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21:18:49

일반기계기사

자동화설비기능사의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2 {{{#FFFFFF 기계제작 분야 자격증}}}}}}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기술사
기계가공기능장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기계조립산업기사 - -
- - 일반기계기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계설계산업기사 - -
정밀측정기능사 정밀측정산업기사 - -


{{{+2 {{{#FFFFFF 기계공학 관련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161. 기계제작 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사 일반기계기사
기술사 기계기술사

{{{+2 {{{#FFFFFF 캐드 관련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082. 디자인 기능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141. 건축 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142.토목 기능사 지도제작기능사
지적기능사
161. 기계제작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산업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사 일반기계기사
기능장 기계가공기능장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기능사 자동화설비기능사
산업기사 자동화설비산업기사
164. 조선 기능사 선체설계기능사
167. 금형ㆍ공작기계 기능사 금형기능사
기능장 금형기능장

일반기계기사
一般機械技士
Engineer General Machinery
중분류 161. 기계제작
관련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응시자 수 및 합격률3. 시험의 구성4. 필기
4.1. 기계제도 및 설계4.2. 기계재료 및 제작4.3. 구조 해석4.4. 열·유체 해석
5. 실기
5.1. 필답형5.2. 작업형
5.2.1. 작업형 팁
6. 통합 과목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기사 자격증 시험으로 주로 기계공학과 관련 전공자가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국내 4년제 모든 기계공학과의 커리큘럼이 일반기계기사 내 세부 과목과 매우 흡사하다.

2023년 필기 접수자 수 상위 30개 종목별 기사 시험 통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위 종목 필기 접수자 수 필기 합격률 실기 접수자 수 최종 합격률
1위 산업안전기사 124,482 51.11% 60,278 54.26%
2위 정보처리기사 88,359 59.02% 76,686 21.01%
3위 전기기사 82,593 22.23% 26,895 37.11%
4위 건설안전기사 54,149 51.37% 22,480 63.02%
5위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51,687 49.43% 24,688 41.64%
6위 건축기사 37,313 37.63% 18,224 31.39%
7위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36,680 45.69% 23,796 26.61%
8위 전기공사기사 23,830 44.99% 10,030 62.19%
9위 일반기계기사 20,691 39.88% 8,341 41.15%
10위 빅데이터분석기사 20,634 63.33% 10,031 52.93%
11위 대기환경기사 20,539 37.05% 10,939 17.64%
12위 토목기사 19,886 29.56% 7,455 51.30%
13위 산업위생관리기사 16,852 48.17% 6,609 58.49%
14위 수질환경기사 15,262 29.57% 5,630 24.95%
15위 공조냉동기계기사 15,163 36.80% 5,552 41.20%
16위 에너지관리기사 15,162 33.80% 5,904 39.39%
17위 설비보전기사 12,890 50.33% 5,890 57.79%
18위 식품기사 12,521 41.85% 6,763 26.63%
19위 건축설비기사 12,277 59.39% 9,498 39.24%
20위 화학분석기사 10,993 28.15% 3,286 14.92%
21위 정보보안기사 10,641 37.81% 6,321 9.78%
22위 산림기사 8,632 49.48% 4,785 57.01%
23위 품질경영기사 8,057 40.26% 2,572 46.58%
24위 가스기사 7,914 22.92% 1,762 36.44%
25위 인간공학기사 7,831 75.15% 4,742 74.09%
26위 조경기사 7,653 22.04% 2,155 32.75%
27위 화공기사 7,032 23.37% 2,308 21.13%
28위 화재감식평가기사 6,435 81.11% 6,608 44.73%
29위 식물보호기사 6,248 54.41% 3,850 38.05%
30위 건설재료시험기사 5,942 40.20% 1,587 74.40%
출처: 대한민국 통계청
}}} ||

일반기계기사는 관련 업종 경력자, 4년제 대학 기준 해당 학과에서 최소 4학년 재학 중(6학기 이상 수료)일 때 응시가 가능하다. 자세한 응시자격 및 내용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를 참고. 크롬에선 그래프가 보이지 않으니 익스플로러 브라우저로 들어가자.

과정평가형 기술자격시험제도를 통해서도 취득할 수 있다.

