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1 21:42:28

수영강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진강 · 두만강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반포천 · 보성강 · 보통강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재령강 · 정안천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사로베츠가와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가와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 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 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 강 · 허드슨 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 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 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 강 · 스와니 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수영강
水營江 | Suyeong River
파일:attachment/Centum_City_river.jpg

1. 개요2. 상세3. 교량 및 지류 목록
3.1. 수영교

1. 개요

부산광역시동부를 흐르는 하천이다. 부산에서 낙동강 말고 이라는 이름이 붙은 네 개의 하천 중 하나이다. 나머지 셋인 서낙동강, 맥도강, 조만강은 전부 강서구에 있고 낙동강의 지류 취급이라 인지도가 떨어지는 관계로 낙동강과 수영강을 부산의 둘 뿐인 강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다. 서부산낙동강이 있다면 동부산에는 수영강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2. 상세

발원하는 곳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용천산의 동양골이라고도 하고 양산시에 있는 천성산이라고도 한다. 인터넷상에도 두 설이 모두 검색된다[1]. 사실 두 곳 모두 수영강으로 물이 유입하는 건 같다. 아무튼 물줄기가 모여 남쪽으로 흐르면서 철마천, 노포천, 석대천, 온천천 등의 지류와 합류해 꽤 큰 강이 되어 동해 수영만으로 흘러든다. 행정구역상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 수영구(수영동 일대), 해운대구, 경상남도 양산시 등을 그 유역으로 한다. 길이는 30km이다.

옛날에는 사천이나 영천[2]으로 불렸다. 1652년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경상좌수영)이 설치되면서 수영강으로 불리게 되었다. 상류에 회동수원지가 만들어져 있다. 주요 교량으로는 철마교, 두구교, 과정교, 좌수영교, 수영교, 수영2호교 등이 있으며,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이 강을 건넌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민락역~센텀시티역부산 도시철도 4호선 금사역~반여농산물시장역 구간이 이 강 하부를 통과하며 동해선은 교량으로 통과한다. 그 교량에 부산원동역이 있다. 번영로 금사~원동 구간이나 수영강변대로 전 구간, 좌수영로 과정교~수영교 구간 등을 이용하면 이 강을 조망해볼 수 있다.

하류의 해운대구 쪽에는 차례로 센텀시티, 광안대교의 동쪽 입구, 수영만요트경기장[3], 그리고 마린시티가 위치해 있다. 별로 큰 강은 아니지만 2000년대 이후 부산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른 해운대구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는 강. 기장군을 제외한 부산의 여타 시가지에서 해운대구로 가려면 반드시 수영강을 건너야 하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매우 많다. 따라서 그리 긴 강도 아닌데도 수영강을 지나는 다리가 해운대구 안에서만 세어도 10개가 넘는다. 여담으로 수영강을 경계로 센텀시티가 시작되기 때문에 동래구나 연제구, 수영구에서 지하철이 아닌 지상 교통수단으로 해운대로 들어갈 때는 강을 경계로 정확히 도시 전체의 건축양식이 통째로 바뀌어버리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부산시가 이곳을 수상레저 지구로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2020년 11월부터 APEC 나루공원에서 출발해 수영강과 민락수변공원을 오가는 해운대 리버크루즈가 운항하기 시작했다.#

강변을 따라 매우 훌륭한 산책로와 자전거길이 조성되어 있다. 언덕과 산지가 많은 부산 특성상 낙동강, 온천천 등과 함께 자전거를 편하게 탈 수 있는 몇 안되는 길이다. 풍경도 매우 훌륭한데, 왼쪽을 보면 센텀시티, 오른쪽을 보면 마린시티, 앞쪽을 보면 드넓은 바다와 광안대교라는 정신 나간(...) 풍경을 자랑한다. 이렇다 보니 바다와 마천루를 동시에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성지순례 급의 산책로이다.[4]

물이 탁하고 수질이 그렇게 좋진 않기 때문에(2~3급수 정도라고 한다.) 수영할 수는 없지만(...)수영강엘 왔는데 왜 수영을 못해 숭어와 같이 기수 지역에 분포하는 물고기들이 살 수 있는 정도는 된다. 은근히 이곳에서 낚시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낚시 금지 구역이다

동해 바다에 속하는 수영만에 면해 있어서 조석 간만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것 같지만, 남해 경계선(오륙도)과 그리 멀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만조일 때는 주변 산책로로 물이 넘어들어와서 사람이 다닐 수 없을 정도로 바닷물이 차 오른다.

과거에는 매년 여름마다 집중호우,태풍[5]로 인하여, 수영강이 범람하면 세월교가 침수되어 반여4동 주민들이 반여1동 으로 갈 때 멀리 안락동 방향으로 우회해야 했으나, 반여삼어교가 개통되면서 우회할 필요가 없어졌다.

대략 2018년까지 쓰인 노란색 표지의 초등학교 사회과부도에는 어째서인지 수영강이 수궁강이라고 표시되어 있다.(아마 營과 宮을 헷갈린 것 같다.)

