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9240><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9240><colcolor=#fff> 읍내-도곡 | |||
읍내 방면 | ||||
서남부 7면 | ||||
동북부 5면 | ||||
진월동 경유 | ||||
심야 | ||||
취소선: 폐지된 노선 |
화순군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요금4. 운행 노선 및 노선 설명
4.1. 읍내 경유 도곡(200번 계열)4.2. 화순군 동부, 북부 방면(217번 계열)4.3. 화순군 서부, 남부 방면(218번 계열)4.4. 읍내 방면, 읍내순환
5. 둘러보기4.4.1. 200-1번(덕흥동 ↔ 만인리)4.4.2. 215번(화순터미널 ↔ 구.이서중)4.4.3. 215-1번(덕흥동/화순터미널 ↔ 하서마을)4.4.4. 216번(덕흥동 ↔ 미곡리)4.4.5. 216-1번(화순터미널 ↔ 미곡리)4.4.6. 220번(화순전남대병원 ↔ 주도리)4.4.7. 1111번(심야버스. 덕흥동 → 대리사거리)
4.5. 진월동 경유(318번 계열)4.6. 기타 노선4.6.1. 학생수송버스 (군내버스터미널 → 제일중)
4.7. 장날 노선4.8. 화순 콜버스1. 개요
화순군 농어촌버스의 전체 노선도. 현재는 다소 맞지 않은 부분이 있다. |
2. 역사
- 화순군 농어촌버스의 시작은 화순교통의 설립부터 시작한다. 화순교통의 설립 당시 사명은 송광교통이었으며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 광주시였던 시절에는 전남 면허로 운행했다. 광주시 시내버스 중 117번과 118번을 광주시 시내버스 업체와 공동배차로 운행했다.
- 이외에 시외버스 면허도 있었는데 이 차량들이 광주와 화순을 잇는 차량들이었다.
- 그러다가 1986년에 광주시가 광주직할시로 승격되고, 화순군에 농어촌버스 인가가 나자 전남(광주)면허를 철수하고 1987년 화순 면허로 등록해 화순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하게 된다. 이때 사평 방향을 217번, 능주 방향을 218번으로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 대인동에 광주터미널이 있을 적에 화순교통이 대인동까지 갔는데, 1992년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 생기면서 광천동까지 연장되었고, 종점 역시 유덕동의 버들마을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차고지가 있는 덕흥동으로 연장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 1992년에 시외사업부를 광우교통에 매각하고 이때 사명을 '화순교통'으로 변경했다.
- 2006년에 218번의 일부 편성을 '화순정류장 - 화순군청 - 만연교 - 금호아파트 - 부영3차아파트 - 부영2차아파트 - 미륭아파트 - 농협혼수센터 - 시외버스터미널 - 화순중' 경유로 돌리고 218-1번으로 지정했다.
- 2014년 4월 8일, 모든 차량들에 전면 LED 전광판이 설치되었고(측면 아크릴 행선판은 유지), 읍내 주요 정류장에는 BIS 전광판이 설치되었다. LED의 경우, 화순으로 갈 때는 기점이 '덕흥동'이라고 되어 있지만, 광주 방면으로 갈 때는 종점이 '광주'로 되어 있다. 덕흥동이 어딘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조치인 듯.
- 2014년 4월 26일, 화순군이 버스정보시스템 장치를 시험 가동하기 시작하였다.
- 2014년 7월 1일에 광주-화순 간 광역버스정보시스템이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 2014년 11월, 218번 및 218-1번의 아크릴 행선판이 변경되었다. 218-1번은 표기상 종점이 이양으로 바뀌었고, 218번은 하니움센터(하니움문화스포츠센터)가 경유지로 추가되었으며, 200-1번의 종점이 만인리로 연장됨에 따라 행선판이 바뀌었다. 그리고 216번의 행선판과 심야버스의 행선판이 새로 만들어졌었다. 다만, 기존 순환노선은 만들어지지 않았고, 217번, 217-1번, 200번의 행선판은 그대로다.
- 2015년 추석 전후로 뒷유리에 노선번호를 부착하기 시작했다. 덧붙여 안내방송의 목소리도 약간 올라갔다.