2. 응시자 수 및 합격률

연도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18년 12,603 5,429 43.1%
2019년 14,389 6,353 44.2%
2020년 15,351 7,147 46.6%
2021년 15,861 7,612 48.0%
2022년 12,650 4,980 39.4%
연도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18년 7,923 2,873 36.3%
2019년 9,490 4141 43.6%
2020년 10,883 5,495 50.5%
2021년 10,935 4,902 44.8%
2022년 8,059 3,634 45.1%

3. 시험의 구성

일반기계기사 시험은 필기와 필답형 실기, 작업형 실기로 이루어지며, 연 3회 모두 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다. 실기의 경우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구성되어 총 3회의 시험을 보아야 한다. 추천 수험서는 학진북스, 세진북스, 예문사, 건기원 등이다.

2022년부터 출제기준이 변경되어 2023년까지 적용되지만, 전체적인 변화는 없고, 세부내용만 약간 바뀐다. 2024년 기계설계기사와 통합될 때 더 큰 변화가 있을 듯.[1]

4. 필기

필기시험은 각 과목당 20문항, 총 4과목 80문항이 출제되며 과목당 40점을 넘기고 평균 60점을 넘기면 합격한다. 시험 시간은 총 2시간이 주어지며, CBT로 한꺼번에 출제된다. 사실상 한 과목당 30분, 한 문제당 1분 30초가 주어지는 셈이다.[2]

필기시험은 과거엔 10년치 정도 기출문제를 공부한다면 합격할 수는 있었으나 최근 문제 출제 경향을 보면 기출문제를 외우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제시된 조건등을 바꾸거나 조건은 같아도 요구하는 것이 달라지기 때문. 전기기사처럼 기출문제 그대로 나오는 문제는 몇개 없고 대부분 신출 또는 기출변형이다. 전기기사와 함께 일반적인 기사시험들 보다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나 전공자 기준으로 최소 한달 넉넉히 두달 정도 준비하면 충분하다. 다만 공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반년 혹은 그 이상 생각보다 오래 걸릴 수도 있으니 참고할 것.

최근 출제된 경향을 보면 다른 학과에서의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4과목, 5과목의 난이도가 굉장히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열역학, 유체역학에서 최대한 점수를 얻는 것이 좋다.

상당수의 과목이 계산문제가 주로 출제되는데 필기는 문제당 시간이 적은 관계로 대학교 시험마냥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2024년 이후에는 기계설계기사와 통합되면서 NCS 직무능력표준에 맞춰 1. 기계제도 및 설계 2. 기계재료 및 제작 3. 구조해석 4. 열유체해석으로 나뉘게 된다. 과목 수가 하나 줄어들어 문제수도 총 80문제로 줄어든다. 아래의 내용은 출제기준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실제 시험이 시행될 시 실제 시험을 바탕으로 수정하기 바란다. 기존에 취득한 기계설계기사도 일반기계기사에 준해 인정된다.

3~4 과목의 해석 부분은 기존의 기계설계기사에 있던 내용을 들고 온 것으로 보인다.

문제 수는 줄어들지만 범위는 늘어날 예정이니 미리 필기를 취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3] 기존의 1~3과목이 20문제에서 10문제로 줄어들고 기계제도 및 기계요소설계 20문제가 추가된다고 보면 편하다. 유압기기는 10문제에서 2~4문제 수준으로 감축된 뒤 기계제도 및 기계요소설계에 포함되어 출제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만 늘어난 범위가 실기를 치르는데 있어 필요한 내용이라는 것이 그나마 위안이다.

4.1. 기계제도 및 설계

기계제도 및 설계는 이번 개정에 추가 되는 필기 범위이다. 실기를 치르려면 어찌 보면 당연히 알아야 할 내용인데 미리 공부해야 필기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 과목에서 고득점했다면 추후 실기 대비에도 그리 큰 노력이 들어가지 않게 된다. 출제범위는 기계제도, 기계요소설계, 유공압기기이다. 기계제도는 기계설계산업기사에 있는 부분이고, 기계요소설계는 실기 필답형에서 봤던 것을 필기에도 출제하는 것이다. 개정 이전 4과목의 유압기기 부분이 시험 범위에서 빠지지 않았다는 점이 포인트 다만 문제 수는 기존 10문제에서 더욱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각 범위당 6~7문제가 유력하다.

