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5:47:48

차마고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KBS의 다큐멘터리}}}에 대한 내용은 [[차마고도(다큐멘터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차마고도(다큐멘터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차마고도(다큐멘터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인터넷 방송인 미레야의 옛날 닉네임}}}에 대한 내용은 [[미레야]]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레야#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미레야#|]]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KBS의 다큐멘터리: }}}[[차마고도(다큐멘터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차마고도(다큐멘터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차마고도(다큐멘터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인터넷 방송인 미레야의 옛날 닉네임: }}}[[미레야]]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레야#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미레야#|]]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실크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4A0><colcolor=#FFF> 역사 서역
사건 탈라스 전투 · 정화의 대원정 ·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복
인물 누란의 미녀 · 소하공주 · 처용
탐험가 장건 · 니콜로 폴로 · 마페오 폴로 · 마르코 폴로 · 정화 · 페드루 알바레스 카브랄 · 페르낭 멘데스 핀투 · 야쿱 벡 · 피에르 사보르냥 드 브라자 · 스벤 헤딘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고구려-돌궐 관계 · 신라-중동 관계 · 중앙아시아-만주 관계
문화 쌍화 · 호선무
주요 도시 경주시 · 뤄양시 · 시안시 · 사마르칸트 · 부하라 · 바그다드 · 이스탄불
지류 차마고도
민족 소그드인 · 색목인 }}}}}}}}}

파일:external/images.mafengwo.net/tea_map.jpg

1. 개요2. 외국인이 가려면

1. 개요

,

중국티베트을 교환하기 위해 개통된 동아시아남아시아의 주요 교역로.[1] 중국과 티베트, 네팔, 인도를 잇는 육상 무역로이기도 하다.

해발 4,000m가 넘는 험준한 길과 눈 덮인 5,000m 이상의 설산과 아찔한 협곡을 잇는 이 길을 통해 운남의 명물인 차 외에도 성도의 명물인 비단의 수출로였고 말, 소금, 약재, 곡식 등의 다양한 물품의 교역도 이루어졌으며 여러 이민족문화종교와 지식이 교류되었다.

이 길은 실크로드의 전성기보다 200여 년이나 앞선 기원전 2세기 이전부터 존재한 고대의 무역로로 알려져 있다.[2]
"신(장건)이 대하(박트리아)에 있을 때 공(邛)에서 생산되는 죽장(竹杖)과 촉(蜀)에서 나는 베를 보고 어디서 얻었느냐고 물었습니다. 대하 사람들이 대답했습니다.

『우리 나라 상인들이 신독(身毒; 신드)의 시장에서 사온 것입니다. 신독은 대하의 동남쪽으로 수천 리 떨어져 있습니다. 그 풍속은 정착생활을 하고 대체적으로 우리 대하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날씨는 불순하고 습하며 여름에는 몹시 덥다고 했습니다. 그 백성들은 코끼리를 타고 싸웁니다. 그 나라에는 아주 큰 강이 흐르고 있습니다.』

신 건(騫)이 추측해본 바, 대하는 우리 한나라에서 서남쪽으로 1만 2천 리 정도 떨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날 신독국은 대하에서 다시 동남쪽으로 수천 리 떨어져 있고 또 촉에서 만든 물품들이 있으니 아마도 촉에서는 그리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지금 바로 대하로 사자를 보낸다면 강(羌) 족의 영토를 지나야 하는데 길이 험할 뿐 아니라 강족이 매우 싫어할 것입니다. 또 북쪽으로 조금 돌아간다면 흉노에게 잡히고 말 것입니다. 촉으로 곧바로 간다면 길도 가깝고 도중에 도둑 걱정도 없을 것입니다."- 사기 대완열전

그러나 고대에 해당 지역의 원주민들은 이웃한 중국인들과 일용품을 교환한다는 개념만 있었을 뿐 무역을 통해 대규모 수익을 창출한다는 개념까지는 갖추지 못하였다. 이후 중앙아시아 신장 지역을 통한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해당 지역 무역은 중요도가 감소하고 송나라 시점 이후에야 다시 번성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차 재배가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고 티베트인들이 말을 수출하고 차를 수입하는 무역을 시작하고 나서야 차마고도 무역이 활발해졌다고 한다.

