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21:13:01

철령

철령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곳에서 유래된 중국 랴오닝성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톄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산지
마천령산맥
<colbgcolor=#cccccc,#333333><colcolor=black,white> 백두산 (천지) · 북포태산 · 남포태산
고개 마천령 · 허항령 · 남설령
함경산맥
관모봉 · 투구봉 · 만탑산 · 괘상봉· 궤상봉 · 두류산
고개 금패령 · 마운령 · 황초령 · 후치령 · 부전령 · 함관령 · 북계수령 · 차유령
고원 개마고원
부전령산맥
북수백산 · 차일봉 · 두운봉 · 백산
낭림산맥
낭림산 · 희색봉 · 소백산
고개 아득령 · 검산령
강남산맥
연덕산 · 백암산 · 덕산 · 천마산
적유령산맥
백산 · 숭적산
고개 적유령 · 구현령
묘향산맥
묘향산
언진산맥
전체 언진산 · 자비령
멸악산맥
멸악산 · 장수산 · 구월산
마식령산맥
전체 천마산 · 마식령
기타
개연산 · 금강산 · 송악산 · 칠보산 · 오리산
고개 분수령 · 철령
둘러보기

산지 | | 하천 | 해안 | 온천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1. 개요2. 역사
2.1. 철령관
3. 이항복의 시조4. 관련문서

1. 개요

철령(鐵嶺)은 북한 강원도 회양군고산군 사이에 있는 고개다.[1] 높이는 685m. 북한의 원산-평강 1급 도로, 한국의 31번 국도로 넘을 수 있으며, 예부터 지금까지 중부 지방과 관북 지방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다.

2. 역사

후한서, 삼국지 동이전에는 기원후 30년에 광무제가 낙랑군 동부도위를 폐지하고, 단단대령 동쪽의 현들에 있던 거수들을 현후(縣侯)에 봉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단단대령이 오늘날 철령으로 비정되고 있다.

고려 공민왕쌍성총관부를 수복하면서 이 고개도 다시 고려 땅이 되었는데, 후에 원나라를 밀어내고 들어선 명나라가 고려에게 본디 철령 이북은 원나라가 다스렸으니 원나라를 밀어낸 자신들이 다스려야 한다며 철령위를 설치할 것이니 도로 내놓으라 한다. 당시 실권자였던 최영은 당연히 이런 궤변을 받아들일 리 없었고, 이는 곧 요동정벌로 이어졌다. 자세한 것은 위화도 회군 문서를 참고.

조선 시대부터 1945년까지 함경도강원도의 경계였다.