3. 교량 및 지류 목록 [참고]

수영강의 발원지로 추정되는 천성산 또는 용천산의 합류부부터 작성됐다. 하천이 흐르는 방향 기준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다.
두명제2교 인근(합류부 추정지)
웅상대로 임곡마을회관
방면
임곡2호교
(도로명 없음)
백운암
방면
임곡교 북쪽
(하천지류)
임곡천(가칭) 백운암
방면
웅상대로 임곡버스정류장
방면
임곡교
(임곡1길)
백운암
방면
웅상대로 임곡버스정류장
방면
황다리교
(도로명 없음)
백운암
방면
비담골천(가칭) 큰번데기산
(독사비담골)
방면
황다리교 서쪽
(하천지류)
웅상대로 법기교차로
방면
백운산교(가칭)
(백운산길)
백운산
방면
법기천 법기저수지(천성산)
방면
법기리 1037-42 남쪽
(하천지류)
창기마을
방면
임기교(가칭)
(도로명 없음)
임기리
방면
울산역
방면
임기1철교(가칭)
(경부고속선)
부산역
방면
임기마을입구교차로
방면
임기교
(철마삼동로)
부산선도농장
방면
임기교 남서쪽
(하천지류)
임기천 임기리(상곡)
방면
영천초등학교
방면
임석교
(도로명 없음)
철마면 송정리
방면
부산역
방면
여락철교(가칭)
(경부고속선)
울산역
방면
여락송정로 영천사거리
방면
철마교
(여락송정로)
여락송정로 송정리교차로
방면
송정리 608-6 남서쪽
(하천지류)
송정천 송정리
방면
중앙대로 금정화훼단지
방면
두구교
(두구로)
두구동
방면
중앙대로 남광사회복지회
방면
한물교
(체육공원로399번길)
스포원파크
방면
노포JC
방면
수영강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금정IC
방면
수영강교 남쪽
(하천지류)
임석천 세척소류지
방면
갈맷길
방면
신천교
(체육공원로)
금정IC
방면
신천교 남쪽
(하천지류)
신천안골천 신천소류지
방면
갈맷길
방면
갈매교(가칭)
(보행로)
선동잔디구장
방면
하정천 동래베네스트GC
방면
호두술산 서쪽
(하천지류)
선동상현마을
방면
선동교
(상현로)
장전리
방면
회동수원지 동쪽
(하천지류)
철마천 철마면
방면
회동댐(가칭)
(소수력발전소)
번영로 회동교차로
방면
회동2교
(정관산업로)
금정IC
방면
회동초교
방면
회동교
(개좌로239번길)
건설안전시험사업소
방면
회동초교
방면
동대교
(개좌로)
부산회동석대
도시첨단산업단지
방면
회동동·금사동
방면
석대산단교
(도로명 없음)
부산석대2
도시첨단산업단지
방면
번영로 회동교차로
방면
석대고가교
(수영강변대로)
반여농산물시장역
방면
금사역
방면
동천교
(반송로)
반여농산물시장역
방면
반여농산물시장 서문 서쪽
(하천지류)
석대천[7] 반송동
방면
삼어로
방면[8]
반여삼어교
(수영강변대로)
수영강변대로(중리)
방면
반여4동
방면
세월교
(도로명 없음)
아시아선수촌
방면
번영로
방면
원동IC교(가칭)
(원동IC로(가칭))
원동IC교차로
방면
충렬대로 안락역
방면
원동교
(충렬대로·해운대로)
해운대로 재송역
방면
안락역·부전역
방면
원동철교 [9]
(동해선·동해선 광역전철)
재송역·센텀역
방면
온천천 범어사
방면
수영환경공원 북동쪽
(하천지류)
고분로 연산9동
방면
과정교
(도로명 없음)
재송역·한진택배
방면
좌수영로
방면
좌수영교
(센텀북대로)
센텀역·부산극동방송
방면
수영로 민락역
방면
수영교
(센텀남대로)
벡스코역·센텀시티역
방면
민락동
방면
민락교
(광남로)
수영강변대로·해운대해변로
방면
부경대학교
방면
광안대교
(광안대로)
센텀시티, 벡스코역
방면
동해

3.1. 수영교

현재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연결하는 다리는 1993년에 개통한 민락교, 2008년에 재개통한 수영교, 2004년에 개통한 좌수영교 그리고 연제구와 해운대구를 연결하는 다리는 2011년에 개통한 과정교 등 총 4개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광안리, 수영교차로 일대에서 해운대를 오고가려면 하나뿐인 수영교를 건너야 했다.

민락교[10]는 언제 건설되었는지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가 없으나, 1930년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1959년에 왕복 2차로로 확장되어 재가설 되었으며, 1977년에는 민락교 옆에 왕복 4차선 규모의 수영교를 준공하였다. 노후화로 인해 수영교는 32톤 이상의 차량 통행을 금지시켰으며 민락교는 차량통행을 금지시켜 1995년. 바로 옆에 왕복 2차선 규모의 화물전용 임시가교를 건설하여 개통하였다. 결국 노후화로 인해 교량 3개를 모두 철거하고 왕복 8차로 규모의 교량을 건설하고 교량명칭을 수영교로 변경하여 2008년 현재의 모습으로 재개통되었다.


[1] 복천박물관의 특별전시 '수영강에서 꽃핀 부산문화'에서는 수영강의 발원지를 천성산으로 설명했다. 반면 카카오맵에서는 용천산쪽이 수영강이라 나온다.[2] 부산과 경계를 접하고 있는 양산시 동면 영천마을의 이름도 여기서 따왔다.[3] 1988 서울 올림픽 요트 경기를 치렀다.[4] 센텀시티와 마린시티가 스카이라인이 워낙 미쳐서 그렇지, 수영구 쪽도 결코 스카이라인이 뒤지지 않는다. 그야말로 사방이 마천루 천국이라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곳이다.[5] 1991년 글래디스가 정점[참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일 경우 수영강을 아래로 건너기 때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7] 반여농산물도매시장 구간이 복개되었다[8] 분기 지점에 회전교차로가 존재하는데, 차량 크기에 따라 진행 경로가 다르므로 유의 바람.[9] 교량 위에 부산원동역이 위치한다.[10] 현 수영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