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7:17:47

광성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d2628>
파일:그림42134521345.png
한반도 및 만주 지역의
차단성 관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 color: #fff;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차단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rowcolor=#888>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요령성함경도평안도 함경도평안도
<rowcolor=#aaa> 연변장성
延邊長城
천리장성
千里長城
행성
行城
평안북도 황해남도황해북도 강원도 원산시
<rowcolor=#aaa> 대령강장성
大寧江長城
패강장성
浿江長城
북경장성 | 탄항관문
北境長城 | 炭項關門
황해북도 황주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충청남도 부여군
<rowcolor=#aaa> 극성
棘城
강화외성
江華外城
부여나성
夫餘羅城
전라남도 진도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용장성
龍藏城
모벌군성 | 관문성
毛伐郡城 | 關門城
제덕토성
薺德土城
부산광역시 동구 제주특별자치도
<rowcolor=#aaa> 초량설문
草梁設門
환해장성
環海長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folding [ 원문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rowcolor=#888> 전라남도 해남군 경상남도 통영시
<rowcolor=#aaa> 전라우수영원문
全羅右水營轅門
삼도수군통제영원문
三道水軍統制營轅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folding [ 목장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당진시
<rowcolor=#aaa> 살곶이목장성
箭串牧場城
창택곶목장성 | 작문재토성[?]
倉澤串牧場城 | -土城
맹곶목장성 | 웅포성[?]
孟串牧場城 | 熊浦城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보령시 전라남도 해남군
<rowcolor=#aaa> 매봉재목장성
鷹峰峙牧場城
토진곶목장성
土津串牧場城
황원곶목장성 | 송호리목장성
黃原串牧場城 | 松湖里牧場城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여수시
<rowcolor=#aaa> 계참곶목장성
界站串牧場城
절이도목장성
折爾島牧場城
곡화목장성
曲華牧場城
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남해군
<rowcolor=#aaa> 성두곶목장성 | 신기산성[?]
城頭串牧場城 | 新基山城
금산목장성
錦山牧場城
흥선도목장성
興善島牧場城
부산광역시 사하구 울산광역시 동구 경상북도 포항시
<rowcolor=#aaa> 오해야항목장내・중・외성
吾海也項牧場內中外城
방어진목장성 | 남목마성
魴魚津牧場城 | 南牧馬城
동배곶목장성 | 장기목장성
冬背串牧場城 | 長鬐牧場城
제주특별자치도
<rowcolor=#aaa> 하잣・중잣・상잣
下牆垣・中牆垣・上牆垣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영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평안북도
<rowcolor=#aaa> 정주관[천]
靜州關
의주관[천]
義州關
정융관[천]
定戎關
평안북도
<rowcolor=#aaa> 창주관[천]
昌州關
연주관[천]
延州關
청새관[천]
淸塞關
함경남도
<rowcolor=#aaa> 평로관[천]
平虜關
정주관[천]
定州關
선덕관[천]
宣德關
함경남도 평안북도 의주군 평안북도 삭주군
<rowcolor=#aaa> 원흥관[천]
元興關
살문령성[천]
箭門嶺城
대성령성 | 천마진성[천]
大城嶺城 | 天摩鎭城
