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4:09:52

고령군 농어촌버스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령군 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예천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포항시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전철 ( 파일:Daegu1.svg · 파일:Daegu2.svg · 파일:Daegu3.svg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권 광역환승제
}}}}}}}}} ||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교통체계
<colbgcolor=#009944> 철도 달빛철도(미개통) 고령역(미개통)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45.svg중부내륙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2.svg광주대구고속도로(고령IC, 동고령IC)
국도 26번 국도, 33번 국도
지방도 67번 지방도, 905번 지방도, 907번 지방도, 1036번 지방도, 1084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고령군 농어촌버스, 고령터미널
경상북도의 교통
파일:대가야9004.jpg
고령군 농어촌버스의 운행 모습.

1. 설명2. 요금3. 운행노선
3.1. 폐선된 노선3.2. 고령군 농어촌버스 노선 역사
4.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5. 기타6. 둘러보기

1. 설명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로, 대가야여객이 단독 운영한다.

2. 요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700, #006700 20%, #006700 80%, #0067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700><tablebgcolor=#00670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2024년 12월 기준[1]
대구권 광역환승제 지역 버스 요금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분 현금[6] 교통카드(선·후불)
대구
경산
영천
직행
급행
일반 2,200원 1,950원
청소년 1,300원 1,100원
어린이 800원 650원
노인[2] 2,200원 0원[3]
좌석
일반
(순환·간선·지선·출근 포함)
마을
DRT
일반 1,700원 1,500원
청소년 1,000원 850원
어린이 500원 400원
노인[2] 1,700원 0원[3]
김천
구미
칠곡
성주
구미좌석[5]
KTX리무진[5]
성주좌석[4][5]
일반 2,000원 1,900원
청소년 1,600원 1,300원
어린이 1,000원 800원
김천좌석
일반
공단순환
마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1,200원 850원
어린이 800원 400원
고령
청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850원 850원
어린이 400원 400원
[1] 2024년 12월 14일부터 시행한 요금체계
* 만 5세이하 영유아 3인까지 무료 운임
}}}}}}}}}

2024년 11월 21일까지는 군 경계 안에서만 타도 구간 요금을 내야 했기 때문에 버스 앞문에만 단말기가 있었고, 뒷문으로 타서 앞문으로 내릴 때 요금을 냈다.

2024년 11월 22일 요금 단일화와 함께 구간 요금이 없어져 다른 지역 버스처럼 앞문으로 탈 때 요금을 내고 뒷문으로 내리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12월 14일부터 대구권 광역환승제 시행으로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교통카드 단말기는 삼원FA 3세대를 쓰다가 대구권 광역환승제 시행을 앞두고 6세대로 교체함과 동시에 뒷문에 하차 단말기를 설치했다.

3. 운행노선

3.1. 폐선된 노선


하지만 2006년 7월 2일 상곡리 회차지의 정비가 완료되면서 대구 650번이 상곡리로 풀 타임 운행을 시작하자 수요가 급감했다. 2006년 개편 때 대구 시내버스 요금이 급행버스만 좌석버스 요금을 받았기에 급행버스가 아닌 650번은 요금 측면에서 메리트가 있었다. 거기에 650번은 607번에 비해 넘사벽급으로 운행 횟수가 많았기 때문에 607번의 수요는 엄청나게 저조해졌다. 그래도 607번은 감차하며 끝까기 묵묵히 버텼으나, 2010년대 들어 대구 650번에 밀려[2] 대구에서 완전히 철수하여 다산면과 대가야읍을 잇는 지선 노선으로 전락했다.

607번이 대구로 진입할 때는 대구 650번, 대구 836번과 98% 일치하는 노선이었다.[3]

607번 시절 인가대수는 단 2대라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었는데 2013년 607번이라는 번호가 사라지고 번호가 없는 노선인 고령 버스 고령-다산으로 바뀌었다.

3.2. 고령군 농어촌버스 노선 역사

1980년 3월 21일 경상교통이 설립되어 무번호 고령군 농어촌버스와 고령시외버스정류장~논공~화원~서부정류장 300번 시외완행버스를 운영하였다. 1998년 11월에 고령시외버스정류장~논공~화원~서부정류장 300번 시외완행버스와 동년 5월에 폐선된 구. 334번 좌석버스[4]의 서부정류장~서문시장 구간을 통폐합과 동시에 고령군 농어촌버스로 전환해 서문시장으로 연장해 노선번호를 606번으로, 운행구간을 고령시외버스정류장~논공~화원~서부정류장~서문시장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이 때 고령,다산~화원~서부정류장,서문시장 606-1번도 개통하였으며, 2005년에 607번으로 변경되어 운행하다 2013년때 폐선되어 고령~성산/용암~다산 구간을 무번호로 운행하고 있다.
2000년대에는 사장의 횡령으로 인해 자금난에 시달리면서 이때부터 지금과 같이 중고차를 뽑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에는 고령로얄이 부도나자 2003년에 고령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어 동부강남고속에 매각하였고 2005년에 동부강남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007년에는 경일교통이 인수하여 가야고령버스/진흥여객으로 변경하였고 2010년에는 경일여객여행, 2015년에 지금의 사명인 대가야여객으로 변경됨으로써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4.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

