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5:45:21

챔피언

챔편에서 넘어옴
1. 기원적 의미
1.1. 유래1.2. 확장된 의미1.3. 번역1.4. 여담
2. 경기나 싸움의 우승자
2.1. 잠정 챔피언2.2. 슈퍼 챔피언2.3. 리니얼 챔피언2.4.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3. 인명4. 회사
4.1. 한국의 탁구용품 회사 챔피언4.2. 일본의 아키타 쇼텐의 만화 잡지
5. 노래6. 영화
6.1. 2002년 영화 챔피언6.2. 2018년 영화 챔피언
7. 창작물에서
7.1. 포켓몬스터7.2. 리그 오브 레전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7.3. 던전앤파이터의 여성 스트라이커의 1차 각성명7.4. 드래곤 에이지 2의 주인공 커크월의 챔피언7.5. 배틀테크배틀메크 챔피언7.6. 오늘도 환생7.7. 패스파인더 RPG7.8. 또봇7.9. 마블 코믹스 엘더스 오브 더 유니버스의 일원 챔피언

1. 기원적 의미

Champion

기원적으로 대신 결투해주는 용사를 뜻하는 말이다. 오늘날에는 승리자, 정확히는 우승을 한 사람이나 선수권을 보유한 사람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어원은 라틴어로 "들판"을 의미하는 campus(캄푸스)이다.[1] 여기에서 '들판에서 싸우는 사람', 즉 전사를 의미하는 캠피오(Campio)라는 말이 파생되었고, 이는 불어의 '샹피옹'을 거쳐 영어인 챔피언이 되었다.

1.1. 유래

중세시대에는 결투 재판처럼 서로간의 상호 분쟁을 법이 아니라 1:1의 결투로 해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이때 대상자가 어린아이/여성/노인/장애인/환자 등 결투를 치를 능력이 없거나, 왕처럼 신분이 너무 높은 사람일 경우, 대전사 즉 대신하여 결투를 치러주는 직업적인 전사가 있었는데 이를 영어로 챔피언이라고 한다. 영주나 왕의 챔피언은 영지나 국가 중대사에 영향을 주는 위치에 서기도 한다.

이러한 대전사는 패배할 경우 결투 재판 당사자가 받아야 할 벌까지 대신 받게 되는 경우도 많았고, 보수를 받고 남 대신 싸워주는 역할이라 이래저래 천시되는 직업이었다.

하지만 언제나 천시되는건 아니고, '누구'를 대신해서 싸우냐에 따라 사정이 바뀔 수도 있다. 레이디에게 용기 있는 기사가 챔피언으로 나서는 경우도 있었으며, 혼란했던 중세 초기의 유럽에서는 영국 등의 몇몇 국가에서는 실력있고 명성있는 기사가 왕을 대신하여 싸우는 로열 챔피언(Royal Champion)을 맡기도 했다. 사실상 주군과 조국에게 충성을 바치고 여자와 약자들을 위해싸우는 고결하고 정의로운 기사의 이미지는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수 있다. 이들은 보통 대관식에서 완전 무장하고 왕의 황금 건틀렛을 든 채 왕의 앞에서 말을 타고 나가며 '왕위 계승에 이의가 있는 자'의 도전을 왕 대신 받는 역할을 맡았다.

시대가 안정된 뒤에는 형식적인 의례 및 왕의 경호역을 맡게 되었다.

이러한 결투 재판은 중세의 잔재로만 생각하기 쉽지만 오늘날의 변호사는 중세 결투 재판의 챔피언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2] 모든 사람이 다 충실하게 적 지식을 갖출 수 없으니 법 지식을 갖춘 자가 대신해서 발언해준다는 면에서 문자 그대로의 '대(代)전사'이다. 다만 현재의 변호사는 로마 시대나 중세의 advocatus ecclesiae와는 달리 고객에게 재판만이 아니라 법률 자문도 제공하는 등 업무의 폭이 매우 넓다.

1.2. 확장된 의미

'누군가를 대신해 싸워준다'는 점에서 믿음 등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 자를 뜻하기도 한다.

이런 기원의 영향으로 지지자나 옹호자의 뜻도 가지고 있다. 동사로 쓸 때도 '지지하다'라는 뜻이 있다. 단, 이때는 주로 단순한 지지보다는 특정한 인물, 단체나 사상을 위해 투쟁을 불사할 정도로 강하게 지지한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의미의 세기를 따지면 support는 물론 advocate보다도 강한 의미로 쓰인다.