2.1. 철령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d2628>
파일:그림42134521345.png
한반도 및 만주 지역의
차단성 관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 color: #fff;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차단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rowcolor=#888>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요령성함경도평안도 함경도평안도
<rowcolor=#aaa> 연변장성
延邊長城
천리장성
千里長城
행성
行城
평안북도 황해남도황해북도 강원도 원산시
<rowcolor=#aaa> 대령강장성
大寧江長城
패강장성
浿江長城
북경장성 | 탄항관문
北境長城 | 炭項關門
황해북도 황주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충청남도 부여군
<rowcolor=#aaa> 극성
棘城
강화외성
江華外城
부여나성
夫餘羅城
전라남도 진도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용장성
龍藏城
모벌군성 | 관문성
毛伐郡城 | 關門城
제덕토성
薺德土城
부산광역시 동구 제주특별자치도
<rowcolor=#aaa> 초량설문
草梁設門
환해장성
環海長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folding [ 원문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rowcolor=#888> 전라남도 해남군 경상남도 통영시
<rowcolor=#aaa> 전라우수영원문
全羅右水營轅門
삼도수군통제영원문
三道水軍統制營轅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folding [ 목장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당진시
<rowcolor=#aaa> 살곶이목장성
箭串牧場城
창택곶목장성 | 작문재토성[?]
倉澤串牧場城 | -土城
맹곶목장성 | 웅포성[?]
孟串牧場城 | 熊浦城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보령시 전라남도 해남군
<rowcolor=#aaa> 매봉재목장성
鷹峰峙牧場城
토진곶목장성
土津串牧場城
황원곶목장성 | 송호리목장성
黃原串牧場城 | 松湖里牧場城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여수시
<rowcolor=#aaa> 계참곶목장성
界站串牧場城
절이도목장성
折爾島牧場城
곡화목장성
曲華牧場城
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남해군
<rowcolor=#aaa> 성두곶목장성 | 신기산성[?]
城頭串牧場城 | 新基山城
금산목장성
錦山牧場城
흥선도목장성
興善島牧場城
부산광역시 사하구 울산광역시 동구 경상북도 포항시
<rowcolor=#aaa> 오해야항목장내・중・외성
吾海也項牧場內中外城
방어진목장성 | 남목마성
魴魚津牧場城 | 南牧馬城
동배곶목장성 | 장기목장성
冬背串牧場城 | 長鬐牧場城
제주특별자치도
<rowcolor=#aaa> 하잣・중잣・상잣
下牆垣・中牆垣・上牆垣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영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평안북도
<rowcolor=#aaa> 정주관[천]
靜州關
의주관[천]
義州關
정융관[천]
定戎關
평안북도
<rowcolor=#aaa> 창주관[천]
昌州關
연주관[천]
延州關
청새관[천]
淸塞關
함경남도
<rowcolor=#aaa> 평로관[천]
平虜關
정주관[천]
定州關
선덕관[천]
宣德關
함경남도 평안북도 의주군 평안북도 삭주군
<rowcolor=#aaa> 원흥관[천]
元興關
살문령성[천]
箭門嶺城
대성령성 | 천마진성[천]
大城嶺城 | 天摩鎭城
평안북도 삭주군
<rowcolor=#aaa> 온정령성[천]
溫井嶺城
계반령성[천]
界畔嶺城
속사령성[천]
束沙嶺城
평안북도 창성군 평안북도 운산군
<rowcolor=#aaa> 대・소방장 | 막령진성[천]
大・小防墻 | 幕嶺鎭城
완항령성[천]
緩項嶺城
차령성 | 차령진성[천]
車嶺城 | 車嶺鎭城
평안북도 운산군 자강도 동신군 평안북도 천마군
<rowcolor=#aaa> 우현령성 | 우현진성[천]
牛峴嶺城 | 牛峴鎭城
적유령성[천]
狄踰嶺城
극성령성 | 안의진성
棘城嶺城 | 安義鎭城
평안북도 삭주군 평안북도 창성군 평안북도 위원군
<rowcolor=#aaa> 연평령성 | 창성외남문
延平嶺城 | 昌城外南門
자작령성 | 신성애
自作嶺城 | 新城隘
추령성
楸嶺城
함경북도 명천군 함경남도 홍원군 함경남도 영광군
<rowcolor=#aaa> 귀문관
鬼門關
대문령장성 | 고행성삼석문
大門嶺長城 | 古行城三石門
황초령성
黃草嶺城
황해북도 수안군 황해북도 신평군 황해북도 봉산군
<rowcolor=#aaa> 방원령성 | 문산진성
防垣嶺城 | 文山鎭城
검암령성 | 문성진성
檢巖嶺城 | 文城鎭城
자비령성 | 절령관
慈悲嶺城 | 岊嶺關
강원도 판교군 강원도 원산시 강원도 고산군
<rowcolor=#aaa> 방장치성
防墻峙城
노인치성
老人峙城
철령관
鐵嶺關
전라북도 전주시 경상북도 문경시
<rowcolor=#aaa> 만마관
萬馬關
조령관 | 조령산성제삼관[조]
鳥嶺關 | 鳥嶺山城第三關
석현성
石峴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관애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요령성 무순시 요령성 본계시 길림성 통화시
<rowcolor=#aaa> 오룡산성 | 변장산관애
五龍山城 | 邊墻山關隘
북구관애
北溝關隘
칠개정자관애
七個頂子關隘
길림성 통화시
<rowcolor=#aaa> 노변장관애
老邊墻關隘
망파령관애
望波嶺關隘
이도관마장관애 | 관마산성
二道關馬墻關隘 | 關馬山城
길림성 통화시 길림성 백산시
<rowcolor=#aaa> 석호관애
石湖關隘
이도구문관애
二道溝門關隘
십이도만관애
十二道灣關隘
길림성 백산시 평안북도 천마군 평안북도 동림군
<rowcolor=#aaa> 십사도구관애
十四道溝關隘
새원령성 | 식송진성
塞垣嶺城 | 植松鎭城
좌현관
左峴關
황해북도 황주군 강원도 세포군 충청북도 제천시
<rowcolor=#aaa> 동선관
洞仙關
삼방관
三防關
덕주산성
德周山城
개성특별시 삼거리 개성시 개풍구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rowcolor=#aaa> 청석관 | 청석진성
靑石關 | 靑石鎭城
여현진성
礪峴鎭城
탕춘대성
蕩春臺城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남도 문경시 경상남도 문경시
<rowcolor=#aaa> 석주관
石柱關
주흘관 | 조령산성제일관[조]
主屹關 | 鳥嶺山城第一關
조곡관 | 조령산성제이관[조]
鳥谷關 | 鳥嶺山城第二關
경상남도 밀양시 <#2d2628>
<rowcolor=#aaa> 작원관
鵲院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folding [ 진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인천광역시 강화군
<rowcolor=#aaa> 월곶진 조해루[강]
月串鎭 朝海樓
제물진 복파루[강]
濟物鎭 伏波樓
제물진 진해루[강]
濟物鎭 鎭海樓
인천광역시 강화군
<rowcolor=#aaa> 용진진 참경루[강]
龍津鎭 斬鯨樓
광성보 안해루[강]
廣城堡 按海樓
덕진진 공조루
德津鎭 控潮樓
경기도 파주시
<rowcolor=#aaa> 임진진 진서문
臨津鎭 鎭西門
}}}}}}}}}
{{{#fff 볼드체 : 대표성곽  기울임체 : 위치불명  [천] : 천리장성  [조] : 조령산성  [강] : 강화외성  [?] : 추정}}}