차마고도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차마고도가 시작되는 중국윈난성 지역은 보이차의 특산지로도 유명하다.

KBS 다큐에서 다룬 쓰촨성 서부의 티베트 마방(상인단)은 고산지역 특산품(송이버섯, 야크버터 등)을 말 등에 싣고 남쪽 윈난성까지 가서 현지에서 팔고, 그 곳에서 고산지대에서 구하기 힘든 여러 생필품을 구입해 다시 티베트로 돌아간다. 이 외에도 티베트 마방들은 남쪽으로는 네팔을 거쳐 인도까지 내려가거나 서쪽으로는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쪽으로 가기도 했지만, 이 경로는 중인 국경분쟁이나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으로 제작 당시(2006-7년. 2025년 현재도 상당히 위험하다.) 매우 위험했기 때문에 당연히 KBS 다큐에서는 담지 않았다. KBS 다큐에서 다룬 경로는 그나마 중국이 관할하고 있는 영역이라서 치안이 유지되는 곳이었다.

KBS 다큐 제작 당시까지만 해도 티베트의 접근 경로가 거의 차단되어 있어서 현지는 티베트 고유의 풍습을 잘 간직하고[3] 현지인들은 중국어를 거의 하지 않고 티베트어로만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2023년 기준으로 티베트에 여러 도로가 뚫리고 철도가 개통되면서 중국인들이 몰려오면서 중국화가 진행중이며 이렇게 티베트 문화가 사라져가는 모습은 중국 현지에서조차 우려하는 형편이다. 이렇게 험한 길을 오가며 상업활동을 하는 마방도 이제 더이상 활동하기 힘들어졌다. KBS 다큐 1부 말미에서도 도로가 건설되고 있는 현장을 마방이 지나가면서 이런 모습은 역사속으로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2. 외국인이 가려면

차마고도 끄트머리인 쓰촨성, 윈난성은 허가가 필요 없지만 티베트 자치주를 외국인이 여행하기 위해서는 티베트 자치주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중국으로 입국하는데는 비자가 필요하지만 이곳은 따로 티베트 입경허가서가 필요하다. 중국 비자는 중국 외교부 발행이지만 티베트 입경허가서는 티베트 자치주가 발행하는 것이며 소요시간은 8-9일 정도 걸린다. 다만 티베트 입경허가서만을 가질 경우에 여행경로도 거얼무에서 라싸로 들어가는 칭짱공로나 철도(칭짱철도), 비행기만을 이용하게 되어 있다. 이 경로 이외로 티베트를 여행하려면 "외국인 여행증(外国人旅行证)"이 따로 필요한데 중국 경찰이 발행하는 것이며 2000년대부터는 이전에 있던 네팔쪽 에베레스트산 등반로를 대체하여 중국쪽으로 접근하는 북쪽 등산로를 이용하려는 외국인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최근에는 어렵지 않게 나온다. 신청자가 티베트 입경 허가서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신청자가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다면 외국인 여행증은 몇시간 만에 나온다. 라싸를 제외한 티베트의 일반 지역을 한국인이 여행하려면 중국비자, 티베트 입경허가서, 외국인 여행증 세 가지가 필요하다.

개인이 이런 허가서를 다 받으려면 매우 번거롭지만, 실제로 단체여행의 경우 중국이 허가한 여행사를 통하면 여행사가 다 알아서 발급받아주기 때문에 쉽게 여행할 수 있다.# 개인 여행은 단체여행보다는 까다롭기는 하지만 중국 당국이 안보나 소수민족 때문에 민감하게 여기는 취재 목적이 아니라 단순 여행이라면 중국 내외에 대행업체가 많기 때문에 그다지 어렵지 않다.#[4] 다만 인도와 대치하고 있는 분쟁 지역은 따로 중국 국방부에서 발행하는 보안 허가서가 필요하다. 이것은 시간이 10~15일 정도로 매우 오래 걸리고, 정세가 험악해지면 허가가 아예 떨어지지 않는 곳이지만, 애당초 이곳은 자국인도 접근이 제한된 곳이다.
파일:external/img0.dili360.com/wKgBzFQ20BmAa8R9AAhRW27IdF0433.jpg
KBS 다큐 차마고도 1부에서 티베트족 마방(상인단)이 차마고도의 험준한 경로를 지나는 모습

