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23:25:33

왕서방

1. 중국홍길동, 아무개로 알려져 있는 비칭2. 경제 관련 속어3. 왕씨 성으로 시작하는 중국, 대만 국적 남자 유명인들의 별명4. 소설 감자의 등장인물

1. 중국홍길동, 아무개로 알려져 있는 비칭

대체로 대를 이어서 비단장사를 하는 상인인 것으로 추정되며, 소위 비단장수 왕서방이라고 칭해진다. 을 할 때 어미가 ~해라는 어미를 쓰는 것이 특징. "우리 중국살람 아무거나 잘 먹는다해" 같은 식으로 쓰인다.

중국인을 흉내 낼 때, ~해를 붙이는 이유가 好에서 나왔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hao로 발음하고, 만주어의 관형어미 ~he와 연결어미 ~hei에서 나왔다는 설이 유력하지만[1], 정작 만주어에서 he는 '허'라고 발음한다. 힌디어의 종결어미 "~헤" 에서 따왔다는 설도 나오는 모양.

그러나 이는 표준 중국어에서 유래한 표현이라기보다는 만주 지역의 언어에서 유래한 표현들이다. '~해'의 경우 한어가 아니라 만주어의 어미 -kai에서 유래했으며, 일본어에서 표현하는'~アル'의 경우 만주국에서 쓰이던 간이 일본어인 '협화어에서 유래했다.

일본에 '나까무라' 가 있다면 중국에는 '왕서방'이 있다. 그리고, 한국(조선)에는 박씨 성의 '박가네'가 있다.[2]

또한 서양에 푸 만추가 있다면 한국에는 왕서방이 있다. 둘 다 중국인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다룬 캐릭터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푸 만추는 잔인한 악당이고, 왕서방은 동네 진상 아저씨쯤으로 묘사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캐릭터로 표현될 때는 주로 뚱뚱하며 실눈에 가늘고 긴 콧수염이 특징. 옷차림은 보통 청대 만주족 의상으로 표현된다.돈으로 모든걸 해결보려는 천박한 근성을 보여주는 캐릭터로 표현되는걸 보면 자본주의의 돼지와도 뜻이 어느정도 일맥상통할지도.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화요리점 간판에서도 희화화된 왕서방 캐릭터가 그려진 경우가 종종 있다.
파일:중국집캐릭터.jpg 통상적으로 왕서방 캐릭터가 요리가 담긴 그릇을 들고 엄지 척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철가방을 들고 오토바이를 타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간혹 치파오를 입은 여자 캐릭터가 같이 있기도 한다.

한창 만주사변나고 중일전쟁이 일어나던 시절에 가수 김정구가 부른 '왕서방연서'라는 노래도 있다.[3] 내용은 비단 장수 왕서방이가 조선기생한테 반해서 전재산 다 털털 털리고도 좋아죽겠네 하는 내용. 첫소절은 아마 살면서 한번쯤은 들어봤을것이다. 비슷한 시기의 일본어 노래 만주 아가씨(滿州姬)에도 만주 여인이 왕서방님께 시집간다는 내용으로 등장한다. 2012년 9월 30일자 KBS2 《해피 선데이: 1박 2일》 충남 서천군 편에서 출발 전 김승우가 입고 나온 한복이 중국인스러워서 BGM으로 한번 깔린 적도 있다.

1961년 안현철(1929~2020) 감독이 만든 영화 《비단이 장사 왕서방》이 있는데, 당대 유명 코미디언 '뚱뚱이' 양훈(1923~1998)이 왕서방 역으로 나왔다. 이 영화를 위해 만들어진 노래는 아니며, 배경음악으로는 쓰였다. 80년대까지는 노래가 먼저 히트하고 거기에 스토리를 붙여서 영화를 만드는 사례가 많았다. 다만 원본 필름은 소실된 상태다.

