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19:36:56

성묘(공빈김씨묘)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승주신성리성[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사천성진리성[8]}}}


[1]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7호로 재지정[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7]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8]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기장죽성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웅천안골리성[1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서생포성[12]}}}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물금증산성[13]}}}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9]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10]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1]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2]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3]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만인의총[23]}}}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3]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서울 살곶이 다리[24]}}}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창녕 영산 석빙고[25]}}}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4]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5]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6]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산임당동고분군[F]}}}


[27]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광한루원[2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담양소쇄원[30]}}}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9]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30]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34]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5]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36]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제5로 직봉 - 고흥 마북산 봉수 유적

[37] 내동리 쌍무덤.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 4기 총 5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9236A><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조선 공빈 김씨의 묘
성묘

成墓
파일:성묘_봉분(궁능유적본부)-min.jpg
매장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312-8
조성형태 단분(單墳)
매장자 공빈 김씨 (1557년 5월 1일 사망)
조성시기 1577년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colbgcolor=#315288> 남양주 성묘
南楊州 成墓
Seongmyo Royal Tomb, Namyangju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312-8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수량/면적 2,004㎡
지정일 1991년 10월 25일
시대 선조 10년(1577)
소유단체 국가유산청
관리단체 국가유산청
조선왕릉동부지구관리소
}}} }}}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파일:성묘_전경(궁능유적본부)-min.jpg
성묘(成墓) 전경

1. 개요2. 역사3. 그 외4. 사적 (舊 사적 제365호)

1. 개요

조선 제14대 국왕 선조후궁이자, 임해군과 제15대 국왕 광해군의 생모인 공빈 김씨가 안장된 무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1]

2. 역사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파일:성묘_곡장(궁능유적본부)-min.jpg
성묘(成墓)의 곡장
1577년(선조 10년) 5월 1일에 공빈 김씨가 산후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풍양 조씨 시조 묘소 뒤인 현재의 자리에 묘소를 조성하고 성묘(成墓)라고 이름지었다. 이후 그의 친아들인 광해군이 왕으로 즉위하고 1610년(광해군 2년)에 광해군이 공빈 김씨를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존하고, 성묘를 성릉(成陵)으로 추봉하고 석물을 다시 조성하였다. 조선왕조실록 기사 그러나 1623년에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공성왕후는 공빈으로 다시 강등되어 현재의 성묘(成墓)가 되었다.조선왕조실록 기사

성묘는 조선왕릉을 능원묘(陵園墓)의 등급으로 구분할 때 가장 격이 떨어지는 묘소임에도 왕릉의 격으로 조성이 되어있는데, 이는 1610년(광해군 2년)에 광해군이 자신의 생모인 공빈 김씨를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존하면서 성묘를 성릉(成陵)으로 추봉하였기 때문이다. 성릉으로 추봉된 이후에 왕릉의 능제에 맞게 다시 조성하여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과 호석을 둘렀으며 곡장을 설치하고 문석인 1쌍, 무석인 1쌍, 석마 2쌍,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1쌍, 석양 2쌍, 석호 2쌍을 배치하여 왕릉의 형식을 갖추었다.[2]

3. 그 외

성묘 바로 아래에는 풍양 조씨의 시조인 조맹(趙孟)의 묘소가 자리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 1630년(인조 8년) 5월 21일자 두 번째 기사에는 성묘와 조맹의 묘소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처음 공빈 김씨가 죽고 성묘를 조성할 당시에 조맹의 묘소가 옆에 있으므로 조맹의 묘를 허물 것을 의논하였으나, 선조가 허락하지 않았다. 이후 광해군이 공빈 김씨를 공성왕후로 추존하고 성묘를 성릉으로 높이면서 조맹의 묘소를 파낼 것을 다시 의논하였으나, 봉분만 헐었다.[3] 인조반정으로 다시 성묘로 돌아간 이후, 서울에 있던 여러 풍양 조씨의 학자와 관료들이 상소하여 봉분을 다시 세웠다. 조선왕조실록 기사[4]

성묘에서 서쪽으로 약 650m 떨어진 곳에는 공빈 김씨의 아들인 광해군과 그의 부인이 묻혀 있는 광해군묘가 자리를 잡고 있다. 이는, 광해군이 세상을 떠나면서 어머니인 공빈 김씨 곁에 묻어달라고 유언을 남겼기 때문이다. 또한 북쪽으로 약 430m 떨어진 곳에는 공빈 김씨의 큰 아들인 임해군의 묘소도 위치하고 있다. 즉, 어머니와 두 아들의 묘소가 모두 근처에 자리를 잡고 있는 셈.

4. 사적 (舊 사적 제365호)

조선 14대 선조의 후궁이자 15대 광해군의 생모(사친) 공빈 김씨(1553~1577)의 묘이다.

공빈은 김희철의 딸로 선조의 후궁이 되어 임해군과 광해군을 낳았으나, 1577년(선조 10) 25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광해군은 왕위에 오른 후 어머니를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존하고 능의 이름을 성릉(成陵)이라 하였으며 신주를 종묘에 모셨다.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다시 공빈으로 강등되고 지금의 성묘가 되었다.

성묘는 성릉으로 추봉할 때 왕릉의 격식에 맞게 석물을 다시 조성하였기 때문에 문석인, 무석인, 장명등, 혼유석, 석양, 석호, 석마, 난간석이 그대로 남아있다.

※ 남양주 성묘는 사적지 원형 보존과 훼손 방지를 위하여 비공개로 관리중입니다. 학술조사 등 목적으로 관람을 희망하실 경우에는 사전에 관리소(031-573-8124)에서 허가를 받은 후 출입 가능합니다.

[1] 舊 사적 제365호[2] 다만, 여타 왕릉에 비해서 좌우폭이 좁아서 비좁다는 느낌을 주는데, 이는 처음에 묘소를 조성할 때 왕릉이 될 것을 염두에 두지 않고 묘소로 꾸몄기 때문일 것이다.[3] 원래 왕릉으로 조성하는 경우에 주변의 무덤은 모두 없애는 것이 예법에 맞는 사항이니, 왕릉 바로 앞에 묘소를 그대로 두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4]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성묘에서 왕릉의 형식에 맞는 석물들(무인석 등)은 없어지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무래도 인조반정 이후 정묘호란병자호란 등 나라 안팎이 어지러운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