4.2. 기계재료 및 제작

기계재료 및 제작은 개정 전 4과목의 기계재료와 5과목의 기계제작법이 합쳐진 과목이다. 기계제작의 열처리 부분은 앞으로는 기계재료에서 출제 된다. 기존 기계재료의 경우 금속의 조직과 상태도, 철과 강의 특성과 용도, 비철금속의 특성과 용도, 탄소강의 열처리 및 표면경화처리, 기계재료의 조직검사 및 기계적 시험법에서 벗어나 요소부품의 재료와 종류, 재질 적합성, 요소부품 가공공정, 재료 제조공정, 열처리 공정, 열처리의 특성을 물어보는 식으로 변경 되었다.열처리 관련 문제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기존의 재료 특성을 암기하는 문제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기계제작법은 열처리 부분이 제외된 것을 제외하곤 바뀐 부분 없음

4.3. 구조 해석

구조해석은 개정 이전 1과목의 재료역학과 5과목의 기계동력학이 합쳐진 과목이다. 여기에 구조 및 진동 해석 관련 내용이 필기 범위에 추가 되었다. 각각 재료역학, 동력학과 연계되어 1~2문제 출제 될 것으로 보인다. 재료역학 10문항 동력학 10문항이 유력하다. 재료역학 문제가 20개에서 10개로 줄어들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만 재료역학의 경우 개정 이전과 범위가 완전 동일하지는 않고 조금 빠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자주 출제 되지 않던 충격하중, 회전반경, 원심력에 의한 응력, 조합하중, 스프링 등이 제외 되었다.[4] 기계동력학은 기존의 강체 운동학 + 질점 운동학 + 1자유도계 진동 모두 범위에 포함되었다.

4.4. 열·유체 해석

열유체해석은 기존 2과목 열역학과 3과목 유체역학에 열응력 및 유동해석이 추가 되었다. 각각 열역학, 유체역학과 연계하여 1~2문제 출제 될 것으로 보인다. 열역학 10문제 유체역학 10문제가 유력하다. 각각 20문제에서 10문제로 줄어들었다. 기존의 열역학에서 잘 나오지 않았던 화학반응이나 열역학적 관계식, 공기조화 부분만 제외되었고 나머지는 기존 기사 범위 그대로 반영되었다. 유체역학도 바뀐 부분 없다.

===# 2024년 이전 #===
====# 재료역학 #====
주로 계산형 문제들이 출제된다. 일부 이론은 실기(필답형)에서도 필요하므로 개념 정리가 중요하다. 복잡한 식이 매우 많고 계산도 쉽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더욱 연습이 필요한 단원이며, 주어진 그림과 연계하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기 때문에 처음 보는 그림에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는 확실히 개념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만 한다.

보와 외력의 형태, 단면의 형태가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는 단면의 2차 모멘트를 통해 부재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을 구하는 문제와, 분포하중이 가해졌을 때 보의 특정 위치의 처짐을 구하는 문제의 난이도가 높다. 기사 시험의 출제가 문제 은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값만 외우면 절반 정도는 쉽게 풀 수 있지만, 어떤 구속조건과 기하학적 조건에서도 문제를 풀 수 있으려면 수학적 표현으로 결과를 유도하는 연습을 해 보아야 한다.

건설기계설비기사, 농업기계기사, 조선기사를 취득한 지 2년 이내인 수험생은 과목면제 신청이 가능하다.

====# 기계열역학 #====
식도 간단하고 계산 문제는 그렇게 어렵거나 복잡한 것이 없는 대신에, 개념을 묻는 문제가 30% 정도 등장한다. 개념을 묻는 문제 중의 대부분은 사이클의 과정을 묻는 문제이기 때문에 외울 필요가 있다. 개념을 묻는 문제도 그리 어렵지 않은 단원이기 때문에 시간도 적게 분배하고, 고득점으로 이득을 챙기는 것이 좋다. 최근 들어 열전달 과목의 문제가 가끔씩 1문항씩 나오는 경향이 있다.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궤도장비정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농업기계기사나 자동차정비기사를 취득한 지 2년 이내인 수험생은 과목면제 신청이 가능하다.

====# 기계유체역학 #====
주로 계산형 문제들이 출제된다. 학부 과정에서는 어렵기로 악명 높은 과목이지만 일반기계기사에서는 문제를 꼬아 내는 경우도 없고 책 연습문제도 아닌 예제들과 그리 차이나지 않는 문제들 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재료역학보다는 계산이 쉽다. 하지만 어쩡쩡한 전공자나 비전공자 같은 경우에는 정말 어려우며 단순 기출문제 돌려먹기식 공부법으로는 절대 60점을 넘을 수 없다. 다만 문제은행식이라도 숫자는 바꿔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기계설비기사, 농업기계기사를 취득한 지 2년 이내인 수험생은 과목면제 신청이 가능하다.