(王)씨는 전통적으로 중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였고, 지금도 중국 전체에서 9288만명으로 가장 많은 성이다.(2013년 4월 기준) 중국 남부의 최대성씨인 (李)씨가 9207만명으로 2위. 그 뒤로는 (張)씨(8750만명)와 (劉)씨(6500만명)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이씨와 왕씨는 거의 비슷한 숫자가 있기 때문에 조사를 할때마다 순위가 바뀌기도 한다.[4]

금강의 제자가 쓴 무림매니아라는 패러디 무협에서는 어째서 무협지에는 한줌밖에 없는 복성들이 판을 치느냐며 정파 최대 문파가 이씨가문이고, 악의 무리는 왕씨, 최종보스가 왕서방이다.

NC 다이노스의 투수 왕웨이중, 전 메이저리거 왕젠밍의 별명이기도 하다.[5]

1983년 초반에 삼양식품에서 '왕서방면'이라는 중국식 우동맛을 살린 라면을 내놓았는데 왕서방면이 유행을 타는 과정에서 개성 왕씨 성을 가진 어린이들이 놀림거리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개성 왕씨 문중에서 항의를 해 동년 4월에 중화 우동면으로 이름을 바꿨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이 이야기는 MBC의 타임머신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왕서방(?) 열 받았다!(7회, 2001년 12월 30일 방송분)"는 제목으로 극화한 바가 있으며, 타임머신 제작진이 삼양식품의 홍보 팀장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왕서방면에서 중화 우동면으로 상표를 바꾸는 데만 비용이 무려 1983년 당시 거액이었던 7억 원이 들어갔다고 한다.[6]

2. 경제 관련 속어

중국투기 자본을 일컬어 '왕서방' 자본이라고 한다. 당연히 위 항목에서 유래. 2000년대 이후 중국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고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거부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생기면서, 대규모 해외투자가 일상화되었다. 한국의 경우, 외환위기에 이은 IMF 구제금융의 영향으로 국내에 해외 자본에 대한 규제가 크게 완화되었으며, 또한 시장 유동성이 큰 관계로 왕서방의 좋은 투자처(혹은 투기지역)로 꼽히는 중. 주로 부동산이나 기업 M&A 쪽에 이러한 사례가 많으며, 주식 시장에서도 큰 손으로 통하는 왕서방이 제법 있다고 전한다. 왕서방 자본은 일반적으로 엄청난 자금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대규모 투자 후 수익 실현이 되면 즉시 빠지는 형태가 일반적이라 신뢰성이 낮다.

3. 왕씨 성으로 시작하는 중국, 대만 국적 남자 유명인들의 별명

4. 소설 감자의 등장인물

그의 감자밭에서 감자를 훔치던 복녀와 성관계를 했고 이후로도 계속 복녀와 성관계를 하다가 어느 날 왕서방이 새 신부를 들이자 그를 질투해 낫을 들고 덤비는 복녀를 역관광시켰다.


[1] 청나라만주족의 나라이기에, 만주어가 공용어라 모든 공문서는 만주어가 원본이고, 중국어 사본을 별도로 기록하였다. 비록 후기에는 만주족이 한족에 동화되는 바람에 만주어를 아는 만주족이 별로 없어져서 공문서 기록용 만주어 능력자를 따로 고용할 정도가 되었지만.[2] 한국의 박씨는 순수 토착 한국인의 토착 순혈 성씨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한국인들을 지칭하는 별명으로 쓰이는 것이다.[3] 나이가 있는 층에게는 눈물젖은 두만강으로 유명한 가수다. 김정구가 지나가면 주변의 사람들이 ‘눈물젖은 두만강 지나간다’며 수근댔다고.[4] 2006년 조사에서는 이씨가 1위를 했다.[5] 다만 이쪽은 둘 다 중화민국 국적 보유자이다.[6] 참고로 1983년 당시 강남의 60평(약 200㎡) 아파트가 5000만 원 하던 시절이었다. 그리고 이 당시의 7억 원을 2020년 화폐 가치로 환산하자면 24억 6,540만 원에 달하는 비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