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1 20:52:58

정년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작을 각색한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정년이(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년이 로고.png

등장인물 단행본 드라마

정년이
파일:정년이 표지.png
장르 드라마, 뮤지컬, 시대극
작가 스토리: 서이레
작화: 나몬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1부: 2019. 04. 01. ~ 2020. 02. 17.
2부: 2020. 05. 04. ~ 2021. 02. 22.
3부: 2021. 06. 07. ~ 2022. 05. 16.
연재 주기
단행본 권수 7권 (2023. 11. 30.)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
3.1. 표지
4. 작화 특징5. 등장인물6. BGM7. 단행본8. 미디어 믹스
8.1. 창극8.2. 드라마
9. 기타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여성국극.
연기로 승부를 거는 연극과 다르고
한 사람이 모든 배역을 도맡는 판소리와도 다르다.

춘향이부터 향단이까지, 다시 방자부터 이몽룡까지,
배우는 전원 여자다.

노래, 춤, 연기 모두 빠질 것 없는 최고의 여성들만이
국극 무대에 오를 자격을 갖는다.

그중 가장 뛰어난 여성은
왕자가 사라진 이 시대의 왕자가 되어
인기와 명성 그리고...

한국의 시대극 웹툰. 스토리는 서이레, 작화는 나몬이 담당했다.

본작의 배경이 되는 시대는 1950년대, 정확히는 6.25 전쟁 휴전협정 3년 후인 1956년이다. 주연에서부터 엑스트라까지 여성 국악인들이 주가 되었던 창극 극단의 '여성국극'을 소재로 하며, 소리를 해서 부자가 되려 국극단에 들어온 전라남도 목포 출신 윤정년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진행된다.

2. 줄거리

가진 것 없고 배운 것 없지만, 소리 하나만큼은 타고난 목포 소녀 정년! 정년의 꿈은 여성 국극단에 들어가 부자가 되는 것인데…

배워야 할 것은 많고, 주연 배우 자리는 멀기만 하다. 과연 정년은 대스타가, 부자가 될 수 있을까?

3. 연재 현황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16px;margin-bottom:-5px" PLAY툰 브랜드웹툰 연재종료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전체 네이버 웹툰 연재작


네이버 웹툰에서 2019년 4월 1일부터 매주 화요일에 연재된다. 2020년 2월 17일 1부가 종료되었다.

2부가 2020년 5월 4일부터 연재 중이다. 2021년 2월 22일 2부가 종료되었다.

3부가 2021년 6월 7일부터 연재된다.

2022년 5월 16일 후기와 함께 최종 완결되었다.

3.1. 표지

표지
파일:정년이.png
파일:정년이 표지.png

4. 작화 특징

눈에 들어오는 것은 탄탄한 기초가 엿보이는 정갈하고 깨끗한 그림체이다. 다른 웹툰의 그림에 비해 직선을 많이 사용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며, 명암 없이 단색으로만 채색하여 그 느낌이 배가된다. 특히 그림에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그라데이션[1]과 아웃포커싱[2]을 지양하여 그림이 더욱 담백하다. 댓글에서도 '그림체가 여름 느낌' 이라는 평이 많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년이/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BGM

목포의 청춘}}}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38화
길이 2:03
국극을 하고 싶습니다}}}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41화
길이 1:53
고구려 군사가 몰려옵니다}}}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66화
길이 1:30
군사설움}}}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67화
길이 1:37
옛날옛적에 공주와 바보가}}}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105화
길이 1:50
칼날에 이는 바람}}}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106화
길이 2:08
떠나네, 평화로운 사바세계로}}}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107화
길이 0:55
아제아제 바라아제}}}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133화
길이 2:07
만가(輓歌)}}} ||
}}} ||
<colbgcolor=#5896a6><colcolor=#fff> 회차 134화
길이 2:28

7. 단행본

01권 02권 03권
파일:정년이 1권.jpg
파일:정년이 2권.jpg
파일:정년이 3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4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8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06월 04일
04권 05권 06권
파일:정년이 4권.jpg
파일:정년이 5권.jpg
파일:정년이 6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0월 0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0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3월 17일
07권 08권 09권
파일:정년이 7권.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1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8. 미디어 믹스

8.1. 창극

국립창극단이 극화해 2023년 3월 초연한다. 소리꾼 이자람이 작창, 연출은 그와 '사천가' '억척가'에서 호흡을 맞춘 남인우다. # 공연장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공연 기간은 3/17~3/26. #

여성국극을 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 원작의 극화인데, 원작에서 여캐였던 역을 남성 배우가 맡게 되어 격론이 일었다. # 트위터 등지에서는 불매 해시태그가 유행하기도. #

8.2. 드라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년이(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역대 오늘의 우리 만화상 수상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18년 2019년 2020년
가담항설
그녀의 심청
구름의 이동속도
어쿠스틱 라이프
심해수
까대기
병의 맛
연의 편지
아티스트
정년이
ONE
고래별
기기괴괴
남남
스위트홈
}}}


[1]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색상이 서서히 변해가는 효과[2] 중앙의 인물은 선명하고 배경은 초점이 안 맞는 것처럼 흐릿하게 하는 효과[3] 참고로 <정년이>의 시간대는 1화부터 1956년이라고 나왔으므로 현대(광복 후)이며, 일제강점기 때부터 쿠키는 이미 있었다. 2021년 현재보다야 이국적으로 느껴지긴 했겠지만, 한국전쟁 이후로 양과업계가 불어나면서 전국적으로 널리 퍼진 신문물이 되었으므로 대다수가 젊은 여성인 주인공들은 쿠키가 뭔지 아주 잘 알았을 것이다.[4] 단 정년이는 전라남도(목포시), 허수아는 전라북도(군산시).[5] 작중 패트리샤 킴이 남편에게 가정폭력을 당했음에도 주변사람들이 '그러게 남편에게 잘 하지 그랬냐' 는 식의 반응을 보이는 장면이 나온다. 과거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의 무지를 보여주는 부분.[6] 백도앵만 하더라도 그의 아버지가 명색이 양반 집안이라는 체면 때문에 지인들에게 "우리 딸은 교사다"라고 소개했으나, 이후 백도앵이 사범학교를 졸업했으나 교사 대신 국극단에서 일한다는 것을 듣게 된 사람이 "딸이 국극단에서 기생질하는 주제에 거들먹대지 말라"고 망언을 하고 가기도 했다.[7] 춘향전, 이몽룡임춘앵, 성춘향역 김소희[8] 정년의 어머니 채공선이 여성국극단을 '사탄 소굴' 이라고 말하는 장면이 1화에 나온다.[9] 영화 서편제의 주연배우 오정해가, 김소희가 직접 가르친 마지막 제자이다.[10] 김진진 역시 여성국극 최고의 인기 배우였고, 여동생인 김경수와 김혜리도 여성국극 배우로 참여했다.[11] 임춘수의 호는 국보인데, 그의 딸인 임경희, 임성희가 1981년 국보 자매라는 이름으로 가수에 데뷔한다. '나를 나를 잊지 마세요. 머리에서 발끝까지~' 로 시작하는 히트곡 '내 모습이 쓸쓸해요' 를 기억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12] 명함도 못 내밀 정도는 아니다. 빠순이라는 신조어가 처음 생겼을 때 활동했던 1~1.5세대 아이돌이 상당히 고생을 했었다. 물론 혈서까지도 똑같이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