- 2016년 3월 26일부터 5월까지 화순군내버스정류장이 내부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가 4월 21일에 공사를 완료했다. 이전보다는 더 깨끗해졌다.
- 2016년 5월 27일에 217번 용암행 노선이 사평까지 단축되었다.
- 2016년 6월 1일에 일부 노선이 감회되었다 .318번은 3회 감회, 200번은 2회 감회, 217번 동산행은 1회가 감회되었다.
- 2016년 8월 1일에 요금이 광주시 시내버스와 동일하게 1,250원으로 올랐다.[3] 이로 인해 광주에서 화순까지 1,450원(교통카드 기준, 현금은 1,600원)을 받게 되었다. 단, 화순읍내에서는 여전히 1,100원을 받았었다.
- 2016년 12월 전라남도 시내, 농어촌버스 요금 인상에 따라 화순군내 기본 요금이 1,300원으로 올랐다.
- 2017년 2월 25일,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의 영향으로 주도리에서 화순전대병원까지 가는 220번을 신설했다.
- 2017년 8월 15일, 218번 계열 노선들의 '화순시장→보건소→한전→제일중' 구간이 '화순시장→화순중→제일중'으로 변경되었다.[4]
- 2018년 2월 8일 이후로 버스 안에 정류장 안내 LED 전광판을 부착해 운용 중이다.
- 2019년 3월 경에 전 버스가 한 대만 달았던 후면 LED 전광판을 장착했다. 순천시 시내버스가 사용하고 있는 방식과 비슷하며, 일부 차량은 '화순교통'이라는 문구만 띄우거나 꺼 놓고 다닌다.
- 2019년 7월 29일부터 북면으로 가는 노선들 중 일부 시간대에 수리, 노치를 경유하게 되었다. 이는 동광고속이 2019년 7월부터 '광주-옥과-수리-노치' 노선을 '광주-옥과'로 단축하고 나서 지역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이다.
- 2019년 7월에 농어촌버스를 지간선제로 대대적인 개편을 진행함과 동시에 요금을 1000원으로 단일화를 할 예정이지만 몇 개월 동안 소식조차 없다가 2019년 10월 1일부터 개편이 이루어진다. 현재 알려진 개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 광주와 능주, 광주와 구암을 간선으로 하고 능주와 구암을 중심으로 해서 나머지 지역으로 가는 지선으로 변경.
- 지간선제 실시[5]
- 200번은 기존 종점인 광주에서 개편 후 화순 출발로 바뀌지만[6] 환승에 지장은 없고, 본래 종점은 천암과 신덕이었으나 개편 후에는 종점이 천암으로 변경.[7][8]
- 200번 신덕행은 218번 능주-신덕행이 대신 운행
- 318번, 318-1번은 현행 유지(318-1 중장터행이 운주사행으로 변경되고 하루 2번 운행)
- 216번과 216-1번 모두 화순발 미곡(혹은 죽청) 경유 도곡행으로 변경[9]
- 215-1번의 막차 종점을 화순으로 변경
- 200-1번의 노선 변경, 만인발 광주행은 '만인발 화순행이라고 표기되어있지만 시간표 상에는 종점이 남광주시장이라고 되어있다. 광주발 만인행은 번호를 217번으로 달고 운행.
- 220번 전체 운행 중 1회는 앵남 경유.
- 구암에서 화순온천 경유, 북면 행 지선 노선 1회 운행.[10]
- 광주-구암, 광주-능주 간선 운행 시간표도 나왔다.
- 하지만 2019년 10월 17일부터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지간선제를 폐지하고 다시 원상태로 복구하였다. 다만 10월 개편에 나왔던 일부 노선들은 운행에 들어갔다.
- 2020년 10월 1일부터 요금인상과 동시에 화순관내에서는 1000원으로 단일화가 되었다. 정확히는 '광주-화순' 구간만 1500원이 되었으며, 화순 관내 한정으로 1000원으로 단일화가 된다. 이 외에도 30분 이내에 다른 관내 노선 이용시에는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 2020년 10월 초부터 안내방송에 변화가 있었는데, 이전에 명칭이 서로 다르게 나왔던 모든 정류장 명칭을 통일했고, 화순군 안에서도 다음 정류장 안내가 나오기 시작했다.[11] 하지만 이번에는 안내방송과 차내 LED 전광판에 표기되는 정류장 이름이 다른 경우가 일부 정류장에서 발생했으며[12]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은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안내방송과 다르게 '광천터미널'로 안내한다.
