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강릉시 | 고성군 | 동해시 | 삼척시 | 속초시 |
양구군 | 양양군 | 영월군 | 원주시 | 인제군 | |
정선군 | 철원군 | 춘천시 | 태백시 | 평창군 | |
화천군 | 홍천군 | 횡성군 | 운수 업체 목록 |
{{{#!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0e499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e3471><colcolor=#fff> 농어촌버스 | ||
영월읍 | |||
김삿갓면 산솔면 | |||
신동읍 | |||
한반도면 | |||
주천면 | |||
북면 | |||
행복버스 | |||
동부권 | |||
서부권 |
| |
농어촌버스 차량. | 행복버스 차량. |
1. 개요
영월군 농어촌버스 노선들에 대해 다루는 문서.2. 노선 목록
출발지에 관계엾이 영월로 돌아올 때는 영월행으로 LED를 설정한다.
2.1. 영월읍
2.2. 김삿갓면
2.3. 산솔면
2.4. 신동읍
2.5. 한반도면
2.6. 주천면
2.7. 북면
2.8. 행복버스
3. 역사
- 2011년 10월 15일에 문산 노선과 평창 노선의 운임이 변경되었다. 영월군 공지사항
- 2012년 7월 1일에 교통카드제가 도입되었다. 영월군 공지사항
- 2012년 7월 9일부터 일부 노선들이 영월터미널 안에 정차하게 되었다. 영월 서부지역(문곡, 마차, 한반도, 쌍용, 주천, 법흥, 조전, 광천) 방향은 그대로 터미널사거리에만 정차한다. 영월군 공지사항
- 2012년 12월 17일에 번호제가 시범 도입되었다가, 2013년 1월 1일에 번호제가 정식으로 시행되었다. 영월군 공지사항
- 2018년 11월 5일에 모든 노선의 요금이 인상되었다. 영월군 공지사항
- 2019년 7월 1일에 중동면/상동읍/주천면 일부 지선들이 영월군 행복버스로 전환되고, 관내 구간의 단일요금제가 시행되었다. 2019년 7월 1일 개편 이전 내용은 이 문서의 13번째 리비전을 참조.
- 2019년 8월 19일에 일부 시간표가 변동되었다. 2019년 7월 1일~8월 18일 사이의 시간표는 이 문서의 27번째 리비전을 참조.
4. 연계 철도역
노선에 따라 연계되는 철도역이 다르니 주의.5.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
|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 |
|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 |
|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 |
| 완주군4 | |
|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 |
|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청도군8, 칠곡군8 | |
|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 |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저상버스 미보유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강원특별자치도 | 동해시,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철원군 |
충청남도 | 금산군, 청양군, 태안군 | |
충청북도 | 괴산군, 단양군, 증평군 | |
전북특별자치도 | 남원시,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 |
전라남도 | 강진군, 고흥군, 구례군, 담양군, 신안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 |
경상북도 |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칠곡군 | |
경상남도 | 고성군, 의령군 |
| ||
<colbgcolor=#0e4997> 철도 | 태백선 | 쌍룡역, 영월역 |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31번 국도, 38번 국도, 59번 국도 | |
지방도 | 28번 지방도, 82번 지방도, 88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영월군 농어촌버스(영월군 행복버스), 영월버스터미널, 상동시외버스터미널, 주천버스정류장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