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4 20:20:25

찰스 스콧 셰링턴

주요 상훈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a0c2f>
파일:왕립학회 휘장.svg
역대 왕립학회장 (PRS)
{{{-2 {{{#fff
List of Presidents of the Royal Society}}}}}}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6f263d,#white {{{#!folding ⠀[ 17세기 ]⠀
{{{#!wiki style="margin: -0px -10 -5px 0"
<rowcolor=white>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윌리엄 브롱커 조지프
윌리엄슨
크리스토퍼 렌 존 호킨스 시릴 위체 새뮤얼 피프스 존 본
<rowcolor=white>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토머스 허버트 로버트
사우스웰
찰스 몬태규 존 소머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6f263d,#white {{{#!folding ⠀[ 18세기 ]⠀
{{{#!wiki style="margin: -0px -10 -5px 0"
<rowcolor=white>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아이작 뉴턴 한스 슬로언 마틴 폴크스 조지 파커 제임스
더글러스
제임스 버로우 제임스 웨스트
<rowcolor=white>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임스 버로우 존 프링글 조지프 뱅크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6f263d,#white {{{#!folding ⠀[ 19세기 ]⠀
{{{#!wiki style="margin: -0px -10 -5px 0"
<rowcolor=white>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
험프리 데이비 데이비스
길버트
오거스터스
프레더릭
스펜서 콤프턴 윌리엄 파슨스 존 로츨리
<rowcolor=white>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벤저민 콜린스
브로디
에드워드 사빈 조지 비델
에어리
조지프 돌턴
후커
윌리엄
스포티스우드
토머스 헨리
헉슬리
조지 스토크스
<rowcolor=white>
제36대
제37대
윌리엄 톰슨 조지프 리스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6f263d,#white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0px -10 -5px 0"
<rowcolor=white>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윌리엄 허긴스 존 윌리엄
스트럿
아치볼드
게이키
윌리엄 크룩스 조지프 존 톰슨 찰스 S. 셰링턴 어니스트
러더퍼드
<rowcolor=white>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프레더릭
G. 홉킨스
윌리엄 헨리
브래그
헨리 핼릿 데일 로버트 로빈슨 에드거
에이드리언
시릴 노먼
힌셜우드
하워드 플로리
<rowcolor=white>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패트릭 블래킷 앨런 로이드
호지킨
알렉산더
R. 토드
앤드루 헉슬리 조지 포터 마이클 아티야 에런 클루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6f263d,#white {{{#!folding ⠀[ 21세기 ]⠀
{{{#!wiki style="margin: -0px -10 -5px 0"
<rowcolor=white>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로버트 메이 마틴 리스 폴 너스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아드리안
스미스
}}}}}}}}}}}} }}}

1932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rowcolor=#fff> 1931년 1932년 1933년
오토 하인리히 바르부르크[1] 찰스 스콧 셰링턴
에드거 더글러스 에이드리언
토머스 헌트 모건[2]
}}} ||
<colbgcolor=#000000> 찰스 스콧 셰링턴 경
Sir Charles Scott Sherrington
OM[3] GBE FRS[4] PRS[5] FRCP FRCS
파일:455px-Charles_Scott_Sherrington1.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생리학·의학상|{{{#white 1932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857년 11월 27일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런던, 이즐링턴
사망 1952년 3월 4일 (향년 94세)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서식스, 이스트본
분야 생리학, 세균학
학력[6] 입스위치 스쿨
영국 왕립 외과 의사 대학 (RCS)[7]
케임브리지 대학교, 곤빌 앤 키즈 컬리지
(B.A. / 1880년 – 1883년)
경력 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
(교수 / 1886년 – 1895년)
리버풀 대학교
(교수 / 1895년 – 1914년)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 1914년 – 1935년)
제43대 왕립학회장 (PRS)
(1920년 – 1925년)
수상 왕립학회 회원 (1893년)
로열 메달 (1905년)
코플리 메달 (1927년)
노벨생리학·의학상 (1932년)

1. 개요2. 연구3. 여담

[clearfix]

1. 개요

1857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그는 어릴 때 부터 무언가를 연구하고 수집하는 것을 좋아했다. 하지만 그의 집안은 가난했고 그는 이러한 집안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 19살 때 세인트 토마스 병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의학을 배우면서 그는 이와 연관된 생리학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에스파냐, 이탈리아 등의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콜레라백신을 연구하는 등 그는 연구생활을 이어 나갔으며 1885년에는 베를린에서 병리학자인 루돌프 피르호 교수와 같이 연구 생활을 했다. 그 뒤 다시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세인트 토머스 병원[8]의 생리학 교수를 위임받아 강의를 하기 시작했으며 1904년까지 무려 77편의 논문을 출판하는 등 끊임없는 연구 생활을 계속했다.

1914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교수 한명이 사망하자 그 자리를 메꾸기 위해 대학교로 가서 교수직을 위임받았으며 1932년에는 에드거 더글러스 에이드리언과 함께 뉴런의 기능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 뒤로 연구를 계속하다 79세에 은퇴하고 1952년 급성 심부전증으로 사망한다.

2. 연구

그는 뉴런을 자극하면 그 결과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밝혔으며 동일한 자극일지라도 적용되는 뉴런의 종류가 다르면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뉴런이 모여있는 중추기관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을 밝혀냈으며 그 동시에 뉴런은 자극을 받으면서도 이를 전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밖에도 그는 각각의 뉴런들을 연구하고 실험 대상자에게 동일한 자극을 가한 다음 나타나는 반응을 수치화 시켜서 반사에 대한 연구를 행했다. 실험 과정에서 그는 근육의 경우 여러 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1/3이 원심성 뉴런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여러 뉴런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강도로 이완·수축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반사 작용이 뉴런의 중심부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3. 여담



[1] 사이토크롬 연구[2] 염색체유전자의 관계 규명[3] 메리트 훈장(The Order of Merit)[4] Fellow of the Royal Society (FRS)
왕립학회 회원
[5] President of the Royal Society (PRS)
왕립학회장
[6] The Nobel Prize – Sir Charles Sherrington Biographical[7] 위키피디아[8] 現 킹스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GKT School of Medical Education)의 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