평안북도 삭주군
<rowcolor=#aaa> 온정령성[천]
溫井嶺城
계반령성[천]
界畔嶺城
속사령성[천]
束沙嶺城
평안북도 창성군 평안북도 운산군
<rowcolor=#aaa> 대・소방장 | 막령진성[천]
大・小防墻 | 幕嶺鎭城
완항령성[천]
緩項嶺城
차령성 | 차령진성[천]
車嶺城 | 車嶺鎭城
평안북도 운산군 자강도 동신군 평안북도 천마군
<rowcolor=#aaa> 우현령성 | 우현진성[천]
牛峴嶺城 | 牛峴鎭城
적유령성[천]
狄踰嶺城
극성령성 | 안의진성
棘城嶺城 | 安義鎭城
평안북도 삭주군 평안북도 창성군 평안북도 위원군
<rowcolor=#aaa> 연평령성 | 창성외남문
延平嶺城 | 昌城外南門
자작령성 | 신성애
自作嶺城 | 新城隘
추령성
楸嶺城
함경북도 명천군 함경남도 홍원군 함경남도 영광군
<rowcolor=#aaa> 귀문관
鬼門關
대문령장성 | 고행성삼석문
大門嶺長城 | 古行城三石門
황초령성
黃草嶺城
황해북도 수안군 황해북도 신평군 황해북도 봉산군
<rowcolor=#aaa> 방원령성 | 문산진성
防垣嶺城 | 文山鎭城
검암령성 | 문성진성
檢巖嶺城 | 文城鎭城
자비령성 | 절령관
慈悲嶺城 | 岊嶺關
강원도 판교군 강원도 원산시 강원도 고산군
<rowcolor=#aaa> 방장치성
防墻峙城
노인치성
老人峙城
철령관
鐵嶺關
전라북도 전주시 경상북도 문경시
<rowcolor=#aaa> 만마관
萬馬關
조령관 | 조령산성제삼관[조]
鳥嶺關 | 鳥嶺山城第三關
석현성
石峴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관애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요령성 무순시 요령성 본계시 길림성 통화시
<rowcolor=#aaa> 오룡산성 | 변장산관애
五龍山城 | 邊墻山關隘
북구관애
北溝關隘
칠개정자관애
七個頂子關隘
길림성 통화시
<rowcolor=#aaa> 노변장관애
老邊墻關隘
망파령관애
望波嶺關隘
이도관마장관애 | 관마산성
二道關馬墻關隘 | 關馬山城
길림성 통화시 길림성 백산시
<rowcolor=#aaa> 석호관애
石湖關隘
이도구문관애
二道溝門關隘
십이도만관애
十二道灣關隘
길림성 백산시 평안북도 천마군 평안북도 동림군
<rowcolor=#aaa> 십사도구관애
十四道溝關隘
새원령성 | 식송진성
塞垣嶺城 | 植松鎭城
좌현관
左峴關
황해북도 황주군 강원도 세포군 충청북도 제천시
<rowcolor=#aaa> 동선관
洞仙關
삼방관
三防關
덕주산성
德周山城
개성특별시 삼거리 개성시 개풍구역 서울특별시 종로구
<rowcolor=#aaa> 청석관 | 청석진성
靑石關 | 靑石鎭城
여현진성
礪峴鎭城
탕춘대성
蕩春臺城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남도 문경시 경상남도 문경시
<rowcolor=#aaa> 석주관
石柱關
주흘관 | 조령산성제일관[조]
主屹關 | 鳥嶺山城第一關
조곡관 | 조령산성제이관[조]
鳥谷關 | 鳥嶺山城第二關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남도 함안군 <#2d2628>
<rowcolor=#aaa> 작원관
鵲院關
대현관문성
大峴關門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3%; min-height: 2em"
{{{#!folding [ 진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인천광역시 강화군
<rowcolor=#aaa> 월곶진 조해루[강]
月串鎭 朝海樓
제물진 복파루[강]
濟物鎭 伏波樓
제물진 진해루[강]
濟物鎭 鎭海樓
인천광역시 강화군
<rowcolor=#aaa> 용진진 참경루[강]
龍津鎭 斬鯨樓
광성보 안해루[강]
廣城堡 按海樓
덕진진 공조루[강]
德津鎭 控潮樓
경기도 파주시
<rowcolor=#aaa> 임진진 진서문
臨津鎭 鎭西門
}}}}}}}}}
{{{#fff 볼드체 : 대표성곽  기울임체 : 위치불명  [천] : 천리장성  [조] : 조령산성  [강] : 강화외성  [?] : 추정}}}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승주신성리성[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사천성진리성[7]}}}