====#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
기계재료는 금속과 비금속의 특성, 강의 화학 처리 및 열처리 방법 등을 묻는 문제가 암기형으로 출제되는 편이다. 총 10문제가 나온다. 이론 중심으로 공부하면 한도 끝도 없으니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낫다. 최대한 많은 용어를 알고 있을수록 문제가 쉽게 풀리므로 용어 위주로 암기하며, 강의 평형 상태도는 그래프 자체를 완벽하게 그릴 수 있을 정도로 외운다.

유압기기는 유압기기의 특성과 유압회로 등을 이해하는 문제가 나오는 편이다. 총 10문제가 나온다. 거의 대부분이 암기 문제이고 특히나 기출 문제가 그대로 나오는 비중이 높은 부분이므로 기출 문제를 반복하면 된다.

====#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 #====
기계를 제작할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학문으로 실제 현장에서 쓰이는 각종 기계공정. 절삭류 계열[5]과 비절삭류 계열[6], 연삭 및 정밀입자 및 특수가공 등의 2차 가공, 측청기, 기어 등의 절삭이론과 그에 맞는 가공방법의 개념을 주로 출제하며 총 10문제가 나온다. 제 4과목과 마찬가지로 암기과목이며, 이론 중심으로 공부하면 밑도 끝도 없으니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낫다.[7]

기계동력학은 학과 과목 기준으로 동역학과 진동학이 시험범위에 포함되는데 대부분 진동학 분야에서 나오며 총 10문제가 출제된다. 3역학(재료역학, 열역학, 유체역학)에 비하면 일반물리학 수준의 간단한 이론을 묻거나 계산과정이 단순한 편이었으나, 최근 들어 강체 운동 해석도 나오기 시작하는 등 어려워지고 있다. 재료역학보다는 아니지만 시스템 해석의 난도가 높다. 기계제작법에서 점수를 따고 기계동력학은 조금만 해서 과락만 면하자는 수험생도 꽤 있다. 계산문제가 주로 나온다.

5. 실기

실기시험은 복합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필답형과 작업형을 제각기 별도로 치른다. 각 영역당 최고 점수는 50점이며, 필답형 점수와 작업형 점수를 합산하여 60점이 넘으면 합격이다. 필답형은 필기 시험과 다르게 과락 점수가 특별히 주어지지 않지만 작업형은 실격 기준이 있기 때문에 불합격 되지 않도록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필기 합격 발표 후 필답형과 작업형을 준비하는 것은 백수가 아닌 이상 매우 빠듯하다. 최소한 작업형은 일찍 준비할수록 합격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응시 자격에 필요한 제출 서류(재학증명서나 졸업증명서 등)은 미리 제출하는 것이 낫다.

시험 접수는 가능한 접수 첫 날 오전에 하는 것이 좋다. 필답형을 먼저 치르고 다른 날 다른 시험장에서 작업형을 또 따로 치르게 되는데, 필답형 시험은 대부분 필기 고사장과 같은 곳에서 시험을 보기 때문에 큰 지장이 없지만 작업형 시험은 일부 공단 및 대학에서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모집 인원도 적고 시험장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상사가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면 서울에 사는데 제주도에서 작업형 시험을 본다든가, 부산에 사는데 경기도 의정부에서 작업형 시험을 보는 등 작업형 시험을 보기 위해 먼 지역으로 원정을 가는 사람이 실제로 종종 있다. 그래도 접수 기간 내에 불규칙적으로 추가 모집을 받는 고사장이 있기 때문에 접수를 실패하더라도 추가 모집을 받는 고사장이 있는지 틈틈이 확인하는 것이 좋다.

5.1. 필답형

필답형은 대략 10~12문제로 단답형 및 서술형으로 구성된다. 09:30에 시작하여 11:30(총 2시간)에 시험이 종료된다.

문제지가 곧 정답지이며 문제풀이는 반드시 흑색의 볼펜으로만 작성해야 한다. 샤프로 답안 작성을 할 경우 오답 처리되며 수정액의 사용도 제한된다. 다행인 건 문제풀이 할 수 있도록 연습란도 아래쪽에 작게나마 제공된다. 따라서 샤프나 연필로 우선 가답안을 작성한 후 볼펜으로 옮겨적고 가답안을 지우는 식으로 답안지를 작성하면 편리하다.

