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9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wiki style="color:#093;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colbgcolor=#00aad9> 이서 | ||
삼례 | |||
상관 | |||
소양 | |||
구이 |
전주시의 버스 노선은 틀:전주시 시내버스 참고. |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에 관해 설명한 문서이다.2. 소개
완주군은 자체 간선 노선이 없다. 하나의 중심지가 있는게 아닌 전주를 둘러싸는 형태인 완주군의 행정구역 특성상 9만 인구에도 생활권이 봉동, 삼례, 이서, 고산 등 여러 군데로 쪼개져 있고, 이러한 행정구역 특성으로 인해 전주시와 인접해있는 읍면은 생활권이 전주에 완전히 종속돼있기 때문에 군내에서만 운행하는 간선 노선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간선 노선은 전적으로 전주시 시내버스에 의존하고 있다.[1][2]심지어 과거에는 완주군의 벽지마을 구석구석을 전주시 일반 시내버스가 일일이 연계하거나[3], 전주시내를 관통한 후 완주군에 진입하여 여러 읍면을 거치는[4]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그러다가 2017년 전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완주군 위주로, 혹은 완주군 관내에서만 운행하는 지선노선이 개통되었으나 이 역시 모두 전주시 면허로 운영했었고, 2021년 6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이 되어서야 완주군 자체 직영 마을버스가 개통되기 시작했다.
2024년 7월 기준 대부분의 완주군 관내 버스들이 자체 직영 마을버스로 변경되었으며, 2024년 말까지 미완료된 노선들을 분리할 방침이다.[5]
3. 요금
※ 2021년 7월 1일 기준 | ||||||
구분 | 일반 | 청소년 | 초등학생 | |||
카드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현금 | |
전주버스 / 완주 고산이북 마을버스 300번 | 1,450 | 1,500 | 1,150 | 1,200 | 700 | 750 |
완주군 마을버스 / 전주시 마을버스 | 500[6] |
- 전주시 버스 요금과 동일하다. 환승 할인은 전주시와 완주군에서 교통카드로 버스요금을 결제하고 내릴 때 동일 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그하면, 40분 이내에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 마을버스→시내버스→시내버스, 혹은 그 반대로 2회 환승 가능하며,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환승 시 차액 950원이 부과된다. 또한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환승시에는 하차태그 후 90분 이내에 환승이 적용된다. 이는 전주시 마을버스도 마찬가지다.
4. 전주시 운행(면허) 노선
전주 - 타 시 · 군 간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colcolor=#00a63d> 완주군 | 삼례 상관, 관촌, 소양, 구이 이서 | |||
익산시 | |||||
김제시 | |||||
임실군 | |||||
진안군 | |||||
혁신: 혁신도시 지역만 경유 |
4.1. 간선버스
- 전주시 시내버스 50번대[7], 165, 200, 220-1, 220-2, 300번대[8], 401, 402, 403, 500번대[9], 752, 810, 820, 970, 1001,1002번 버스가 완주군을 지난다. 이 중 50, 500번대가 완주군 마을버스로 변경될 예정이다.
