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진라면 | 스낵면 | 열라면 | 참깨라면 | 진짬뽕 |
진짜장 | 오뚜기 스파게티 | 콕콕콕 스파게티 | 콕콕콕 라면볶이 | 콕콕콕 짜장볶이 | |
콕콕콕 치즈볶이 | 메밀비빔면 | 오뚜기 짜장면 | 오뚜기 해물짬뽕 | 오뚜기 라면사리 | |
오뚜기 카레면 | 김치라면 | 컵누들 | 오동통면 | 오뚜기 부대찌개 라면 | |
오뚜기 콩국수라면 | 리얼치즈라면 | 열떡볶이면 | 오뚜기 진짜쫄면 | 오뚜기 춘천 막국수 | |
오뚜기 쇠고기미역국 라면 | 치즈로제파스타 라면 | 가쓰오 유부우동 | 생면사리 | 죽장연 빠개장면 | |
프레스코 스파게티면 | 진비빔면 | 오!라면 | 오뚜기 짬짜면 | 오뚜기 채황라면 | |
오뚜기 북엇국라면 | 진진짜라 | GAMER'Z CUP | 짜슐랭 | 순후추라면 | |
팥칼국수 | 제주똣똣라면 | 제주담음 제주 메밀비빔면 | 오뚜기 함흥비빔면 | 마슐랭 | |
기타 PB상품 |
1. 개요
오뚜기에서 생산 중인 저칼로리 컵라면 브랜드로 2004년에 첫 출시되었다.
2. 특징
칼로리는 작은 게 120칼로리, 큰 게 210 칼로리다.[1] 컵라면이지만 양이 일반적인 양보다 적기 때문에 든든한 한 끼로는 무리가 있고 적절한 포만감을 위한 다이어트식이나, 간편한 끼니 혹은 간식으로 소비되는 편이다.칼로리 부담이 적어 야식용으로도 많이 찾는다.
종류는 매콤한 맛, 매콤찜닭 맛, 우동 맛, 계란탕 맛, 잔치쌀국수 맛, 새우탕 맛, 김치잔치국수 맛, 똠얌꿍 맛, 베트남 쌀국수(퍼) 맛, 팟타이 맛, 마라볶음 맛, 짜장 맛, 로제 맛, 마라탕 맛, 참깨라면 맛, 짬뽕 맛 등이 있다.
저칼로리 제품에 대한 편견에 비해 제품 자체의 맛은 상당한 편이다. 가장 대표적인 제품인 매운맛은 생각보다 얼큰한 맛에 편의점 도시락과 환상의 궁합을 자랑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라면이 부담될때 얼큰한 국물 + 가벼운 당면을 사용하는 제품이다 보니 컵누들의 가장 큰 판매축을 차지한다.
우동 맛의 경우 맵지 않고 국물이 순한 편인지라 꾸준히 팔리는 편이다.
팟타이는 무난한 편. 쌀국수는 면이 당면이 아니라 납작한 베트남 쌀국수 면이며, 국물이 진하고 개운한 편이라 호평을 받고 있다.[2]
로제맛은 로제 파스타가 아닌, 고추장 베이스에 크림이 섞인 맛이다. 로제 떡볶이의 당면 맛을 노리고 만든 듯.
짬뽕맛은 게맛살 건더기와 분말스프, 후첨 유성스프가 들어있는지라 같은 기업의 제품인 진짬뽕 보단 오히려 농심의 맛짬뽕과 유사하다.[3]
참고로 매콤찜닭 맛, 똠얌꿍 맛, 쌀국수 맛, 팟타이 맛, 마라볶음 맛, 로제 맛, 마라탕 맛은 액상스프를 쓴다.
다만 면이 당면이라는 점에서 은근 호불호가 갈린다. 또한 똠얌꿍 맛과 쌀국수 맛은 고수 특유의 맛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 편.[4]
마라볶음 맛, 마라탕 맛은 특유의 아린 맛을 내는 초피 때문에 진입장벽이 있는 편. 물론 마라탕을 좋아한다면 문제는 없다.
작은 컵 38g, 큰 컵 61.5g 각각 1800원, 2500원으로 용량과 열량에 비해 가격이 좀 나가는 편이지만 다른 회사의 저칼로리 컵라면, 특히 편의점에 들어오는 제품이 따로 없기 때문에 가성비를 따지기는 어렵다.[5]
마성의 광고들을 많이 만들어냈던 일본의 닛신사에서 출시한 동명의 제품인 컵누들과는 달리 광고가 많은 제품은 아니었으나, 2018년 2분기에 걸그룹 모모랜드를 광고 모델로 기용하면서 적극적으로 홍보하였다. 30초 버전 20초 버전 15초 버전 메이킹 필름
3. 그 외
- 남은 국물에 계란을 넣고 전자레인지에 돌려 먹는 컵누들 계란찜이 일부 누리꾼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다. 매콤하고 짭짤해서 나름 맛있다고 한다. 다만 이는 다른 컵라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레시피다. 저칼로리 컵라면 특성상 다이어트 식단에 자주 활용된다는 점이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 단, 2024년 말 생산분[6] 까지는 전자레인지 조리 불가 용기이므로 화재 등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만약 2024년 말에 생산된 제품이라면 다른 그릇에 옮겨 조리하는게 좋다.
- 매콤찜닭 맛은 이름답게 닭가슴살을 찢어 함께 비벼 먹는 조합이 인기를 끌었다.
- 컵누들 마라탕 맛으로 마라샹궈를 만드는 레시피가 유행하고 있다. 컵누들로 만들어서 열량이 적지만 맛은 마라샹궈랑 근접한 맛이다.[7]
[1] 간단하게 얘기하면 일반적으로 먹는 신라면이 500칼로리다. 매콤찜닭맛이 150칼로리이니 이거 3개를 먹어도 라면 열량에 못 미친다는 의미다.[2] 이를 반영한 것인지 일반적인 매장에서는 매콤한 맛, 우동 맛, 쌀국수 맛을 주로 판매한다.[3] 진짬뽕의 경우, 액상스프를 사용하는데 맛짬뽕은 분말스프를 사용했다.[4] 특히 똠얌꿍맛은 똠양꿍 자체가 한국인 입맛에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만큼 혹평이 많은 편이다.[5] 다만, 농심그룹에서 미투 상품으로 녹두국수 봄비를 판매한 바 있으나 이미 단종되었다. 이후 2022년 하반기에 '누들핏'으로 시장 재진입을 시도하고 있긴 하다.[6] 2025년 생산분부터는 컵의 재질이 변경되어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해졌다. 친절하게 조리법 링크 QR코드까지 인쇄돼 있다.[7] 애당초 마라탕과 마라샹궈는 재료가 유사한 편인지라 재료를 삶다가 국물째로 향신료를 넣고 볶으면 마라탕, 물을 버리고 향신료와 기름을 넣고 볶으면 마라샹궈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