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00:08:47

오십원화

<colbgcolor=#808080,#7f7f7f> 대한민국 주화
액면가 1원 5원 10원 50원 100원 500원
도안 무궁화 거북선 다보탑 벼 이삭 이순신
파일:attachment/coin_his04.gif
권종 <colbgcolor=#FFF,#222>(가) 오십원화 최초 발행 <colbgcolor=#FFF,#222>1972. 12. 1. 소재 <colbgcolor=#FFF,#222>구리(70%), 아연(18%), 니켈(12%) 도안 <colbgcolor=#FFF,#222>벼 이삭(앞면), 액면(뒷면)
지름 21.60mm 무게 4.16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 중지 1982년 추정
파일:₩50.gif
권종 (나) 오십원화 최초 발행 1983. 1. 15. 소재 구리(70%), 아연(18%), 니켈(12%) 도안 벼 이삭(앞면), 액면(뒷면)
지름 21.60mm 무게 4.16g 발행처 한국조폐공사 발행 중지 -

1. 개요2. 기타3. 50원 주화 발행량

1. 개요

대한민국 원에 포함된 동전 중 하나로, 양은 재질이다. 실생활에서 100원이나 500원 다음으로 많이 보이기는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는 존재감이 거의 사라져 가는 것을 느낄 수 있는 동전.(심지어 10원보다도!) 대중교통 이용시에도 전반적인 물가인상으로 100원 단위 요금체계가 흔히 쓰여서 구간요금 등을 50원 단위로 칼같이 받지 않는 이상 잘 쓰이지 않는다.

교통카드 이용 비중이 높아지고 환승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교통카드가 필수라서 선불형 교통카드의 잔액이 갑자기 모자라거나 하지 않는 이상 현금승차 자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흔히 쓰이지는 않는다. 교통카드 이용률이 떨어지는 지방 소도시나 농어촌 혹은 전북 부안 등의 사례처럼 버스 파업으로 인해 임시로 운행한 관광버스의 요금이 하필 50원 단위인데 임시 버스라 교통카드 이용도 불가능할 때 일시적으로 50원짜리가 많이 굴러다니기도 한다.

또한 대학 복사실이나 도서관에서 한 장 인쇄 및 복사비용이 보통 50원이다. 한 때의 천냥김밥처럼 물가인상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 편인데, 아무래도 10원 단위로 올리면 계산하기도 복잡하고 갑자기 2배인 100원으로 올리기도 좀 그래서 그런듯 싶다. 실제로 모 대학교는 도서관 등에서 쓰이는 인건비도 안 드는 자동출력시스템의 인쇄비가 50원에서 60원으로 인상된지 5년이 넘었지만 직원이 손수 출력물 갖다주고 돈 받아야하는 복사실의 출력요금은 아직 50원이다. 하지만 교문 밖이나 대학로를 나가는 순간 출력비가 100원이 되는 마법(?)을 경험할 수 있다.

또 휴대폰이 대중화되기 전에 공중전화 요금이 3~40원 할 때는 이 50원 짜리를 가지고 다니다가 통화를 하곤 하였다.

그리고 1980년대에는 아이스바 가격이 대부분 50원이라 이 동전만 있으면 아이스바 하나는 사 먹을 수 있었다. 그 시기에 과자도 50원짜리가 일부 있었다.

1983년 버전 기준 구리 70%, 아연 18%, 니켈 12%의 양백(양은)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도안은 이삭[1], 지름은 21.60mm, 무게는 4.16g. 일본 5엔짜리 동전하고는 벼 이삭으로 도안이 같다. 이는 1968년 식량농업기구(FAO)에서 식량작물을 소재로 한 동전을 발행할 것을 각국에 권고하여 이에 따른 것일뿐 일본 동전을 표절한 것은 아니라는 의견이 있다.[2] 아마도 대부분 국가들이 식량작물 소재 동전을 단년도로만 발행한데 비해 한국은 현재까지도 벼 이삭도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말이 돌은 듯. 50원 주화 이상의 주화에는 옆면에 홈이 패여있다.

참고로, 크기가 구 십원 주화보다 작다. 원래대로라면 십원 주화보다 크게 만들고 백원 주화보다 작게 만들어야 하나, 오십원 주화보다 첫 발행이 앞선 백원 주화가 십원 주화보다 아주 조금만 크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십원 주화와 백원 주화의 중간 크기로 만들면 백원 주화와 색깔 뿐만 아니라 크기까지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워진다는 이유로 어쩔 수 없이 십원 주화보다 작게 만들었다고 한다. 단 2006년부터 통용되고 있는 십원 주화는 오십원 주화보다 더 작아졌다.

또 다른 이유로는 일원, 오원, 십원 주화는 저액주화(민면형 테두리)로, 오십원, 백원, 오백원 주화는 고액주화(톱니형 테두리)로 이원화되어있기에 십원 주화와 오십원 주화의 크기를 연속으로 만들 이유가 없어, 그 결과 오십원이 더 작게 만들어졌다고 한다. 또한 50원의 톱니바퀴는 109개라고 한다.

