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09:18:07

울트라맨(DC 유니버스)


<colcolor=#000,#fff> 파일:슈퍼맨(2025) 로고.png
슈퍼맨 사가의 주요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슈퍼 패밀리
클라크 켄트/칼 엘
(슈퍼맨)
조나단 켄트 & 마사 켄트
조-엘 & 라라 로르-반
카라 댄버스/카라 조엘
(슈퍼걸)
크립토
(슈퍼독)
데일리 플래닛
로이스 레인 지미 올슨 페리 화이트
캣 그랜트 스티브 롬바드 론 트루프
루터코프
렉스 루터 이브 테스마커 오티스 버그
엔지니어 울트라맨
그 외 빌런
블러드스포트 }}}}}}}}}
<colbgcolor=#0180C2,#0180c2><colcolor=#ffffff> DC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울트라맨
Ultraman
파일:울트라맨 스포티파이 커버.jpg
본명 울트라맨
Ultraman
이명 보라비아의 망치
The Hammer of Boravia
[1]
종족
[ 스포일러 ]
크립톤인 클론
성별 남성
소속 루터코프
플래닛 워치
등장 영화 슈퍼맨
담당 배우
[ 스포일러 ]
데이비드 코런스웻[2]
알베르트 발라다레스 (대역)[3]
더빙판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노무라 켄지[4]

1. 개요2. 작중 행적3. 능력4. 평가5. 기타

1. 개요

DC 유니버스울트라맨.

2. 작중 행적

2.1. 슈퍼맨

파일:DC 코믹스 로고 화이트 2024.png DC 유니버스 빌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영화 ]
{{{#!wiki style="margin: -5px 0"
챕터 1 - 신들과 괴물들
슈퍼맨
(2025)
슈퍼걸
(2026)
클레이페이스
(2026)
렉스 루터
울트라맨
엔지니어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드라마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HBO Max 화이트 로고.png
챕터 1 - 신들과 괴물들
피스메이커 시즌 2
(2025)
랜턴즈
(2026)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애니메이션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파일:HBO Max 화이트 로고.png
챕터 1 - 신들과 괴물들
크리처 코만도스 시즌 1
(2024~2025)
일라나 로스토빅}}}}}}}}}}}}
파일:보리비아vs슈퍼맨.png
작중 초반부터 '보라비아의 망치'라는 이름의 로봇처럼 생긴 빌런이 등장해 슈퍼맨과 싸워 이기는데, 기묘하게도 렉스 루터의 회사인 루터코프 직원들이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움직이며 슈퍼맨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보라비아의 망치는 포탈을 통해 루터의 아지트로 들어온 뒤 슈트를 벗고 '울트라맨'이라는 이름으로 환호를 받는다. 보라비아의 망치는 국제 분쟁에 개입한 슈퍼맨을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아넣기 위해 렉스 루터가 준비한 위장 신분이자 쇼였던 것이다.

중반에는 렉스 루터, 엔지니어와 함께 고독의 요새에 침입하여 그들을 막아서는 크립토니언 서비스 로봇들을 파괴한다. 슈퍼맨이 체포될 때는 자수하러 나타난 그를 힘으로 찍어눌러 제압했고, 렉스 루터의 명령에 따라 회의실의 전등을 켜주거나 보라비아의 대통령에게 도넛을 건네는 등, 잔심부름도 군말없이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후반에는 주머니차원 감옥에서 탈출한 슈퍼맨과 미스터 테리픽을 엔지니어와 함께 습격한다. 렉스 루터의 조종을 받으며 다시 한 번 슈퍼맨을 압도하지만, 슈퍼맨이 전속력으로 대기권까지 솟구쳤다가 바닥으로 내리꽃혀 엔지니어를 제압할 때 같이 떨어져 나온다. 지하도 구덩이에서 나오며 찢어진 복면을 벗고 원래 얼굴이 드러나는데…

2.1.1. 정체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울트라맨 맨얼굴.jpg
마스크 속의 얼굴은 슈퍼맨과 똑같았다.[5] 울트라맨의 정체는 렉스 루터가 창조한 슈퍼맨의 클론이었던 것으로, 루터가 슈퍼맨이 전투를 벌인 장소를 이 잡듯이 뒤져 머리카락 한 올을 찾아내는데 성공해 제작했다고 한다.

