남유진 - 구미시장[88]
- 남정성 - 독립운동가 [89]
- 남해일 - 해군참모총장[90]
- 남호정 - 독립운동가[91]
5.7. 27세
5.8. 28세
5.9. 세수 미상
[1] 의령 남씨의 중시조이기도 하다.[2] 본래 대광공파의 계열로 알려졌으나, 밀직공파 계열의 목사공파, 진사공파와 사촌관계(대호군 남득량과 단천군수 남득공은 친형제, 아버지가 황해도 문화현감 남봉우)이므로 교차검증이 필요함[3] 본래 밀직공파의 계열로 알려졌으나, 대광공파 계열의 수사공파와 사촌관계(대호군 남득량과 단천군수 남득공은 친형제, 아버지가 황해도 문화현감 남봉우)이므로 교차검증이 필요함[4] 다만, 같은 남군보 계열인 의령 남씨 직제학공파의 파조 남간과 목사공파의 파조 남회는 사적인 교류가 깊었음[5] 본래 밀직공파의 계열로 알려졌으나, 대광공파 계열의 수사공파와 사촌관계(대호군 남득량과 단천군수 남득공은 친형제, 아버지가 황해도 문화현감 남봉우)이므로 교차검증이 필요함[계유보] 진용(鎭勇)ㅡ>홍보(洪甫)ㅡ>겸(謙)ㅡ>숙손(淑孫)ㅡ>지탁(之卓)ㅡ>삼기(三起)ㅡ>봉우(鳳羽)ㅡ>득량(得良)ㅡ>희(수사공파)[7] 검교예빈경(檢校禮賓卿) 남혁(南奕)[99]의 장남[8] 종부시령판사(宗簿寺令判事) 남승고(南承顧)[100]의 차남인 신호위중랑장(中郞將) 남영번(南永蕃)의 장남[9] 신호위중랑장(中郞將) 남영번(南永蕃)의 4남[10] 황해도 문화현감(文化縣監) 남봉우(南鳳羽)의 차남[癸酉譜] 진용(鎭勇)ㅡ>군보(君甫)ㅡ>공약(公若)ㅡ>비(備)ㅡ>성로(星老)ㅡ>삼기(三起)ㅡ>봉우(鳳羽)ㅡ>득공(得恭)ㅡ>회(목사공파), 과(진사공파)[12] 호조참판(戶曹參判) 남민생(南敏生)의 장남, 태종때의 공신인 이숙번과는 4촌관계이다.[13] 호조참판(戶曹參判) 남민생(南敏生)의 5남[14] 단천군수(端川郡守) 남득공(南得恭)의 장남 출처[15] 여담으로 젊은시절 의령남씨 직제학공파의 파조인 남간(南簡) 등과 함께 동주계를 만들었다. 동주계는 태종 16년(1416년) 함께 과거를 준비한 11명의 성균관 유생들이 서울에서 영남으로 내려오면서 서로 우의와 선비 정신을 갈고 닦기 위한 모임이었다.[16] 단천군수(端川郡守) 남득공(南得恭)의 차남[17] 동네 이름 자체가 남씨가 많다고 하여 남촌이다[18] 남유진 전 구미시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19] 독립유공자 남준이,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 남재철 전 기상청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20] 독립유공자 남병세가 이 마을 출신이다.[21] 독립유공자 남자현·남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22] 독립유공자 남계병·남응하·남진두·남효직이 이 마을 출신이다.[23] 독립유공자 남만진·남호정이 이 마을 출신이다.[24] 독립유공자 남재정이 이 마을 출신이다.[25] 독립유공자 남교묵이 이 마을 출신이다.[26] 독립유공자 남병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27] 독립유공자 남태영이 이 마을 출신이다.[28] 독립유공자 남복이·남석순·남원수·남왈기·남왈성이 이 마을 출신이다.[29] 독립유공자 남지학이 이 마을 출신이다.[30] 독립유공자 남광호·남재량·남정성이 이 마을 출신이다.[31] 독립유공자 남용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32] 독립유공자 남규우·남승순이 이 마을 출신이다.[33] 독립유공자 남석광·남승철·남승하가 이 마을 출신이다.[34] 독립유공자 남상현·남석우·남정철이 이 마을 출신이다.[35] 독립유공자 남석술·남석인이 이 마을 출신이다.[36] 독립유공자 남복수·남석태가 이 마을 출신이다.[37]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3대손 희(熙) 항렬[38] 목사공파(牧使公派)-울진 문중 14대손 병(炳) 항렬[39]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4대손 철(喆) 항렬[40]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4대손 하(夏) 항렬[41] 송정공파(松亭公派)-울진 정림(井林) 문중 14대손 영(永) 항렬[42] 족보명 남준영(南俊永)[43] 수의공파(修義公派)-안동 송동(松洞) 문중 14대손 극(極) 항렬[44] 아버지 남정한(南珽漢)은 13대손 한(漢) 항렬, 오빠의 이름이 남극창(南極昌)이다.