2. 기타

1980~1989년에는 오락실 오락 1회 요금의 동전으로 많이 사용되었다.[3][4]

미국 달러 니켈(5센트) 동전과 유로 5센트의 크기가 50원과 비슷해서[5] 시중에서 섞여다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잔돈으로 5센트를 받거나 은행에서 포장한 50원짜리 롤에도 섞여들어가서 잊을만하면 심심찮게 마주하기도 한다. 다만, 이쪽은 액면가가 별 차이가 없어서 큰 이슈거리는 되지 않는 듯하다. 한마디로 500엔의 경우처럼 차익을 노리는 짓거리를 생각한다면, 환전수수료까지 고려하면 굳이 그 짓을 한다는 것 자체가 손해다.

50원짜리 동전이 귀한 연도는 최초발행년도인 1972년과 발행량이 최저인 1977년, 2014년으로 각각 6,000,000개와 1,000,000개다. 그리고 1985년과 1993년, 2018년, 2021년 50원 주화도 발행량이 각각 4,000,000개와 5,000,000개, 6,000,000개, 8,000,000개로 귀한 연도에 해당한다. 준특년 주화는 10,000,000개 발행된 1980년과 2013년, 2020년, 15,000,000개 발행된 1978년과 1999년이지만 오십원 발행량이 전체적으로 적은 편이라 거의 액면이라고 보면 된다.

특이하게도 1981년에 발행한 5, 10, 100원 주화가 각 100,000개인데 비하여[6], 1981년 50원 주화는 25,000,000개로 상당히 많이 발행되었는데, 1981년초부터 서울 시내 중심가를 제외하고는 전자오락실의 1회 전자오락 요금이 100원에서 50원으로 인하된 영향을 받은 이유도 있다고 하는데, 상당히 많은 수량의 1981년 발행 50원주화가 전자오락실에서 사용이 되었다.

1999년부터 주화 50개씩 묶어서 한국은행 롤 종이에 포장이 되어 롤로 출시되고 있는데, 1999~2001년 롤은 10만원 이상, 2014년 롤은 40만원이 넘는 위엄을 자랑한다.

원래 일본의 50엔 주화처럼 구멍을 뚫어서 발행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이러면 구분도 쉽고 원재료 절감 효과도 있지만, 당시 조폐공사의 기술력이 부족해서 실현되진 못했다.

1998년에 생산된 50원에서 180도 회전에러가 존재한다. #

회전에러동전은 상하로 뒤집으면 그림면이 정방향일 때 숫자면은 역방향으로 180도 뒤집혀져있다. 참고로 희귀동전보다 구하기 힘들다. 원래 이렇게 잘못 발행된 에러 화폐의 경우 정상적으로 만들어진 같은 권종의 화폐보다 비싼데 단 1개만 발행된 경우는 말 그대로 로또나 다름없다. 2개 이상일 경우 다른 권종보다 살짝 비쌀 뿐 저렇게 확 뛰지 않는다.

3. 50원 주화 발행량

화폐세트 전용 주화는 볼드처리.
1972년 6,000,000
1973년 40,000,000
1974년 25,000,000
1975년 미발행
1976년 미발행
1977년 1,000,000
1978년 15,000,000
1979년 20,000,000
1980년 10,000,000
1981년 25,000,000
1982년 40,000,000
1983년 50,000,000
1984년 40,000,000
1985년 4,000,000
1986년 미발행
1987년 32,000,000
1988년 53,000,000
1989년 70,000,000
1990년 85,000,000
1991년 80,000,000
1992년 50,000,000
1993년 5,000,000
1994년 102,000,000
1995년 98,000,000
1996년 52,000,000
1997년 129,000,000
1998년 28,008,000
1999년 15,000,000
2000년 86,000,000
2001년 102,000,000
2002년 100,000,000
2003년 179,000,000
2004년 100,000,000
2005년 90,000,000
2006년 120,000,000
2007년 50,000,000
2008년 30,000,000
2009년 20,000,000
2010년 50,000,000
2011년 30,000,000
2012년 20,000,000
2013년 10,000,000
2014년 1,000,000
2015년 40,000,000
2016년 42,000,000
2017년 23,000,000
2018년 6,000,000
2019년 20,000,000
2020년 10,000,000
2021년 8,000,000
2022년 900,000
2023년 210,020
2024년 160,000

[1] 브레인 서바이버 021117 방송분에서 이 도안을 보리로 잘못 소개한 사례가 있다.관련 기사[2] 그러나 일본 5엔이 훨씬 먼저 나왔고 디자인 관점에서 보면 벼 도안은 표절이 맞다. 물론 당시에는 저작권 개념은 없을 때였지만. 우연히 비슷한 디자인이 되었다고 보기에는 너무 비슷하며, 디자인 할 때엔 가까운 나라 동전도 조사하고 그 디자인은 피해야 하는 것이 정상이다. 그런데 1원, 100원 동전도 1엔, 100엔 짜리와 재질과 디자인이 비슷하다. 당시는 자국민 해외 여행도 금지이고 일본 문물은 들어오지 못할 때라서 그렇게 한 듯.[3] 지금은 찾아볼 수 없지만 100원 동전을 넣으면 50원 동전 2개로 교환해주는 동전교환기도 존재했을 정도.[4] 1세대 프로게이머였던 신주영은 어렸을 적에 오락실에서 50원 하나 가지고 장시간 게임하다가 오락실 업주에게 한소리 듣고 강퇴당하기도 했다는 얘기가 있다.[5] 약 0.4mm 정도 차이가 나는데, 미국 5센트 쪽이 작다. 다만 두께는 미국 5센트 쪽이 눈에 보일 정도로 두꺼운 편.[6] 1원의 발행량도 20,000,000개라서 나름 준수한 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