4.2. 전주 버스 300(전주순환) / 고산 이북
전주 버스 300(전주순환)[참고]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운행회사 |
300 | 고산터미널 | 어우리/남봉[11]ㆍ봉동/용진원주아파트ㆍ용진ㆍ전주동중ㆍ모래내시장ㆍ금암광장•전주역•용진•봉동/남봉 | 고산터미널 | 1일 2회 | 시민여객 |
5. 완주군 직영
5.1. 마을버스
완주군 마을버스 부름부릉 | |||
번호 | 기점 | 환승거점 | 종점 |
이서20 | 원마다리, 산정리 | 이서 (이서농협 앞) | 이서회차지 |
이서21 | 모산, 용지[12] | 이서회차지 | |
이서22[13] | 원동마을 | 이서회차지 | |
이서23[14]] | 대농 | 이서회차지 | |
이서24 | 구암마을 | 이서회차지 | |
이서25 | 대문안, 신정[15] | 이서회차지 | |
이서26 | 앵곡(콩쥐팥쥐마을) | 이서회차지 | |
이서27 | 이서회차지 | 삼례역 | |
소양50 | 소양 | 소양 (소양농협 앞) | 봉동주공 |
상관70 | 민목리 | 상관주민센터 | 상관 |
상관77 | 정수리 | 상관 | |
소양82 | 상망표 | 소양 (소양농협 앞) | 앞멀 |
소양83 | 거인 | 소양행정복지센터.상리 | |
소양84 | 인덕 | 일임 | |
소양85 | 용문사 | 응암 | |
소양86 | 월상 | 분토 | |
소양87 | 다리목 | 약암 | |
구이90 | 원안석.탑선 | 구이중 | 도립미술관 |
구이91 | 하운암.원백여 | 도립미술관 | |
구이92 | 하운암.대모 | 도립미술관 |
- 1단계 (2021년 6월) : 이서[16], 소양, 용진[17]
- 2단계 (2022년 2월) : 구이[18], 소양[19], 상관[20], 삼례[21]
- 3-1단계 (2024년 2월) : 삼례[22]
- 3-2단계 (2025년 상반기 예정) : 봉동[23], 용진[24]
6. 특징
- 전주 시내버스에서 분리되어 완주군에서 운영하는 버스지만, 전주시내버스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을 그대로 가져온 면이 많다. 불친절한 기사들이 많고, 시간표도 제대로 지키지 않아 결행이 상습적으로 일어난다.[25][26]
7.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인천광역시1 |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
경기도1 |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 |
강원특별자치도 |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 |
충청남도 |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 |
전북특별자치도 | 완주군4 | |
전라남도 |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 |
경상북도 | 예천군8, 의성군, 칠곡군9 | |
경상남도 |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 |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9: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추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시행 예정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1] 이로 인해, 간선노선들이 완주군 외곽까지 가게 되어서 전주시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을 늘리는데 큰 역할을 했다.[2] 여기서 말하는 간선 노선은 전주 버스 지간선제 시행 이후 개설된 4자릿수 간선 노선이 아닌, 50번대, 500번대 등 일반 시내버스 노선들을 뜻한다.[3] 2017년 개편 이전 100번대(시내노선), 400번대(조촌동)를 제외한 대부분 세자릿수 노선[4] 전주 버스 305, 전주 버스 551 등[5] 이로써 완주군 버스는 완주군, 혹은 전주시가 운영하는 전주시로 향하는 일부 간선 노선과 완주군이 운영하는 마을 지선 형태로 개편되게 된다.[6] 간선노선으로 환승 시 950원 부과[7] 54, 55, 56, 57, 58[8] 309, 337, 350, 354, 355, 383, 385, 386[9] 508, 511, 513, 514, 515, 520, 521, 522, 535, 536, 541, 542, 543, 545, 546, 554, 559[참고] 완주군 지역을 운행하나 엄연히 전주시장이 인가를 가진 노선이다.[11] 아침 07:20 차량만 경유[12] 하루 2번 연장운행[13] 하루 3번 23번 노선으로 운행한다.[14] 하루 3번 22번 노선으로 운행한다[15] 하루 4번[16] 전주 이서지선 20번대 대체[17] 소양50번 개통[18] 전주 900번대(970번 제외) 대체[19] 전주 800번대 대체, 동시에 전주 810번 및 820번 신설[20] 전주 725, 785번 대체[21] 이서27번 개통, 전주 73번 대체[22] 전주 삼례지선 30번대 대체[23] 전주 500번대 대체[24] 전주 50번대 대체[25] 가장 큰 이유는 근무환경이 전주시내버스가 운행하던 시절보다 오히려 열악해졌기 때문이다.[26] 완주군으로 이관되면서 삼봉지구 추가경유, 삼례역/지암마을 연장 등으로 운행시간이 늘어났는데도 운행횟수는 기존과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