- 2024년 5월부터 일부 차량에 농어촌버스 와이파이 시범사업을 실시해 2023년 11월에 들여온 스마트 110에 부착했으며, 7월 31일까지 진행한 시범사업이 끝나자마자 8월부터 모든 버스에 와이파이를 부착해 운행하고 있다.
3. 요금
2020년 10월 1일 이후로 시행되고 있는 운임은 다음과 같다.종류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군내(현금) | 1,000원 | 800원 | 500원 |
군내(교통카드) | 900원 | 700원 | 400원 |
시계외(현금) | 1,500원 | 1,200원 | 750원 |
시계외(교통카드) | 1,400원 | 1,150원 | 700원 |
* 시계외 요금은 기본요금이며 1Km당 131.82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 단, 승차지와 목적지 모두 광주광역시일 경우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 동일한 요금을 받는다. 광주광역시를 운행하는 구간 또한 긴 편[13]이라 광주시민들도 자주 이용한다.
- 승차시 광주, 화순에 상관 없이 목적지를 말하고 하차시에는 반드시 교통카드를 태그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탑승할 때 100원의 추가요금이 부과된다.[14]
- 번외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인 228번, 지원152번, 진월177번를 화순군 관내에서만 이용할 경우 화순군 농어촌버스의 요금제가 아닌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기본요금이 적용된다.
●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 선불교통카드 : 한페이, 마이비, 티머니, 캐시비, 하나로카드[15].
- 후불교통카드 : KB국민카드, 광주은행, 롯데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 우리은행, 현대카드, BC카드, 삼성카드.
4. 운행 노선 및 노선 설명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번호만 보지 말고 그 아래 행선판이나 LED에 적힌 행선지를 꼭 보고 타자. 같은 번호지만 행선지가 천차만별이기 때문. LED 전광판이 없었던 과거에는 더 심했는데, 위에 아크릴 행선판이 대신 있었지만 여기에는 모든 행선지를 다 쓸 수 없다보니 중간 경유지인 '사평'이나 '능주'까지만 써져 있었기 때문. 이 때는, 아래 여러 행선판들 중 맨 구석에 와이퍼에 가려서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 행선지를 보고 타야 했다.217번이나 218번 같은 번호들은 모두 광주광역시 시내버스가 개편되기 전에 있던 117번, 118번에서 따온 것이다.[16] 또한, 화순교통 버스의 광주 시내 구간은 318번을 제외하고 모두 덕흥동차고지 ~ 유스퀘어 ~ 백운교차로 ~ 남광주역 ~ 너릿재터널 구간이다. 나름대로 광주 시민의 발.
화순교통이 광주 시민뿐만 아니라 화순군민들의 교통을 책임지는 회사지만, 배차간격이 짧은 건 광주광역시 ~ 화순공공도서관 구간만이다. 농어촌버스라는 걸 기억해두자. 그리고 위에서도 말했지만 번호가 같아도 최종 행선지가 제각기[17]이기 때문에 꼭 행선지를 확인하고 타자.
그리고 화순군 버스정보홈페이지에 있는 버스노선 정보를 무조건 믿지는 말아야 한다. 화순군내버스정류장에 있는 운행표와 약간 다르기 때문에 버스정보 홈페이지에 기재되어있는 노선만 믿다간 낭패를 볼 수도 있으니 되도록이면 화순군내버스정류장에 있는 운행표를 보는 것이 낫다.
