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과 판문동에 걸쳐있는 남강의 다목적댐. 건설의 역사가 의외로 길다. 일제강점기인 1939년 첫 삽을 떴으나 이후 중단되었고, 1949년 재착공했지만 전쟁의 여파와 재정 부족으로 또 중단됐다. 이어,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사업으로 1962년 제3차 착공에 들어가 1970년 7월 완공했다. 1989년 9월 대규모 보강 공사에 착수하여 1999년 12월 현재의 모습으로 준공되었다.댐의 높이는 21m, 제방길이는 975m, 총 저수용량은 3억 920톤이다. 남강 유역 일대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남강 하류의 농경지에 연간 6천만㎥의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진주시와 사천시의 상수도를 공급하고 1만 2,600㎾의 전력도 공급한다.
댐의 높이가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지만 효용은 어마어마한데, 당장 진주시, 함안군, 의령군 일대를 괴롭히던 홍수 문제가 완전히 사라졌다.[1] 또한 남강 인근의 늪지대가 개간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남강댐 건설 이전에는 남강에서 역류한 홍수가 수km 밖에 있는 의령군 의령읍과 함안군 가야읍을 뛰어넘어 함안면까지 솟구쳐올라왔을 정도. 지금도 큰 태풍이 오면 가야읍 검암리 인근까지는 수위가 차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평상시에 댐을 횡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봄철 행사가 있을 때 한시적으로 개방한다.
남쪽의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에서는 남해로 흘러나가는 가화천(가화강)[2]이 발원하는데, 원래 남강과는 산줄기로 분리돼 수계가 달랐으나 남강댐을 건설하면서 산줄기를 절개해 두 수계를 연결시키고 그쪽에도 수문을 설치해 놓아서, 본류 방향은 수문 3개, 가화천 방향은 수문 12개이다.[3]
2. 교통
도로교통은 대전통영고속도로 서진주IC를 이용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진주시 시내버스 진양호 권역 노선(백의 자리 2 또는 십의 자리 2)이 댐 동쪽 진양호공원 입구를 회차지로 삼기 때문에 진주 시내 어디서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3. 관광
이 댐의 조성으로 인공호수인 진양호가 생겼으며, 이 일대가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이곳 참조.댐 아래에는 진주시 어린이교통공원(넓은 공터)이 있어 어린이들이 무료로 교통안전 체험을 할 수 있다. 댐 서쪽에는 노을공원과 물문화관, 진주시능력개발원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인 수달이 서식한다고 한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 | 낙동강 수계의 댐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 낙동강 | |||
낙동강하구둑 부산광역시 강서구 | 안동댐 경상북도 안동시 | |||
성덕댐 경상북도 청송군 | ||||
밀양강 | ||||
밀양댐 경상남도 밀양시 | 운문댐 경상북도 청도군 | |||
남강 | ||||
남강댐 경상남도 진주시 | ||||
황강 | ||||
합천댐 경상남도 합천군 | ||||
금호강 | ||||
영천댐 경상북도 영천시 | 보현산댐 경상북도 영천시 | |||
동화천 | ||||
공산댐 대구광역시 동구 | ||||
용계천 | ||||
가창댐 대구광역시 달성군 | ||||
위천 | ||||
군위댐 대구광역시 군위군 | ||||
내성천 | ||||
영주댐 경상북도 영주시 | ||||
반변천 | ||||
임하댐 경상북도 안동시 | ||||
태화강 | ||||
대곡댐 울산광역시 울주군 | 사연댐 울산광역시 울주군 | |||
수영강 | ||||
회동댐 부산광역시 금정구 | ||||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진주8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성동 | 진주성 | 의암 |
판문동 | 남강로 | 진양호 | |
대곡면 | 남강로 | ||
가좌동 | 새벼리 | ||
망경동 | 망진산 봉수대 | ||
상봉동 | 비봉산 | ||
진성면 | 월아산 | }}}}}}}}} |
[1] 댐에 물을 가둬놓아 함안, 의령 쪽으로 홍수가 밀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후술할 가화천 방수로 덕분에 진양호가 넘치더라도 함안, 의령을 거치지 않고 바로 남해로 방류시킬 수 있기 때문.[2] 사천시 곤양면 가화리에서 따왔다.[3] 사실 수문을 설치해놓은 정도가 아니라 가화천쪽 수문이 남강댐에 설치된 수문보다 훨씬 규모가 더 크고 아름답다. 즉 남강 본류 방향으로는 남강 본류의 수량 유지와 수력발전을 위한 최소한의 방류만 진행하고 제대로 된 수위조절은 이쪽에서 진행하는 셈. 다만 장마철 방류 시에는 본류 방향과 가화천 방향으로 둘 다 수문을 열고, 엄청난 폭우가 오면 본류 방향으로도 방류량을 늘린다. 2020년 폭우 때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