[45]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양원(陽原) 문중 14대손 재(在) 항렬[46]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4대손 철(喆) 항렬[47] 회령공파(會寧公派) 15대손 만(萬) 항렬[48] 회령공파(會寧公派) 15대손 만(萬) 항렬[49]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5대손 현(鉉) 항렬[50]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5대손 석(錫) 항렬[51]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5대손 석(錫) 항렬[52]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5대손 석(錫) 항렬[53]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5대손 석(錫) 항렬[54]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5대손 석(錫) 항렬[55]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5대손 석(錫) 항렬[56] 목사공파(牧使公派)-울진 문중 15대손 재(載) 항렬[57] 송정공파(松亭公派) 15대손 조(朝) 항렬[58] 목사공파(牧使公派)-울진 문중 16대손 호(鎬) 항렬[59] 송정공파(松亭公派) 16대손 교(敎) 항렬[60]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칠성(七星) 문중 16대손 병(柄) 항렬[61] 송정공파(松亭公派)-청송 문중 16대손 수(洙) 항렬[62] 송정공파(松亭公派)-울진 정림(井林) 문중 16대손 용(容) 항렬[63] 족보명 남용성(南容聖)[64] 중령공파(中領公派) 16대손 진(鎭) 항렬[65] 송정공파(松亭公派)-울진 정림(井林) 문중 16대손 용(容) 항렬[66] 족보명 남용준(南容俊), 이명 남용린(南容麟), 남용인(南容仁)[67] 송정공파(松亭公派)-울진 정림(井林) 문중 16대손 용(容) 항렬[68] 족보명 남용식(南容式), 이명 남용식(南容植)[69]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괴시(槐市) 문중 16대손 응(應) 항렬[70] 송정공파(松亭公派) 16대손 효(孝) 항렬[71] 부친의 성함이 남조웅이다. 朝-孝로 이어지는 문중은 영덕 영해 문중, 영해 괴시 문중, 영덕 양원 문중, 예천 하읍실(下邑室) 문중, 예천 개포(開浦) 문중 등 5개가 있으나 어디 문중 구성원인지 확실치 않다.[72]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괴시(槐市) 문중 16대손 효(孝) 항렬[73]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양원(陽原) 문중 16대손 효(孝) 항렬[74]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괴시(槐市) 문중 17대손 병(炳) 항렬[75] 회령공파(會寧公派) 17대손 순(淳) 항렬[76] 속명 남익순(南益淳)[77]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원구(元邱) 문중 17대손 진(鎭) 항렬[78] 회령공파(會寧公派) 17대손 순(淳) 항렬[79] 송정공파(松亭公派) 17대손 진(鎭) 항렬[80] 본인은 항렬자를 쓰지 않았지만, 형 이름이 남일진(南一鎭)이고 동생들의 이름이 각각 남우진(南宇鎭)·남형진(南亨鎭)이다.[81] 송정공파(松亭公派)-울진 토일(吐日) 문중 17대손 지(志) 항렬[82]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괴시(槐市) 문중 17대손 진(鎭) 항렬[83] 회령공파(會寧公派) 18대손 우(佑) 항렬[84] 수의공파(修義公派) 18대손 환(煥) 항렬[85] 본명 남동환(南東煥)[86] 현감공파(縣監公派) 18대손 용(龍) 항렬[87] 송정공파(松亭公派)-울진 정림(井林) 문중 18대손 종(鍾) 항렬[88] 만호공파(萬戶公派)-선산 문중 18대손 진(鎭) 항렬[89] 목사공파(牧使公派)-울진 문중 18대손 정(精) 항렬[90] 현감공파(縣監公派) 18대손 해(海) 항렬[91]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원구(元邱) 문중 18대손 호(浩) 항렬[92] 중령공파(中領公派) 19대손 찬(燦) 항렬[93] 중령공파(中領公派) 20대손 재(在) 항렬[94] 중령공파(中領公派) 20대손 재(在) 항렬[95] 송정공파(松亭公派)[96] 수의공파(修義公派)-안동 송동(松洞) 문중[97] 중령공파(中領公派)[98] 송정공파(松亭公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