다만 매우 험난한 기후와 지형을 감안해야 하며, 인적이 드문 곳을 여행하다가 조난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곳은 해발고도가 매우 높은 고산, 고원지대이다 보니 밤에는 춥고, 5-6월에도 눈이 내린다. 낮이 매우 짧으므로, 처음 가는 사람은 길을 잃을 확률이 매우 높다. 외국인 여행금지구역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이곳에 가본 외국인은 거의 없는데, 애당초 이곳은 현지인이 아니면 중국인들도 단체여행이 아니면 자연환경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가기 힘든 곳이다. 실제로 중국웹에 적혀 있는 단체관광 여행기를 보면, 자연환경은 입을 벌어지게 만드는 곳이지만, 여행 자체는 매우 힘든 곳이라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물이 거의 없어서 식수는 직접 가져가거나 현지에서 다시 끓여야 하며 (샘물이나 눈 녹인 물을 먹으면 배탈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비교적 짧은 3-4일 단체여행을 하는 와중에도 화장실도 따로 없어서 자연에서 직접 볼일을 봐야 하고 물이 희귀해 볼일 보고 손씻기도 힘드니 베어 그릴스나 다름 없다.

차마고도를 가볍게 경험해 보고 싶다면 호도협을 다녀오는 방법도 있다. 중국에서 관광지로 개발을 잘해놓은 덕분에 접근성도 나쁘지 않다. 윈남성 리장 공항에서 2시간 정도 차로 이동하면 갈 수 있으며 길도 잘 닦여 있다. 호도협은 윈난성 옥룡설산과 하바설산 사이의 깊이 2,000m 정도의 계곡으로 옛 차마고도의 일부이며 여기서 택시를 타면 중도객잔까지 30분이면 갈 수 있다. 코스의 고도는 2,000~2,500m 사이로 2박3일 트래킹 코스부터 중간중간의 객잔부근만 2시간 정도 가볍게 트래킹하는 코스까지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며 이 정도만으로도 눈앞에 펼쳐진 4~5,000미터급의 설산들과 아찔한 절벽까지 그 아름다움을 충분히 즐기고 올 수 있다. 트래킹 코스 자체의 고도도 2,500미터 이하로 고산병을 걱정해야할 수준도 아니니 도전해 볼 만 하다.

세계테마기행에서도 차마고도를 방문하는 에피소드들이 존재한다. 물론 윈난성을 통한 차마고도 일부 지역을 방문하거나, 특별한 경우 한정이다.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 4에서도 네팔과 티베트를 포함한 여러 소수민족을 찾아 떠나는 차마고도 여행기를 다룬다.


[1] 티베트를 중앙아시아로 간주할 경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를 연결하는 교역로가 된다.[2] 왜 전성기냐고 하냐면 실크로드 자체는 차마고도와 비슷한 시기에 이미 존재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차마고도보다 약간 북쪽에 '하늘의 길'이라 불리는 칭하이 호 남쪽에서 쿤룬 산맥을 가로질러 가는 길도 존재한다.[3] 티베트 고유의 일처다부제 풍습도 다큐멘터리에서 보여준다. 형제가 한 여자와 결혼하는 것이다.[4] 특히 네팔측이 2010년대 에베레스트산 입산료를 대폭 올렸기(2만~3만불) 때문에, 저렴하고 보다 수월한 중국쪽 입산로로 가려는 사람도 늘어났으나, 중국측도 2019년에 엄청나게 올려서 네팔이랑 비슷해졌다.(2019년 시세로 15000불인데 네팔측 시세를 보면서(...) 계속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