차원 균열이 도시를 덮치자 슈퍼맨과 함께 균열 속으로 떨어지고 격투에서 우위를 점했지만,[6] 기지를 발휘한 슈퍼맨이 크립토를 불러 루터의 드론들을 파괴하자 공격 패턴이 점차 단조로워지며 밀리기 시작했다. 그래도 기습으로 슈퍼맨에게 암바를 거는데 성공했지만, 블랙홀을 향해 추락하는 건물의 잔해를 본 슈퍼맨이 스스로 어깨를 탈골시키며 탈출에 성공. 울트라맨을 블랙홀 쪽으로 떨어지는 버스 잔해를 던졌고, 울트라맨은 그대로 버스에 부딪혀 블랙홀 속으로 빨려들어가며 사라진다.[7]

3. 능력

렉스 루터가 창조한 슈퍼맨의 클론인 만큼 슈퍼맨과 상대가 되는 신체 능력, 비행 능력, 히트 비전 능력을 갖고 있다. 슈퍼맨과 DNA가 완전히 일치하기 때문에 고독의 요새에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하지만 작중 묘사로는 원본에 미치지 못하는 열화판에 가깝다. 렉스와 루터코프의 지원으로 능력을 더 끌어올려 그나마 대등하게 만든 정도.

루터의 언급에 의한 대로 원본인 슈퍼맨에 비해 지능이 낮아 루터가 슈퍼맨의 움직임을 모조리 분석하고,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다음 행동을 지시하는 방식으로[8] 서포트를 할 수 있어 이론상 렉스 루터의 지능과 슈퍼맨의 힘을 동시에 구사할 수 있는 캐릭터다. 실제로 슈퍼맨에게 처음 패배를 안긴 것이 울트라맨이고, 루터가 서포트했을 때의 슈퍼맨은 울트라맨을 상대로 우위에 서지 못했다.

그러나 루터의 서포트가 없는 울트라맨은 힘은 세지만, 지능이 그에 미치지 못해 그냥 적을 잡고 주먹질만 하는 단순한 전투 방식만 구사하게 된다. 이 점을 간파한 슈퍼맨이 크립토를 불러 울트라맨을 관찰하는 루터의 드론을 파손하자 울트라맨은 슈퍼맨과 제대로 상대가 안 될 정도로 밀렸다. 작중에서 말을 하는 장면이 거의 없는 걸 보면[9] 지능이 상당히 낮은 모양. 그래도 이브 테스마커의 배신을 눈치채고 렉스 루터에게 꼰지르거나, 2500가지의 전투 패턴을 외운 것을 보면 입력과 출력이 고정적인 1차원적 학습은 가능하다.[10]

일단 작중 DNA가 완전히 같다고 언급되나 슈퍼맨이 필사적으로 날아가자 따라잡지 못하거나 멈추지 못하고,[11] 대기권에서 추락하자 입가에서 피가 나기도 하는 데다 슈퍼맨을 체계적으로 더욱 오래 두들겨댔음에도 끝내 제압하지 못하고 슈퍼맨의 격투술에 더욱 빠르게 무력화되는 등, 단순한 스펙으로도 다소 처지는 모습을 보여준다.[12] 울트라맨이 3시간에 걸쳐 슈퍼맨을 제압한 것과 반대로 슈퍼맨은 2분만에 울트라맨을 압도했다. 심지어 전투 내내 슈퍼맨은 살의를 가지고 덤비지도 않았는 반면, 울트라맨은 급소를 마구잡이로 가격하는 등, 훨씬 공격적으로 공격해도 밀린 것을 생각하면 뒤쳐지는 것은 확실하다. 또한 촬영 비하인드 영상에 의하면 슈퍼맨은 동작이 힘에 의지한 투박한 액션을 중심으로 하는 방면, 울트라맨은 전문적인 훈련을 통한 액션을 중심으로 만들었다는 게 밣혀지며 적어도 전투 스킬은 울트라맨이 한 수 위인 것으로 보인다.[13]