파일:고령군 CI.svg 고령 - 타 시 · 군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성주군
고령-작은동
합천군
}}}}}}}}} ||
606번이 고령과 서문시장을 이어주며, 그 외 다산회차지에서 고령 버스 고령-다산대구 버스 650이 서로 연계되며, 성산면, 다산면 일부 지역에서 대구 버스 달성1이 들어온다.
경일교통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가 대가야읍내까지 들어오며, 그 외에는 백운동에서 고령-백운동 버스와 성주-백운동 버스, 작은동에서 성주-작은동 버스와 고령-작은동 버스, 용암에서 성주-용암/선남/문양역간 버스와 고령-용암간 버스가 연계된다.
두 지역은 인접해있지만 버스가 서로의 땅으로 거의 들어오지 않는다.[5] 아무래도 고령과 합천의 왕래 수요가 적어서 그런 것 같은데, 시외버스를 이용해 오가야 한다. 일단 고령 버스가 야로면 나대리에 들어오며, 합천군 농어촌버스도 나대리에 들어온다. 하지만 서로 연계는 되지 않으며 합천 농어촌버스가 나대리에 들어오는 것은 장날만이다. 일단 연계가 되는 가장 가까운 곳은 분기-신촌쪽. 고령 버스 고령-쌍림을 타고 '석사'라는 곳에서 내려 1.9km 정도 걸으면 '분기'라는 곳이 나오는데, 여기서 합천 버스 808과 연계된다. 그 외 고령-신곡 버스를 타고 박곡재를 넘어 박곡에서 합천군 농어촌버스가 연계된다. 하지만 편수가 적으므로 시외버스를 타고 오갈 것을 권한다.

5. 기타

무번호 지선 버스 노선은, "이번 정류장은~" 부분만 송출 하고 "다음 정류장은~" 부분이 생략되어 있다.한마디로 다음 정류장을 알려주지 않는다는 뜻.

6.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1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1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4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청도군8, 칠곡군8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저상버스 미보유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철원군
충청남도 금산군, 청양군, 태안군
충청북도 괴산군, 단양군, 증평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전라남도 강진군, 고흥군, 구례군, 담양군, 무안군, 신안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경상북도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칠곡군
경상남도 고성군, 의령군
}}}}}}}}} ||


[1] 노선 구간은 다산금류타운 ↔ 다산주공아파트 ↔ 다산농협 ↔ 호촌리 ↔ 화원동산 ↔ 성산리 ↔ 화원삼주타운 ↔ 화원농협주유소 ↔ 대구교도소 ↔ 대원고등학교 ↔ 대곡역 ↔ 유천교 ↔ 진천역 ↔ 월배시장 ↔ 월배초등학교 ↔ 월배역 ↔ 월배우체국 ↔ 상인역월촌역송현역서부정류장/성당못역대구문화예술회관 ↔ 두류수영장 ↔ 두류공원네거리(문성병원) ↔ 성당시장 ↔ 두류1동우체국, 성남초교입구 ↔ 구남보건고교 → 내당네거리(서대구시장) → 반고개역 → 비산2,3동주민센터 → 비산네거리(대구제일고교) → 큰장네거리서문시장(동산의료원) → 남산초교 → 경북공고 → 계명대학교대명캠퍼스 → 대명시장 → 구남보건고교 ↔ 이후 역순 구간이었다.[2] 2006년 개편 때 대구 650번화원동산 방면의 경우 1:1 비율로 화원동산 종점으로 들어가지 않고 사문진교 다산 방향으로 바로 통과하므로 화원동산으로 들어가는지 통과하는지 행선판을 보고 타야 했었다. 또 시내버스 안내에서 <화원유원지-신암캐스빌>(짝수 순번)은 다산에서 시내로 갈 때 화원동산을 들어갔다 나오고 시내에서 다산으로 올 때에는 화원동산을 무정차하는 방식이었다. 또 <화원유원지-다산>(홀수 순번)은 반대로 다산에서 시내로 갈 때 화원동산을 무정차 통과하고 시내에서 다산으로 갈 때에는 화원동산을 들어갔다가 나오는 방식이었다. 한 마디로 화원동산 내부를 1/2로 경유했으나, 2012년에 폐지하여 사문진교 풀 타임 직통으로 다산으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3] 다산금류타운~내당네거리 구간이 대구 650번과 중복되었고, 서문시장 방면으로는 화원삼거리~내당네거리 구간, 다산 방면으로는 동산네거리 ~ 화원삼거리 구간이 중복되었다. 오직 중복되지 않는 2%는 서문시장 방면으로, 내당네거리 ~ 비산네거리 ~ 동산네거리 구간, 즉 짧은 편도 구간 뿐이었다. 거기다가 화원삼거리 ~ 비산네거리 ~ 서문시장 구간은 606번과도 중복되었다.[4] 현풍~범물동 구간을 운행하였으나 1995년에 현풍~동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하는 332번이 개통되어 332번에 밀렸다. 332번은 1998년 5월에 601번으로 번호가 바뀌어 망우공원으로 연장되었고 2006년 2월에는 지금의 600번으로 번호가 바뀜과 동시에 칠성시장으로 단축되었으며, 600번은 연장과 단축을 거듭해 지금의 달성2차공단~앞산공원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되었다.[5] 과거에는 고령군 농어촌버스가 고령장날 한정으로 합천군 덕곡면 포두리까지 운행한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9 (이전 역사)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