[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6]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7]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기장죽성리성[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천안골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생포성[11]}}}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물금증산성[12]}}}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8]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0]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만인의총[22]}}}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2]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 살곶이 다리[23]}}}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 영산 석빙고[24]}}}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3]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4]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5]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임당동고분군[F]}}}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광한루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담양소쇄원[29]}}}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8]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29]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3]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4]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5]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파일:travel_20160623_img12.png
용두돈대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227호
강화 광성보
江華 廣城堡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23-1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면적 144\,632㎡
지정연도 1971년 12월 29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위치
}}}}}}}}} ||

1. 개요2. 역사
2.1. 신미양요 당시2.2. 그 후
3. 외부 링크4. 사적 제227호

1. 개요

廣城堡. 광성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광성보는 원래 고려 무신정권 시대 몽골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 조선 효종 대에 국방 시설을 강화도에 지음으로써 재건했다. 광성포대, 광성돈대, 용두돈대, 손돌목돈대 등의 여러 포대와 돈대가 소속되어 있는데, 이 요새가 유명해진 것은 신미양요 때 제일 치열한 격전지였기 때문이다.

광성보는 1971년 사적 제227호로 지정됐다.

2. 역사

2.1. 신미양요 당시

첫 번째 전투는 용두돈대에서의 포격전으로 별 피해가 없었지만 미군이 본격적으로 전투를 하면서 알려진다. 당시 광성보에는 어재연 장군 휘하 군사 500명이 주둔하고 있었는데 미군이 초지진, 덕진진을 함락하면서 광성보로 접근했다. 그 과정에서 조선군 사수 200여명에게 집중 사격을 당하지만 마침내 요새에 근접했고 조선군과 미군은 손돌목돈대에서 치열한 백병전을 벌이게 된다. 그 결과 미군은 맥키 대위 이하 3명이 전사 9명이 부상을 당하지만 조선군은 지휘관 어재연, 그의 동생 어재순, 그리고 군사 300여 명이 죽거나 다치고 20명이 포로, 100명이 자결하는 대패를 당한다. 하지만 이 전투 이후에 조선 정부의 변함 없는 태도와 여러 가지 불리한 상황[1]을 고려한 미군은 철수한다.

2.2. 그 후

나라에서는 어재연과 어재순 두 형제를 추모하는 쌍충비와 전사자들의 무덤(무명용사 무덤)을 만들었다. 한동안 폐허로 있다가 1970년대 강화도 정비 사업으로 복원되었고 박정희 대통령이 전사자들의 무덤에 헌화, 사적 제227호로 지정됐다. 현재는 어재연 장군의 동상과 함께 나란히 세워져 있다.

3. 외부 링크

4. 사적 제227호

광성보는 덕진진, 초지진, 용해진, 문수산성 등과 더불어 강화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이다.

고려가 몽고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로 도읍을 옮기면서 1233년부터 1270년까지 강화외성을 쌓았는데, 이 성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은 성으로 바다길을 따라 길게 만들어졌다. 광해군 때 다시 고쳐 쌓은 후 효종 9년(1658)에 광성보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숙종 때 일부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 용두돈대, 오두돈대, 화도돈대, 광성돈대 등 소속 돈대가 만들어 졌다.

영조 21년(1745)에 성을 고쳐 쌓으면서 성문을 만들었는데 ‘안해루’라 하였다. 이곳은 1871년의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용감히 싸우다가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으며 문의 누각과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이 파괴되었다.

1976년 다시 복원하였으며, 광성보 경내에는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와 신미순의총 및 전적지를 수리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수리한 것을 기록한 비석 등이 건립되었다.

※(광성보 → 강화 광성보)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 (2011.07.28 고시)

[1] 보급이 원활치 못하고 풍토병에 걸리거나 식수가 부족한 상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