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4:54:28

경희대학교

자주경희에서 넘어옴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경희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역사
(신흥무관학교 · 동양의과대학)
임원 상징
학부 대학원
학풍 장학금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캠퍼스
(서울캠퍼스 · 국제캠퍼스)
학내 언론 야구부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000000><bgcolor=#0d326f>
기타 정보
||
입학 교통편 사건사고
커뮤니티 출신 인물 역동전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000000><bgcolor=#0d326f>
관계 기관
||
글로벌미래교육원 경희의료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중앙병원
}}}}}}}}}}}} ||
파일:경희대학교 교표.svg 경희대학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fff> 경희대학교
慶熙大學校
Kyung Hee University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colbgcolor=#a40f16> 교훈 <colcolor=#000000,#ffffff>학원의 민주화, 사상의 민주화, 생활의 민주화
교시 문화세계의 창조
상징 <colbgcolor=#a40f16><colcolor=#ffffff>
슬로건
그대, 살아 숨쉬는 한 경희의 이름으로 전진하라
교수 웃는 사자
교화 목련
교색
Kyung Hee Red (#A40F16)

Kyung Hee Blue (#0D326F)

Kyung Hee Gold (#C0A353)

Cool Gray (#717171)

Silver (#B5B5B5)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개교 1911년 6월 10일 ([age(1911-06-10)]주년) 신흥무관학교[1]
1949년 5월 12일 ([age(1949-05-12)]주년) 신흥초급대학[2]
개업 1951년 5월 18일 ([age(1951-05-18)]주년)
설립자 조영식
이사장 제18대 조인원
총장 제17대 김진상
법인 경희학원
대학병원 경희의료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주소 서울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회기동 1-5),
국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서천동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a40f16><colcolor=#ffffff>
서울캠퍼스
국제캠퍼스 }}}}}}}}}}}}
재학생
학부생
25,960명(2023년 4월 1일)
대학원생
8,575명(2023년 4월 1일)
교직원
교원 1,396명(2023년 4월 1일)
직원 505명(2023년 4월 1일)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웹사이트 파일:학교법인 경희학원 심볼.svg
소셜 미디어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경희학원 산하 4년제 사립 종합대학.

1911년 개교한 항일 독립군 양성기관 신흥무관학교를 이어받아 1949년 '신흥초급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 이후 1951년 조영식 박사에게 인수되었고, 1955년 종합대학 승격과 함께 교명을 '신흥대학교'로 변경했다. 1960년에 현재의 교명으로 개칭했는데, 이는 조선 후기 영조 · 정조 시대의 치세가 펼쳐졌던 경희궁에서 따온 것이다.[3]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 치과대학, 한의과대학, 약학대학법학전문대학원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원격대학을 제외하면 대한민국에서 학부생 및 재학생 수가 가장 많은 대학이기도 하다.[4] 또한 현재까지 한 명의 대한민국 대통령[5]을 배출하였다. 대학의 연구 성과를 재단하는 세계대학평가에서는 과학기술원을 제외한 국내 종합대학 중 5-7위를 차지하는 편이다.[6]

약칭은 경희대이며[7], 영문명 Kyung Hee University의 약칭은 KHU이고, FM 구호는 자주경희(自主慶熙)[8]이다.

2. 법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학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과거에는 대한민국에서 돈 많기로 손꼽히는 법인이었다. 실제로 기업들의 대학 인수가 활발했을 무렵에도 경희학원은 경희대학교를 인수하려는 기업들을 돈으로 물리쳤다는 소문이 있으며, 서울캠퍼스는 정문 앞 삼거리까지가 전부 다 경희학원의 땅인데 그곳에 캠퍼스를 올리는 것보다 상가를 유치하고 땅값을 받는 게 더 수익이 높아서 캠퍼스를 일부러 확장하지 않고 있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이다.

일각에서는 1997년 외환 위기 직전 당시 재정을 담당하던 교수의 현금 보유량을 늘리자는 주장을 받아들여 재산을 불렸다는 이야기가 있다.[9] 그래서인지 2011년에는 등록금 등으로 벌어들인 돈보다 대학에 투자한 돈이 더 많았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예전과 같은 명맥을 유지하지는 못하게 되었다. 캠퍼스 종합개발사업을 비롯한 건물 신축 및 리모델링 등 이것저것 벌여 놓은 일들이 워낙 많아 외부 자금을 들여오려고 노력하고 있다. 2020년대 들어 점차 동문이 기부하는 경향이 늘어나는 추세이고, 대학 운영자금도 영향을 받고 있다. 대학 발전을 위해 산학 협력을 활성화하고 있다. 특히 국제캠퍼스의 이공 계열 학과에서 산학 협력 분야를 확대하는 중이다. 법인 적립금은 동 수도권 사립대학 수준이다. 경희대학교도 적립금이 많은 편이지만, 사립대가 원체 적립금을 많이 쌓고 있기에 비슷한 규모의 타 사립대에 비하면 그다지 많지 않다. 등록금은 사립대치고 굉장히 낮은 축에 속한다. #