이를테면 밀로스 포먼의 1984년 작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살리에리고해성사를 하는 신부에게 "나는 이 세상의 모든 평범한 사람들을 대변합니다. 나는 그들의 챔피언이오.(I speak for all mediocrities in the world. I am their champion.)"라고 했을 때 '챔피언'이란, 평범한 사람들을 이기고 차지한 제일 윗 자리 뭐 그런 뜻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을 위해 싸우는 투사, 대변자라는 뜻이다.

아래의 '승리자'의 의미 역시 이 기원적인 의미에서 확장된 것이다.

1.3. 번역

대신 싸워준다고 하여 대전사(代戰士)라고 번역한다. 그러나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결투 재판의 문화가 없었기 때문에 '대신 싸워준다'라는 개념 자체가 익숙하지 않고[3] '대전사'라고만 하면 大전사인 것으로 혼동될 여지가 있다. 때문에 용사로 번역되기도 한다. 번역으로 인해 의미가 지나치게 확장된 감이 있지만 JRPG의 용사는 대체로 신이나 왕, 귀족 등의 명령으로 대신해서 싸우는 존재로 나오기 때문에[4]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간혹 이런 용례로 쓰이는 champion을 한글로 그대로 챔피언이라고 음차해서 보도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김대중 대통령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용기있는 챔피언"이라고 하거나#, 코피 아난 UN사무총장을 "평화의 챔피언"이라고 하면서# 추모했다는 기사들이 있다. 그러나 영어와는 달리 한국어에서는 챔피언이라는 단어가 이러한 의미로 쓰이지는 않으므로 엄밀히 말하면 다의어를 잘못 번역하여 엄숙한 추모사를 우스꽝스럽게 들리게 만드는 오역이다. 이럴 때는 옹호자, 대변자 정도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1. 운동 종목 따위에서, 선수권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 2. 기술 따위에서, 실력이 가장 뛰어난 사람" 정도로만 설명하고 있다.

1.4. 여담

워크래프트 3 유저들 사이에서는 "피언이 힘이 세지면 참피온이다"라는 드립이 돌곤 했다. 2000년대 초반 웹툰 한 화로도 나온 적이 있다.

워크래프트 3에서는 영웅 유닛을 주로 hero(영웅)이라고 하지만 나이트 엘프 파수대는 챔피언이라고 한다. 한국어판 더빙에서는 '용사'로 번역되었다. 전사 메시지도 "Our/Our allied champion has fallen. (아군/동맹 용사가 쓰러졌습니다.)". 흥미롭게도 아래에서 보듯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도 워크래프트 3의 '영웅'(hero)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챔피언'이라는 표현을 쓴다.

'챔피언 전쟁'이라는 전쟁 유형도 있다.

2. 경기나 싸움의 우승자

토너먼트나 각종 경기의 우승자, 시즌제로 운영되는 스포츠의 시즌 최종 1위.

챔피언 쟁탈제를 취하고 있는 경우 챔피언 벨트를 놓고 벌이는 타이틀 쟁탈전에서의 승자를 말한다. 이 경우 보통 그 체급의 실질적인 1위다.[5] 쟁탈제에서는 도전자가 승리하면 챔피언을 이긴 도전자가 새로운 챔피언이 되고, 챔피언이 승리하면 챔피언 지위를 계속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놓고 방어전을 성공했다는 표현을 쓴다. 챔피언이라는 단어는 서양 중세시대부터 널리 쓰이기 시작했고, 그 당시 유일한 스포츠 경기인 마상창시합 우승자를 챔피언이라고 불렀다.

영어에서는 Winner, Victor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프로야구의 우승팀에게 챔피언임을 알리는 삼각형의 깃발을 수여하는 데 챔피언 페넌트라고 부르며, 프로야구의 정규시즌을 페넌트 레이스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국 프로야구의 경우 전 시즌 우승팀이 스코어보드에 게양되는 구단의 깃발 밑에 챔피언 페넌트를 추가로 단다. 일종의 훈장 비슷한 것이다.

FIFA 월드컵에서는 해당 월드컵 우승국을 지칭하며, 월드컵에서 챔피언이 되면 해당 팀 유니폼에 있는 해당 축구협회 마크 상단에 별을 하나 추가한다. 그리고 그 다음 월드컵에서는 디펜딩 챔피언의 자격으로 톱시드가 된다. 원래는 챔피언이 되면 그 다음 월드컵에서는 지역예선 없이 그냥 출전할 수 있었지만 2006 FIFA 월드컵 독일부터는 디펜딩 챔피언의 자동 진출 제도가 폐지되었다.