기계요소설계가 중점적으로 출제된다. 응력, 처짐과 관련하여 재료역학에서 필요한 개념이 많으므로 필답형을 준비하기 전에 재료역학을 간단하게 복습하는 게 좋다. 문제의 대부분은 계산형 문제가 출제되지만 간혹 개념이 필요한 문제(명칭을 묻거나 특징을 서술하는 것 등)나 공식의 증명 문제가 간혹 출제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배점이 높은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1~2개 정도 등장하는데, 이런 문제들은 손쉽게 필답형에서 40점 이상 고득점을 해서 작업형을 대충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생각하고 넘기자. 찾아서 공부하는 노력을 들인 시간만큼 성과가 나오리라는 보장이 없다. 사실 새로운 유형이라곤 해도 일단 책에 나와 있는 내용이라서 보통 각 단원 구석에 있으면서 계산도 복잡한 문제가 나온다. 즉 이런 것까지 확실히 알지 못하면 풀지 못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그냥 넘기는게 좋다. 이런 것까지 공부하기엔 양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또한 2020년부터 만점 방지용으로 교재 구석에 있는 아주 생소한 개념이라던가 기계장치의 특징에 대해서 서술하라는 문제가 한 문제씩 출제되고 있다.

부분점수는 있지만, 채점 기준이 꽤 까다롭기 때문에 푼 것만큼 점수가 안 나오는 경우도 꽤 있으니 문제를 풀고 꼭 확인하자.

2024 개정 후 필답형의 경우 출제 기준으로 판단하면 시험 자체가 완전히 바뀔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기계요소설계 관련 계산 문제에서 벗어나 요소부품의 재료 검토, 소재별 열처리 및 강도, 적합한 공차 선정, 크기 선정, 동력전달시스템 설계, 유공압시스템 설계 등으로 변경 될 것으로 보인다. 도면 제작 시 필요한 내용 다시말해 작업형을 치르는데 필요한 내용이 필답형에도 나오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2024년에는 필답형에 대해선 변화가 없을 거라고 공지했다.

5.2. 작업형

일반기계기사의 합격률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 '개념 이해, 개념 암기, 정확한 계산' 위주의 공부는 작업형에선 안 통하기 때문이다.

2D, 3D용 툴을 다루는 시험으로, 5시간 내에 주어진 문제에 대해 적절한 답안을 가정해서 2개의 도면을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 제한 시간을 넘겨도 출력은 자유롭게 할 수 있으나, 출력 외의 도면 수정을 할 경우 실격 처리된다.[8]

작업형 시험이 어려운 이유는 도면의 랜덤성[9]윈치롤러(...) (20년 2회) 따위가 튀어나와서 수험생들을 멘붕시키기도 한다. 일반로또기사라고 불리는 이유.], 그리고 아무것도 없는 종이에 도면에 필요한 모든 것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어진 과제가 동력전달장치일 경우 답안도 여러가지로 공개되어 있고 손이 쉽게 나가지만, 심압대나 드릴지그 등 치공구 관련 과제는 투상부터가 어렵다. 도면 내 부품의 배치는 물론 부품의 품명과 재질에 정확한 답안이 있는 것이 아니며[10], 공차 역시 설계자의 재량으로 정해야만 한다. 물론 모든 부품은 PDF 파일로 주어지는 KS 규격의 기준을 따라야 하며, 입력한 치수와 공차들도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설계자의 논리가 요구되기에 도면을 단순히 외우기만 했다가는 거의 100% 다음 기회를 기약해야만 한다. '이 부품의 여기는 무조건 이렇게 한다'라고 외워야 할 부분도 있지만, 그보다는 여기는 왜 이렇게 해야 하는지를 이해하도록 하자. 그러니 미리미리 표면거칠기나 열처리 방법 및 주요 공차 등이 상세히 소개된 책을 사서 공부하자.