태양광을 흡수한 기간이 약 30년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동일한 DNA임에도 스펙이 밀리는 것일 수도 있고, 애초에 DNA가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도 얼마든지 후천적인 요인으로 큰 차이가 날 수 있음을 감안하면 DNA가 같다고 무조건 스펙이 같다는 보장이 없다. 그래도 머리카락 한올로 원본과 거의 유사한 클론이 만들어진 것부터 울트라맨이 매우 잘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만약에 DNA 샘플이 조금만 더 있었다면 작중 나온 울트라맨보다 더욱 강력한, 순수하게 본인 역량으로 슈퍼맨과 대등한 수준의 클론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4. 평가

액션 없이 지휘만 하는 렉스 루터, 애매한 액션을 보여준 엔지니어, 그리고 히어로의 레이드 몹 비슷한 연출로만 나온 카이주나 랩터 부대에 비하면 초인과 초인의 대결을 제대로 살려냈고, 이를 관객들이 납득 가능한 '슈퍼맨의 클론'이라는 설정을 넣어 영화 속 빌런들 중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슈퍼맨의 클론 설정을 너무 일찍 사용한게 아니냐는 평가가 있다. 만들어진 배경상 당연히 강력하고, 그만큼 일찍 내보내면 후에 슈퍼맨과 맞서게 될 빌런은 이보다 더 강한 녀석을 넣어야 하는데, 그조차 코믹스에도 찾기 힘들기에 약한 빌런을 먼저 내놓고 점차 강한 빌런을 투입하는 식의 전개가 더 낫지 않냐는 얘기가 나오기도 한다. 리부트 전의 둠스데이도 너무 비슷한 우려를 받았고, 그것이 현실이 되어버렸다. DC 유니버스는 이제 시작이니 빠른 판단은 금물이지만, 아무래도 이전 사례가 있어서 다소 걱정 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미디어 믹스 전체를 찾아보면 슈퍼맨과 박빙의 승부를 펼칠 수 있는 빌런들이 결코 적지는 않으며 오히려 많은 편이다. 선술한 둠스데이, DCEU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던 조드 장군, 슈퍼맨 최대의 강적으로 꼽히는 브레이니악, 슈퍼맨 뿐만 아니라 DC 히어로들의 숙적인 다크사이드, 그리고 이래디케이터, 사이보그 슈퍼맨, 뉴클리어맨처럼 강적들이 의외로 많다. 거기다 압도할 수준까진 아니라도 나름 대등하거나 특수한 능력으로 밀어붙이는 빌런들은 몽굴, 패러사이트, 메탈로, 맨체스터 블랙 등도 있으니 섣부른 평가는 금물이다. 무엇보다 시리즈 초반이라도 히어로보다 명백히 약한 빌런을 내보내면 액션이 심심해져 김이 샌다.[14]

또한 감독인 제임스 건이 울트라맨이 블랙홀에서 살아남았냐는 질문에 "아마도."라 답한 것으로 보아, 재등장 확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팬들은 향후에 비자로, 혹은 원작의 울트라맨으로 다시 등장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슈퍼맨과 로이스 때처럼 비자로 → 둠스데이 루트를 타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15]