파일:철령관.png

이 철령이 군사적 요충지이다 보니, 이곳을 관리하기 위해서 요새가 하나 지어졌는데, 그것이 '철령관(鐵嶺關)'이다.

이 철령관은 지역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었는데, 이곳의 북서쪽인 평안도지역을 관서, 이곳의 북동쪽인 함경도지역을 관북, 남쪽인 강원도지역을 관동[2]으로 불리게 되었다.

3. 이항복의 시조

선조, 광해군 양조에서 정승을 지낸 이항복인목대비 폐비에 반대한 이유로 북청으로 유배 갈 때 광해군을 생각하며 지은 시조가 유명하다. 1618년(광해 10) 1월 18일 철령을 오르며 지은 노래(歌)가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에 전한다.
철령(鐵嶺) 노픈 재예
자고 가는 뎌 구름아
고신(孤臣) 원루(寃淚)을
비 삼아 띄여다가
님 계신 구중궁궐(九重宮闕)의
쁘려본들 엇더하리
출전: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3]
몇 달 후 연회에서 이 노래를 접한 광해군은 뒤늦게 자신의 잘못을 깨달았지만, 이미 이항복은 유배지에서 병사한 후였기에 심히 아쉬워하였다고 한다.

4. 관련문서


[1] 이북 5도 기준으로 하면 강원도 회양군함경남도 안변군 사이에 있다.[2] 서울 기준 동쪽이기에 '동'으로 불렸다는 이야기가 있다.[3] 원문의 옛한글을 최대한 그대로 옮겼으나 입력의 한계로 다소 차이가 있음. 한문으로 된 곳은 괄호 안에 한문을 표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