2024년 개정 이후 부터는 도면을 2개를 제시하고 각 도면 별로 1~3개의 부품을 제도하게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존의 경향을 보았을 땐 앞으로는 각 도면 별로 앞으로는 로또에 맡기려는 태도를 취하기 보다는 동력전달장치, 치공구 전부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 외에 바뀐 사항이 없는 걸로 보아선 작업형은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개의 도면은 치공구 1개 동력전달장치 1개가 유력하며 동력전달장치에선 기어, V벨트 풀리, 축과 같이 ks 규격이 많이 적용되는 분야 위주로 출제 하고 치공구는 투상이 어려운 부품 위주로만 출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5시간 안에 두 도면의 전체적인 특성을 모두 생각해 내어야하므로 꽤 어려운 시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시험이 시작되면 달랑 1장의 투상도가 주어지는데, 치수는 당연히 주어지지 않으므로 자와 각도기, 연필(볼펜 X[11]) 및 지우개는 필수다. 투상도를 얼른 투상한 뒤, 여기서 나온 부품들을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그리면 되는데, 대부분 3D 툴에서 도면으로 투상한 후 그걸 2D 툴로 옮겨와서 2D 도면을 마무리한다. 별도의 프로그램 제한은 없으나 2D CAD는 주로 AutoCAD[12]로, 3D CAD는 주로 Inventor 또는 SolidWorks[13]로 작업한다.Solid Edge의 경우 부정행위 방지 프로그램때문에 실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리미리 감독관의 확인을 받아두는 것이 좋다 이들은 대학생이라면 인증 후 1년간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간날 때 집에서 연습해보는 것도 좋다.

점수 배점은 2D에서 40점, 3D에서 10점으로 총 50점 만점으로 주어진다. 3D 도면은 부품 배치만 등각투상법으로 잘 하면 되기 때문에 감점을 당하더라도 그나마 타격이 적다[14]. 그러나 2D는 점수 배점이 상당히 까다로운데, 기입할 것들이 꽤 많기 때문에 주요 치수가 누락 or 편차가 심하던가, 표면거칠기나 끼워맞춤공차, 기하공차 등이 당연히 있어야 할 곳에 없다면 점수가 깎인다.[15] 특히 투상이 틀리면 점수가 너무 많이 감점되어 거의 100% 실격당한다. 일부에서는 정해진 것들만 그리면 대충 20점 이상 나온다고 하지만, 실격의 기준이 생각보다 매우 높다. 실제로 필답형 시험에서 40점대 후반의 점수를 득점했는데 작업형에서 실격을 당해 과락한 사람이 의외로 많다. 이런 점 때문에 학원에서 알려주는 편법[16]만 보기보다는 기계제도 관련 책을 정독해서 도면이 요구하는 것들의 원리를 하나하나 알아보는 게 좋다. 사실 자질구레한 끼워맞춤공차나 기하공차 수치들이 해답과 일치하는지는 어디까지나 부차적인 문제일 뿐이며, 도면이 요구하는 것들을 어디에 어떻게 어떤 기준으로 넣었느냐가 주요 채점 기준이 되기 때문에 공차와 주요 기호의 기입 기준만 숙달되어도 상당한 점수를 보존할 수 있다. 물론 치수가 틀리거나 해서 부품이 구멍에 안 들어간다던가 하는 참사가 발생하면 실격은 아니더라도 점수가 확 깎이게 된다.

실격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다.
허용되는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다.
* 작업형에서 취식은 일반적인 식사가 아닌 간식 및 음료수 선에서는 허용해준다. 시험 시간이 5시간이고 중간에 점심 시간이 껴있기 때문이다. 사전에 감독관에게 물어보는 것이 좋다.
* 노트북 및 개인 장비. 개인 PC는 미리 사전에 시험을 접수할 때 체크해야만 소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시험장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마우스, 거치대를 소지한 뒤 응시해도 무리는 없다. 대신 마우스는 무선이 아닌 유선이어야 하며 키보드는 시험장마다 허가가 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해야 한다. 이외에도 시험장에 따라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미리 전화해서 개인 PC 사용이 가능한지 문의해야 한다.

5.2.1. 작업형 팁

시험장에 가서 시작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감을 못 잡거나, 도면을 만들어 놓고 제출을 못 해서 망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보통 집에서 연습을 할 때 도면의 틀을 작성하고 문자와 치수 스타일, 레이어 등을 지정하는 법부터 연습하는 경우가 많은데, 시험장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꼭 확인하고 개인 노트북을 쓰지 않는 경우라면 CAD 프로그램의 설정부터 반드시 확인하도록 하자. 시험장과 나의 컴퓨터의 설정이 100% 같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시험장에 가서 프로그램을 켜고 평소 하던 대로 하려는데 듣도 보도 못한 설정이 적용되어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거나, 실수로 버튼을 눌렀는데 메뉴바가 사라지거나 했는데 되돌리는 방법을 몰라서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그날의 시험은 그대로 끝이다. CAD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에 있는 모든 버튼들의 기능부터 제대로 알고 있자. 이것저것 눌러 보면서 기능을 이해하면 하루 정도면 충분하다.