또한 그냥 편의상 방면별로 번호를 나눠놓은 게 아니라, 화순읍내에서도 노선이 많이 차이가 나는데, 화순정류장(군내버스터미널)을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 200번 : '화순정류장 - 군청 - 신기리 - 부영6차아파트 - 금호아파트 - 부영2차아파트 - 화순터미널(화순시외버스공용정류장) - 화순중 - 화순제일중 - 오성초교 - 화순역'
- 217번, 217-1번 : '화순정류장 - 자치샘사거리 - 화순우체국 - 부영2차 - 제일초교 - 화순전남대병원'
- 218번 : '화순정류장 - 화순시장 - 한국아파트 - 화순제일중 - 공설운동장'
- 218-1번 : '화순정류장 - 군청 - 만연교 - 금호아파트 - 부영2차 - 화순터미널 - 화순중 - 화순제일중 - 이후 218번과 동일'
간단히 말해서, 면 단위 말고 광주에서 화순읍내 갈 때도 무작정 잡아타면 안 된다는 소리. 특히 218번은 218-1번을 제외하고 광덕지구를 가지 않으므로, 광덕지구나 화순전대병원을 가야 되는 사람은 피할 것. 잘못하면 이용대체육관 같은 엉뚱한 곳에 있게 될 것이다.
4.1. 읍내 경유 도곡(200번 계열)
화순읍과 도곡온천일대 지역을 지나가는 노선이다. 화순읍내에서 교육청, 공간아파트, 신기리, 전남기술과학고, 부영6차아파트를 경유하며, 진월동을 지나가는 318번 계열 노선을 제외하면 노선 수가 적은 노선이다.화순 버스 200 문서를 참조.
4.2. 화순군 동부, 북부 방면(217번 계열)
동면, 사평면, 동복면, 백아면, 이서면, 한천영외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들이다. 광주에서 무려 순천시 주암면 까지 간다.이 일대는 주로 217번 계열의 노선들이 지나나며, 217번과 217-1번은 구암삼거리에서 헤어진다.
217번은 동복면, 백아면, 사평면, 한천영외 지역을, 217-1번은 동복면, 동면, 이서면을 담당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화순 버스 217 문서와 화순 버스 217-1 문서를 참조.
4.3. 화순군 서부, 남부 방면(218번 계열)
춘양면, 한천영내,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이양면, 청풍면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들이다.주로 화순읍에서 출발하는 노선들과 218번 계열 노선들이 지나간다.
218번은 춘양, 한천영내, 능주, 도곡, 도암 지역을, 218-1번은 이양, 청풍 지역을, 218-2번은 능주 각 지역을 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화순 버스 218, 화순 버스 218-1, 화순 버스 218-2 문서를 참조.
4.4. 읍내 방면, 읍내순환
이 노선들은 모두 옛날 아크릴 번호판 시절에는 딱히 번호가 없었으나, 화순군이 버스정보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번호를 얻게 된 노선들이다. 주로 화순읍내 버스교통 오지지역 주민들의 교통을 책임져주는 노선. 지금은 전광판에 번호는 있지만, 200-1번을 제외하면 여전히 아크릴 번호판만은 없다.4.4.1. 200-1번(덕흥동 ↔ 만인리)
화순 버스 200-1 문서를 참조.4.4.2. 215번(화순터미널 ↔ 구.이서중)
화순 버스 215 문서를 참조.4.4.3. 215-1번(덕흥동/화순터미널 ↔ 하서마을)
화순 버스 215-1 문서를 참조.4.4.4. 216번(덕흥동 ↔ 미곡리)
화순 버스 216 문서를 참조.4.4.5. 216-1번(화순터미널 ↔ 미곡리)
화순 버스 216-1 문서를 참조.4.4.6. 220번(화순전남대병원 ↔ 주도리)
화순 버스 220 참고4.4.7. 1111번(심야버스. 덕흥동 → 대리사거리)
화순 버스 1111 참고4.5. 진월동 경유(318번 계열)
화순 버스 318 참고4.6. 기타 노선
4.6.1. 학생수송버스 (군내버스터미널 → 제일중)
화순읍 곳곳의 학생들을 학교 앞까지 데려다주기 위해 예전부터 운행한 노선. 화순읍의 최고 인구밀집지역이 화순읍내의 동쪽인 광덕지구인데, 오히려 화순읍내 중학교 2개(화순중, 제일중)가 화순읍내 서쪽에 몰려있어서 운행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이 차량은 종점인 제일중에 도착하면, 바로 군내버스정류장으로 회송하고 나서 215-1번으로 운행한다. 그리고, 화순군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학생들은 비슷한 시간대에 같이 오는 218-1번 곰치행을 주로 많이 탄다.