2.1. 잠정 챔피언

영어로는 Interim Championship. 복싱이나 MMA등 격투기 국제기구에서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다.

챔피언 쟁탈제에서 챔피언이 싸우는 경기는 대체로 최고의 흥행 카드가 된다. 하지만 챔피언이라고 해서 늘 싸워줄 수 있는 것이 아닌데, 챔피언이 건강 문제나 그 밖의 문제 때문에 시합에 나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흥행을 포기할 수는 없기 때문에 몇몇 단체에서는 이런 경우 적절한 선수에게 대결을 시켜서 '잠정 챔피언'을 만들게 된다.

잠정 챔피언은 챔피언이 경기에 복귀할수 있을 때까지 챔피언 지위를 대신하며, 경기에 복귀한 챔피언에게 가장 먼저 도전할 권리를 가진다. 챔피언이 복귀하면 챔피언에게 도전하여 지위를 통일하게 된다. 그리고 단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잠정 챔피언 상태에서 정규 챔피언을 꺾고 새로운 챔피언이 되면 잠정 챔피언 시절에 가졌던 방어전을 모두 그대로 인정받기도 한다. 또는 단체에 따라서는 챔피언의 의무방어전 대상이 되는 자격으로 상시 운영하기도 한다. 잠정 챔피언 개념이 없던 시절과 비교하면 랭킹 1위의 역할 쯤 되는 셈.

위 기원적 의미의 챔피언과 유사한 셈이다.

단, 프로레슬링에서는 잘 안쓰이는데 다른 컴뱃 스포츠와 달리 각본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자의적인 반납 또는 박탈로 처리하고 각본을 통해 챔피언을 새로 가리면 되기 때문.

2.2. 슈퍼 챔피언

세계 복싱 협회가 들고 나와 혼동을 준다며 욕을 먹은 제도다. 타이틀 방어를 오랜 기간 겁나 잘했다든지 타 기구와의 통합 챔피언이 된 선수를 슈퍼 챔피언으로 격상시켜줬는데, 여기에서 그쳤으면 다행이었겠지만 이 상태에서 정규 챔피언을 또 두었다. 한 체급에서 슈퍼 챔피언, 정규 챔피언, 잠정 챔피언을 동시에 돌린 적도 있다. 거기에 2019년에는 골드 챔피언 개념까지 추가로 들고 나왔으니 이쯤 되면 정신이 아득해진다. 어떤 상황에서 골드 챔피언을 돌리는지 제대로 된 설명도 없다. 이런 챔피언 타이틀의 남발이 WBA몰락의 원인이라고 보는 시각까지 있을 정도.

2.3. 리니얼 챔피언

주로 복싱에서 쓰이는 용어. 복싱 단체의 난립으로 공식 타이틀 벨트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복싱 팬들이나 복싱 관계자들이 인정하는 최강자와 실제 공식 타이틀벨트 소유자가 달라지는 현상이 벌어지게 된다.[6] 이 경우에 실제 그 바닥 최강으로 인정받는 선수를 리니얼 챔피언이라 부른다. 일례로 2011년 하반기의 플로이드 메이웨더 vs 빅토르 오르티즈전의 경우 WBC 챔피언 벨트는 오르티즈가 갖고 있었지만 대전료나 복싱계의 대접 모두 오르티즈를 언더독 취급했다.

현재는 미국의 복싱잡지인 '더 링' 에서 매기는 순위를 기준으로 하여 따진다.

2.4.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Undisputed Champion. '반박의 여지가 없는', '모두가 인정하는' 챔피언을 의미한다.

프로 복싱에서는 모든 메이저 기구의 타이틀을 통합한 챔피언에게 붙여지는 칭호이다.