교재의 경우 시중에 있는 전산응용기계제도 관련 책을 구하면 된다. 일반기계기사는 힘 또는 하중에 관한 해석이나 설계 변경이 없는 작업형이기 때문에,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교재를 구입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반드시 직접 출력을 해 보아야 한다. 프린터가 없는 경우라면 PDF 출력을 한 뒤 결과물을 확인하도록 하자. 시험장의 감독위원이 출력 설정을 다 해 놓고 출력 버튼만 누르면 깔끔한 결과물이 튀어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아닌 경우라면 직접 출력 설정을 다 해야만 하는데 결과물의 4분의 1만 찍혀서 나오거나 가로줄이 죽죽 그어진 채로 출력된다면 불합격을 당하게 된다.

6. 통합 과목

===# 기계설계기사 #===
기계설계기사
機械設計技士
Engineer Machinery Design
Engineer Mechanical Design
중분류 161. 기계제작
관련부처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 개요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기사시험으로 주로 기계공학 관련 전공자가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일반기계기사와 수험 과목이 거의 비슷해서 기계공학도들이 2개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할 때 이 자격증에 많이 응시한다. 1년에 1번 2회차에만 시행한다.
2024.1.1부터 일반기계기사로 통합되었다.

과정평가형 기술자격시험제도를 통해서도 취득할 수 있었다.
====# 필기 #====
====# 실기 #====
실기는 필답형 없이 작업형만 존재한다. 실기시험 자체는 일반기계기사의 작업형과 유사하다. 차이는 정적 구조해석(structural analysis)을 수행하여야 한다. 연습할 때는 비싼 프로그램 대신 인벤터 응력 해석 맵을 쓰면 된다. 일반기계기사보다는 취득자가 적어 독학자료가 거의 없다. 직업훈련센터나 대학강의자료로 공부하면 된다. ncs의 정적구조해석 부분을 보면된다. 프로그램은 다르더라도 해야될 과정은 어떤 프로그램을 써도 동일하다.
====# 실기상세 #====
실기는 총 3과제로 나뉜다. 도면작성, 정적구조해석 작업, 설계검증로 되어있다.

도면작성: 일반기계기사와 동일

정적구조해석: 도면작성과 다른 단일부품을 모델링한후 응력분석프로그램으로 응력분석한 후 문제의 조건에 따라 부품 수정후 응력과 변형률, 푸아송비 수정사항등을 파워포인트로 작성하면된다.

설계검증: 간단히 말해 일반기계기사 필답형을 작업형으로 하면된다. 문제의 조건을 보고(sm 45c로 된 축에 비틀림모멘트 16이 작용된다) 도면작성 과제물이 적합하지 않는지 확인하면된다. 즉 일반기계기사 필답형처럼 시험지에 주어진 조건을 기계요소설계에서 배운 공식에 대입하면된다. 참고로 과거에는 도면작성과제에 수정사항도 반영해야 했지만 지금은 답안지에 적으면된다 그대신 정적구조해석이 생겼지만 또 참고자료로 5권이하로 참조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 기타

