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4 20:20:44

프랜시스 골턴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프랜시스 골턴 경
Sir Francis Galton
FRS[1] FRAI[2]
파일:Sir-Francis-Galton.jpg
<colbgcolor=#000> 국적 <colbgcolor=#fff,#1f2023>
[[영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822년 2월 16일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웨스트 미들랜즈, 버밍엄
사망 1911년 1월 17일 (향년 88세)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서리, 하슬미어
연구분야 인류학, 기상학, 유전학, 통계학, 심리학, 사회학, 지리학
소속 기상위원회 (Meteorological Council)
왕립지리학회 (Royal Geographical Society)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학력 <colbgcolor=white,#1f2023>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3]
(의학 / 1838년 – 1839년 | 1844년 – 복학 및 중퇴)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4]
(B.A. / 1840년 – 1844년) | (M.A. / 1847년)
옥스퍼드 대학교 (명예박사 / D.C.L.) (1894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박사 / Sc.D.) (1895년)
수상 파운더스 메달[5] (1853년)
로열 메달 (1886년)
헉슬리 메모리얼 메달 (1901년)
다윈-월리스 메달 (1908년)
코플리 메달 (1910년)
수훈 기사작위 (1909년)
}}}}}}}}} ||
1. 개요2. 생애3. 우생학

[clearfix]

1. 개요

영국 출신의 기상학자, 지리학자, 유전학자, 심리학자, 통계학자, 발명가. 빅토리아 시대를 대표하는 대학자다.

2. 생애

그의 할아버지는 의사이자 시인인 에라스무스 다윈(Erasmus Darwin)이고, 사촌이 찰스 다윈이다. 소위 말해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금수저다. 밑에 언급된 우생학을 생각하면 묘한 사실이다.

영국 버밍엄 스파크브룩(Sparkbrook)에서 출생했으며, 버밍엄의 에드워드 4세 그래머 학교를 16세까지 다녔다. 그 후 아버지의 권유로 버밍엄 병원과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의학을 공부하였다. 이후 1840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지 칼리지로 옮겨 수학을 전공한다. 1844년 학사 학위를 마친뒤 다시 킹스 칼리지 런던으로 돌아와 복학했으나 그 해 그의 아버지가 돌아가시게 된다. 이 일로 신경 쇠약에 걸리게 되고 의학 공부는 그만 두게 된다.[6]

이후 골턴은 아프리카 등지를 원정하면서 적은 견문록을 출간하였고, 왕립 지리학회의 회원이 되어 상을 수여받았다. 이 외에도 기상학에도 관심을 보여 일기도를 최초로 고안하였으며, 범죄자 식별을 위한 지문 감식법도 최초로 고안하였고 통계학에서 설명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검정하는 데 쓰이는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도 만들어냈다. 우생학 때문에 나쁜 평가가 많지만 이 회귀분석은 현대에 심층학습이 기반이 되는 방법이다.

3. 우생학

물론 이 외의 업적도 많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유전학의 분과로 알려져 있는 우생학(Eugenics)이다. 골턴은 찰스 다윈이 주장한 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아 자신의 연구 방향을 유전학진화론으로 돌렸다.

1869년에 우등한 사람은 환경이 아니라 유전으로 탄생한다는 이론을 제창한 논문 《Hereditary Genius》을 출판하였다. 1883년에 《Inquireies into Human Faculty and its Development》을 출판하고 같은 년도에 우생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1889년에 책 《Natural Inheritance》을 출판하여 유전의 통계적 방법을 논하였다. 그의 유지를 받아 우생학 연구회가 설립되었다. 물론 이 우생학은 21세기 들어와서는 쓰레기 이론으로 확정되었다.

골턴은 인종차별주의자였다. # 그의 친척인 찰스 다윈과 그리고 같은 시대 인물이었던 마크 트웨인 같은 명사들도 인종차별에 반대했는데도 지식인인 그가 오히려 학문적으로 인종차별을 강화하는데 일조까지 했다는 점에서 비난과 책임을 회피하기 힘들다. 물론 다윈과 마크 트웨인이 당시 기준으로 제법 진보적인 사람이기는 했지만.


[1] Fellow of the Royal Society. 왕립학회 회원.[2] Fellowship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3] 참고 자료
케임브리지에서 수학 후 다시 돌아와 학위를 마치려 했으나, 갑작스런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한 신경 쇠약으로 그만 둔다.
[4] 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문 데이터베이스 참고.
여담으로 1847년에 받은 석사 학위는 당시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관습에 따라 (학사를 완료한 사람에 한하여) 수여받은 것으로 골턴이 직접 석사 학위를 위한 학업을 이수하진 않았다.
[5] Founder's Medal
왕립지리학회에서 수여하는 최고 영예의 상
[6] Victorian Web - 프랜시스 골턴 자료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