건물 임대 수입이 꽤 된다. 경희의료원 쪽 약국 건물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인근 오피스텔 건물, 그리고 회기역 근처 건물까지 법인 수입 대부분은 건물 임대 사업에서 나온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임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임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상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상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학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대학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대학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세계대학평가

파일:경희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
<colbgcolor=#a40e17><colcolor=#fff> 연도 QS THE ARWU CWUR USN & WR CWTS P(10%) Nature Index
2019 264위 351-400위 301-400위 357위 526위 419위
2020 247위 301-400위 301-400위 383위 553위 430위
2021 236위 250-300위 401-500위 391위 547위 386위
2022 264위 250-300위 401-500위 379위 525위 452위
2023 270위 250-300위 401-500위 379위 520위 644위
2024 332위 250-300위 499위

9. 학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학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장학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장학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학사 제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학사 제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동아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동아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총학생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총학생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학내 언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학내 언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캠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캠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대학생활협동조합

홈페이지

줄여서 생협이라고 부른다. 서울캠퍼스에만 존재한다. 종종 국제캠퍼스에서도 생협을 만들자는 의견이 제시되나, 실제로 실현하기는 어려운 모양이다.[10]

일부 학생식당과 매점, 자판기 등을 생협에서 관리한다. 학생들은 출자금 1만 원을 내면 조합원 카드를 발급받고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출자금은 졸업 시 환급해 준다.

16.1. 주요 혜택

17. 관계 기관

17.1. 경희대학교 글로벌미래교육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 글로벌미래교육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2. 경희의료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의료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3.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4.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중앙병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중앙병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입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입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 교통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교통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사건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커뮤니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커뮤니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대학교/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1920년, 일제가 연해주 4월 참변간도 참변 등을 일으키며 한인들과 독립운동 단체들을 색출해내던 차에 위협을 받아 동년 7월경 일시적으로 폐교했다. 광복 이후 1947년 2월 8일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이시영이 종로구에서 전문대학인 '신흥전문학원'으로 재개교했다.[2] 신흥전문학원이 배영대학관을 합병하며 2년제 초급대학으로 가인가 설립했다. 이후 1952년 12월 9일 4년제 대학 '신흥대학'으로 정식 인가를 받았으며, 1955년 2월 28일 4개의 단과대학을 산하로 하는 종합대학 '신흥대학교'로 승격했다. 그리고 1960년 3월 1일에 교명을 '경희대학교'로 개칭해 현재에 이른다.[3] 설립자 조영식 박사가 교사로 근무했던 서울고등학교가 경희궁 터에 위치했었다. 조영식 박사는 임진왜란병자호란의 폐허를 딛고 문예를 부흥시켰던 영정조 시대처럼, 6.25 전쟁으로 피폐해진 조국에 다시 르네상스가 찾아오길 바라는 마음에서 영조와 정조가 국사를 돌본 곳이었던 경희궁의 이름을 교명으로 사용했다.[4] 학부생은 약 2만 5천 명, 재학생은 약 3만 4천 명 규모다. 원격대학까지 포함하면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학부생/재학생 수 모두 9만 명이 넘어 1위를 차지하고 있다.[5] 문재인 전 대통령. 수료생까지 동문으로 치는 경희대학교 학칙 상으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 또한 포함하여 총 두 명의 대통령을 배출했다고도 할 수 있다.[6] 아래 세계대학평가 항목 참조.[7] '경대'라는 약칭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경대는 경북대학교를 가리킨다.[8] FM 문서 참조.[9] 이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당시 진행되지 않던 상당수의 건물 업그레이드가 1998~1999년 이후 갑작스레 늘어난 점을 지적한다. 크라운관의 개보수도 이때 이루어지고, 치과대학 부속병원 건물도 이때 리모델링되었다. 이후로 각종 개보수 및 신축 사업이 수차례 등장했다.[10] 경희대학교 생협에 따르면 국제캠퍼스 내에도 설치할 역량은 충분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국제캠퍼스 내에 위치한 여러 편의점 및 외주업체 등과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11] 과거에는 생협 사무실에 들러 코인형 화폐인 '쿠키'로 교환한 후 사용할 수 있었으나, 편의성 문제로 2016년부터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