8. 관련 문서





[1] 기계설계기사 작업형 유형에 유동해석 종목이 포함되면 난이도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기계설비법 도입으로 인한 여파인듯[2] 2025년부터 총 시험시간 1시간 20분 문제당 1분이 주어진다.[3] 기존의 시험 범위 거의 전부가 개정 이후 시험에도 반영되며, 기계제도와 기계요소설계는 아예 추가된 부분이다.[4] 스프링 내용은 1과목에서 출제 되게 된다.[5] 선반, 밀링, 드릴링, 연삭 등의 칩(chip, 가공 중 발생하는 찌꺼기)이 발생하는 가공기술[6] 주조, 소성가공, 용접 등의 칩이 발생하지 않는 가공기술[7] 공업계 특성화고에서는 자격증 취득을 위해 빡세게 암기시키며, 이해하는 정도의 수준은 대학교 3,4학년의 응용과목까지 올라가야 한다. 이론의 완벽한 이해와 암기는 기계기술사나 5급 기계직에서나 필요하다.[8] 과거에는 5시간의 제한시간 외에도 30분의 추가시간(추가시간을 이용할 경우 10분당 3점씩 감점된다.)이 주어졌지만, 2014년 이후 추가 시간이 폐지되었다.[9] 사실 이게 제일 크다. 출제 빈도가 가장 높은 동력전달장치와 기어박스가 나온다면야 각 부품 이름과 기어 열처리 방법 전부 코파면서 기입할 수 있지만, 후술할 드릴지그등 치공구류나 심압대 같은 물건이 나오거나, 더 심하면 아예 배 닻줄 내릴 때나 쓰는[10] 동력전달장치나 기어박스야 부품 이름이 뻔하지만, 아예 처음 보는 과제일 경우 알지도 못하는 부품 하나하나의 정확한 이름을 기입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 대충 부품 1, 부품 2… 이렇게 써도 큰 감점 없이 넘어가거나 부품 이름들을 문제 도면 위에 첨삭해서 미리 알려준다. 재질의 경우는 동력전달장치나 기어박스의 경우 각 부품별(기어, 축, 본체 등)로 주로 쓰이는 재질, 열처리 방법이 몇 가지 있어서 미리 공부를 했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11] 도면 위에 볼펜으로 뭔가를 쓰면 돌이킬 수 없다. 절대 쓰지 말자.[12] 라이선스 비용 문제로 ZWCAD나 CADian이 설치된 시험장도 많지만, 사용하는 명령어는 AutoCAD와 거의 동일하다.[13] 그 외 CATIA, Unigraphics 등도 사용한다. 다만, 얘네가 설치된 시험장은 극소수이니 참고할 것.[14] 하지만 애초에 2D 도면 작도 자체를 3D 도면을 투상해서 시작하기 때문에 3D 도면이 틀렸다면 2D 도면에서도 필연적으로 큰 감점을 당하게 된다. 주의.[15] 본체 바닥이나 맨 위 돌출부 치수 같은, 전체적으로 그리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1, 2점 깎이고 끝이지만, 부품들간의 주요 연결부위의 치수가 틀려서 끼워지지 않기라도 하면…[16] 대표적으로 동력전달장치, 기어박스 노가다. 출제 빈도가 꽤 높은 데다 그리기 쉬운 물건들이라 저게 나온다면야 합격하겠지만 치공구류가 나오는 순간 합격률은 0%가 된다. 게다가 이런 편법을 막으려는지 이전에 등장하지 않은 특이한 부품들이 등장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예시로 21년 1회에서 동력전달장치는 단 1개도 나오지 않았다.[17] 때문에 그럴 리는 없겠지만 2D는 그리는데 3D 도면을 그리지 못할 경우 3D에 그냥 부품 갯수대로 직육면체만 몇 개 던져놓아도 각각 1점씩 들어가서 실격은 면한다고. 아마 3D 총점이 10점에 불과해서 가능한 일인 듯 하다.[18] 논 스케일을 지키지 못할일은 절대 없으므로 2D만 주의하면 된다.[19] 도면 제도 책에 이러한 기호들을 넣는 기준(주변 선들의 길이, 그리고 전체 길이와의 비율 등에 따라서도 기호들이 어떻게 들어갈지 달라진다. 비슷한 도면들을 그려 봤다 해서 그대로 넣으면 안 되는 이유)들이 다 나와 있고, 그 기준에 따라서 기입해야 하는데 이걸 그냥 비슷한 도면 그려 봤다고 생각 없이 막 집어넣는 순간 실격이다.[20] 프로그램 설치시 주는 샘플 dwg 파일 외의 모든 dwg 파일[21] 2022년 개정 이후 면제가 사라졌다.[22] 플랜트배관 과목이 불과 몇년전에는 기계제작법 이었다. 그때는 무려 2과목만 더 공부하면 되었다.[23] 정확히는 AutoCAD에 내장된 Lisp(리습)을 이용한 방법으로, 지정된 패턴을 설정후 저장하면 명령어 한 번으로 한 번에 작업할 수 있다. 시간단축을 할 수 있으므로 실무에선 유용하게 쓸 수 있으나, 시험장에서는 규정에 금지하고 있는 부정행위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