3. 인명

4. 회사

4.1. 한국의 탁구용품 회사 챔피언

파일:챔피언(탁구 용품).jpg

4.2. 일본의 아키타 쇼텐의 만화 잡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년 챔피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노래

6. 영화

6.1. 2002년 영화 챔피언

곽경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억수탕 로고.png 파일:닥터 K 로고.png 파일:친구(영화) 로고.png
파일:챔피언(2002) 로고.png 파일:똥개(영화) 로고.png 파일:태풍(영화) 로고.png
파일:사랑(영화) 로고.png 파일:눈에는 눈 이에는 이(영화) 로고.png 파일:통증(영화) 로고.png
파일:미운오리새끼(영화) 로고.png 파일:친구2 로고.png 파일:극비수사 로고.png
파일:희생부활자 로고.png 파일:장사리 잊혀진 영웅들 로고.png 파일:소방관(영화) 로고.png
※ TV 드라마 제외 }}}}}}}}}

파일:2002년 영화 챔피언.jpg
2002년 한국 영화. 영화 친구로 대박을 친 곽경택이 메가폰을 잡고 김득구의 일대기를 영화화했다. 친구의 후광이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그럭저럭 흥행했다. 유오성, 채민서 주연. 참고로 영화를 베이스로 소설도 나왔다.

6.2. 2018년 영화 챔피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챔피언(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창작물에서

7.1. 포켓몬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챔피언(포켓몬스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리그 오브 레전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던전앤파이터의 여성 스트라이커의 1차 각성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트라이커(던전 앤 파이터)/여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4. 드래곤 에이지 2의 주인공 커크월의 챔피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크(드래곤 에이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바이오웨어의 RPG 드래곤 에이지 2의 주인공.

7.5. 배틀테크배틀메크 챔피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틀메크/종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0톤이다.

7.6. 오늘도 환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챔피언(오늘도 환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7. 패스파인더 R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챔피언(패스파인더 RP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8. 또봇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슬론 챔피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9. 마블 코믹스 엘더스 오브 더 유니버스의 일원 챔피언

인피니티 젬인 파워젬을 습득하여 어떤 행성에서 무자비한 싸움을 일삼던 전투광이다. 마침 젬을 탐색하던 타노스가 찾아와 파워젬을 얻기 위해 직접 싸움을 걸게 된다. 챔피언의 전투력은 타노스조차 헐크를 떠올리게 했는데, 그의 에너지 블래스트를 무시할 정도였으며, 도약하여 내리친 펀치로 행성마저 부술 정도로 강했다. 그러나 타노스는 행성 파괴 공격을 순간이동으로 피한다. 파괴된 행성의 잔해속에서 챔피언은 이긴줄 알고 우쭐대지만 타노스가 우주선을 타고 멀쩡히 나타난다.

타노스는 다른 행성으로 갈 능력이 없는 그를 다른 행성으로 데려다 주겠다고 제안하여 파워젬을 받기로 한다. 챔피언은 파워젬을 내놓는다. 그리고 타노스는 다른 행성으로 데려다 주는 척하면서 챔피언을 다른 행성으로 무방비하게 떨군다. 데려다준다했지 안전하게 데려다준다고는 안 했으니 틀린 말은 아닌 셈.


[1] 사전적 정의는 들판이지만 전장 등 대단히 많은 의미로 파생되었다. 이를 어원으로 한 단어는 캠퍼스, 캠프, 캠페인 등이 있다.[2] 엄밀히 말하면 변호사가 먼저 생기고, 중세시대에 결투 재판이라는 관습이 생기면서 챔피언이 등장했다.[3] 한국은 오랜 세월 문민 관료제가 정착해 있었고, 일본은 무력 투쟁의 시대가 있기는 했지만 막부 체계가 정립된 후 길거리에서 싸우면 당사자 모두 할복하는 것이 원칙이었다.[4] 이는 용사 문서에서 설명하듯 JRPG의 용사가 근본적으로는 기사 문학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사 문학의 기사는 실제 중세기사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으므로, 흔히 말하는 "쌍무적 계약 관계"에 따라서 왕에게 영지 지배권을 인정받는 대가로 전시에는 왕을 위해 싸워야 하는 의무가 있다. 즉, 모든 용사는 위에서 소개한 왕의 챔피언, 즉 로열 챔피언인 셈이다.[5] 권투 등 격투기의 경우 챔피언 밑에 랭킹 1위가 있는데, 이는 챔피언 다음가는 선수로 도전자 중 최우선순위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뜻한다. 흔히 넘버 원 컨텐더라고도 한다.[6] 예를 들어 A라는 선수가 챔피언 벨트를 갖고 있는데 엄청난 실력을 가진 B라는 선수가 혜성처럼 등장했다면 A라는 선수는 B라는 선수의 도전을 피하게 되므로 설령 B가 가장 강하더라도 챔피언 A가 도전을 받아주지 않으면 B는 챔피언이 되기 힘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