5. 기타


[1] 위장 신분[2] 첫 등장에서 대중에게 하는 말도 데이비드 코런스웻이 목소리 변조 없이 연기한 것이다.#[3] 마스크 쓰고 있는 상태일 때의 대역이다.[4]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코라스, 킹핀을 맡았다.[5] 차이점이 있다면 슈퍼맨은 단정한 흑발인 반면, 울트라맨은 약간 갈색 빛을 띄는 장발 곱슬이며, 눈썹도 거의 없는 탓에 더 험악하고 둔해보이는 인상이다. 머리 스타일은 클라크 켄트 모습의 슈퍼맨과 좀 더 비슷하다. 사실 슈퍼맨도 영화 후반부 즈음까지 가면 이리저리 구르느라 머리가 다 헝클어지는데 이 헝클어진 머리가 곱슬머리인걸 보면 슈퍼맨으로서의 단정한 헤어는 본인이 정돈한 것이고 클라크 켄트 상태의 곱슬머리가 원래 타고난 스타일인 모양.[6] 이때 렉스 루터는 흥분한 채로 1A를 계속 외쳤다.[7] 원래라면 버스 정도는 가볍게 쳐버리며 피할 수 있었겠지만, 바로 뒤에 블랙홀이 있었기 때문에 이도 불가능한 상황이었다.[8] 2500가지의 격투 패턴을 미리 준비한 다음, 지휘실에서 직원들이 드론으로 울트라맨을 보면서 가장 최적의 패턴을 확인, 최종적으로 지휘자인 렉스가 패턴을 지시하면 울트라맨이 구현한다.[9] 영화 초반에 보라비아의 망치로서 군중들에게 연설하는 대사들이나 주어진 명령에 답하는 걸 보면, 언어 구사는 충분히 가능하지만 남들만큼 유창하지 못 하거나 필요한 상황 외에는 굳이 말을 안 하는 듯하다.[10] 렉스는 울트라맨을 만드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어 지능이 낮다고 했지만, 2500가지 패턴을 전부 외웠다면 지능은 절대 낮지 않다. 아마 말은 이렇게 했어도 울트라맨이 자신에게 반발할 때를 대비하여 통제가 쉽도록 지능을 의도적으로 낮게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다. 원래 렉스가 본인과 동등하거나 뛰어난 자를 이기기 위해 약점을 쥐고 흔드는 경향이 있음을 생각하면 신빙성이 있다.[11] 이때 울트라맨의 주먹을 슈퍼맨이 무시하는 듯한 모습도 보여준다.[12] 당장 영화 시작 시에도 나레이션에 따르면 영화 시작 지점 3시간 전에 슈퍼맨과 처음 충돌했고, 3분 전 슈퍼맨이 인생 첫 패배를 겪었다. 슈퍼맨에게 처음 패배를 안겼다는 점에서 확실히 강력한 빌런이긴 하지만, 반대로 보면 렉스 루터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만전의 슈퍼맨을 쓰러트리는데 3시간 가까이 걸렸다는 것이기도 하다.[13] 이건 역으로 생각해보면 전투 스킬에서 우위를 점했음에도 큰 격차로 질 정도로 슈퍼맨과의 신체 능력에서 차이가 크게 난다는 점.[14] 예를 들어 슈퍼맨과 킬러 크록이 싸운다고 가정해보자. 크록은 배트맨 시리즈 기준에선 상당히 강한 빌런이지만, 슈퍼맨 기준에선 어려운 상대가 절대 아니기에 승자는 당연히 슈퍼맨이다. 이처럼 히어로물에서 누가 봐도 승자를 알 수 있는 승부를 클라이맥스 전투로 보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15] 본작의 울트라맨이 비자로 설정을 많이 가져왔기에, 둠스데이로 진화할 가능성은 있다.[16] 복제 광선이 아니라 생화학적 수단으로 만들어낸 클론이고 렉스 루터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콤비라는 점에서 개중에서도 뉴 52 이후의 설정에 기반하였다. 다만 원작 비자로와 달리 DCU 루터는 울트라맨을 철저히 도구로만 여긴다. 루터가 애정을 가진 피조물이라는 포지션은 '미스터 핸섬'이 대신 가져갔으나, 영화 내에서는 이마저도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