4.7. 장날 노선
12시 20분에 동림동, 인도리 노선이 있다. 또한 217번이 장날에 하루 한 번(광주 08:15) 농소, 언도리로 들어간다.4.8. 화순 콜버스
2024년 6월 20일부터 7월 19일까지 화순읍 95개 정류장에 한해 콜버스를 시범 운행한다. 시간은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오후 7시 30분까지 호출할 수 있다.5.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인천광역시1 |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
경기도1 |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 |
강원특별자치도 |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 |
충청남도 |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 |
전북특별자치도 | 완주군4 | |
전라남도 |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 |
경상북도 | 예천군8, 의성군, 칠곡군9 | |
경상남도 |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 |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9: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추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시행 예정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화순군 교통체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일반철도 | 화순역, 능주역, 이양역 |
도로 | 고속도로 | | |
국도 | 15번 · 22번 · 29번 | ||
지방도 | 15번 · 55번 · 58번 · 817번 · 818번 · 822번 · 839번 · 843번 · 887번, 897번 | ||
버스 | 시내버스 | 화순군 농어촌버스 | |
228번 · 지원152번 · 진월177번 | |||
225번(백아면) · 문덕80(사평) · 옥과-송단/이천/온천 · 나주 버스 200 | |||
버스 터미널 | 화순시외버스공용정류장, 능주정류장 | }}}}}}}}} | |
전라남도의 교통 |
[1] 일가족과 세 자매가 몰살당하여 안타까움을 줬다.[2] 사고원인은 운전기사의 부주의와 건널목 차단기 미설치 콜라보가 겹쳐서 일어났다.[3] 반면 광주로 가는 다른 지역의 버스들은 한 달 뒤인 9월 1일부터 인상했다.[4] 현재 변경된 구간을 다니고 있었던 건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 당시에 폐선된 지원150번 뿐이었다.[5] 간선버스는 능주와 구암까지만 가며, 지선버스는 능주나 구암에서 각 마을로 향한다.[6] 다만 하루 1번은 광주에서 출발한다.[7] 시간을 잘 맞추어 화순정류장에서 200번을 타거나 혹은 광덕지구에서 타면 된다[8] 다만 천암에서 출발하는 막차는 종점이 광주다.[9] 다만 200번 천암발 막차처럼 도곡발 막차는 종점이 광주다.[10] 예전에 최장거리 노선이었던 광주발 화순온천 경유 구산행 217번이 들어가다가 어느샌가 북면으로 단축되어 화순온천 구간은 곡성교통만 유일하게 다니고 있었는데, 지간선제 개편으로 인해 다시 화순온천 구간을 다니게 되었다.[11] 이전에는 220번만 화순군 안에서 다음 정류장까지 나왔었다.[12] 육판리 정류장이 그 예인데, 육판리 정류장은 방송에서 내지라고 나온다. 차내 LED전광판에서는 정류장 이름이 정상적으로 나온다.[13] 이보다 더한 건 나주교통 160번이다.[14] 지방의 농어촌버스 중에서 하차 태그 의무화를 실시하는 유일한 지역이다.[15] 하나로카드로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로 광역환승이 불가능하다.[16] 이 부분은 꼭 화순교통뿐만 아니라 광주광역시에 들어가는 다른 농어촌버스 회사들도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광주 구.103-담양 303(담양운수), 광주 구.125-담양 225(담양운수), 광주 구.108-나주 180(나주교통), 광주 구.5/구.555/구.105-나주 150(나주교통)/함평 500(함평교통), 광주 구.101-장성 100(군민운수) 등. 다만 구.60번의 경우에는 그 역으로 광신고속 160에서 따왔다. 어떤 의미에서는 160번도 구.6번(살레시오고~도산동)이나 구.106에서 따온 번호이기도 하지만.[17] 이는 광주광역시 유출입 농어촌버스들의 공통된 특징이다. 군민운수 100번, 함평교통 500번, 담양운수 303번 등이 화순교통과 유사한 형태로 노선버스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