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3:55:23

오간수교

청계천의 교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모전교 - 광통교 - 광교 - 장통교 - 수표교 - 관수교 - 세운교 - 배오개다리 - 새벽다리 - 마전교 - 나래교 - 전태일다리(버들다리) - 오간수교 - 맑은내다리 - 다산교 - 영도교 - 황학교 - 비우당교 - 무학교 - 두물다리 - 고산자교 - [[수도권 전철 중앙선|
경의·중앙
]]신답철교 - 제2마장교 - 사근용답간인도교 - 용답나들목교 - 중랑천
상류 → 하류 방향
한강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오간수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460호 461호 462호
공주 수촌리 고분군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지, 수표교지오간수문지)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한양도성의 성문 및 종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창의문
彰義門

북소문
숙정문
肅靖門

혜화문
惠化門

동소문


서대문

지문
之門

동대문
소의문
昭義門

서소문


남대문
광희문
光熙門

남소문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461호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지, 수표교지와 오간수문지

서울 淸溪川 遺蹟(廣通橋地,水標橋址와 五間水門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오간수문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1가 (광통교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수동 (수표교지)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교통 / 교량
지정연도 2005년 3월 25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수량 / 면적 11,103㎡
정보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지,수표교지와 오간수문지)
파일:오간수교.png
<colbgcolor=#006fb9> 오간수교[1]
1. 개요2. 위치3. 역사4. 구조
4.1. 오간수문4.2. 오간수교
5. 교통6. 여담

[clearfix]

1. 개요

五間水橋 / Ogansugyo

청계천다리이다.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의 14번째 다리이다.

2.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종로6가)와 중구 장충단로 (을지로6가)를 잇는 위치에 있다.

3. 역사

파일:오간수문.png
<colbgcolor=#006fb9> 오간수문 옛 모습
원래는 한양도성 성곽의 일부로, 청계천이 도성을 빠져나가게 만든 수문(水門)이었다. 5개의 무지개 모양으로 된 홍예문이었으며 이름도 본래는 ‘오간수(五間水)’이었다. 사대문안의 모든[2] 물줄기는 청계천을 통해 이 문으로 빠져나갔다.

1396년(태조 5년)에 한양도성을 지을 때 창건한 듯 하나 정확한 건 모른다. 처음에는 수문이 3개였으나 1421년(세종 3년)에 장마로 개천이 범람하자 1년 뒤에 추가로 2개를 더 만들어 5개가 되었다.

1612년(광해군 4년)에 수리했다.#[3] 1760년(영조 36년)에 청계천을 준설하면서 다시 보수했다.

1907년(융희 원년) 일제청계천 물줄기가 원활하게 흘러간다는 명분 하에 오간수문을 헐었고 1년 뒤에는 근처의 성벽마저 철거했다. 이후 그 자리에 콘크리트로 새 다리를 짓고 이름을 ‘오간수(五間水)’라 했다.
파일:오간수교를 지나는 전차.png
<colbgcolor=#006fb9> 오간수교를 지나는 전차
1921년 6월에 흥인지문(동대문)에서 광희문전차 노선이 새로 생기면서 오간수교 위에 전차 선로가 놓였다. 1926년 6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 행렬이 오간수교를 지나면서 약 4.5m던 다리의 폭을 약 8.2m로 확장했다. 그러나 그 다리마저도 1961년 12월에 청계천 복개공사로 사라졌다.
파일:오간수문 재현물.png
<colbgcolor=#006fb9> 오간수문을 재현한 구조물[4]
서울특별시에서 2000년대에 진행한 청계천 복원공사 때 재건했다. 그러나 교통문제로 예전의 오간수문으로 복원하지 못했고 지금의 오간수교를 만들었다. 대신 오간수교 북측의 동쪽 벽면에 오간수문을 재현한 구조물을 설치했다.

4. 구조

4.1. 오간수문

4.2. 오간수교

5. 교통

6. 여담

파일:준천가.png}}} ||<width=273>
파일:영조 어필.png
||
파일:오간수문 옛 사진과 그림.png}}} ||
<colbgcolor=#006fb9> 오간수교 밑에 있는 청계천 준설 및 오간수교 관련 역사 전시물.
상단 왼쪽은 〈준천가〉, 오른쪽은 준천을 기념하여 영조가 쓴 글씨이며,
하단은 오간수교의 옛 사진과 준천 관련 기록화이다.
다리 밑에 청계천 준설 및 오간수교 관련 역사 전시물이 있다. 오간수교의 옛 사진, 〈준천가〉, 준천 기록화 및 영조 어필 등이 있다. 영조 어필은 1760년(영조 36년)에 청계천을 준천한 것을 기념하여 영조가 준설의 공이 있는 신하들에게 하사한 글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濬川功訖(준천공흘)
준설 역사를 끝마친 것은

卿等竭誠(경등갈성)
경들이 정성을 다했기 때문이다.

予聞光武(여문광무)
내가 듣건대 후한 광무제가 말하기를

有志意成(유지의성)
'뜻이 있으면 마침내 이루어진다'고 했다.
영조
}}} ||
<colbgcolor=#006fb9> 오간수교 무대에서 주니엘이 부른 〈연애하나 봐〉
2014년 9월 28일, 가수 주니엘이 오간수교의 천변무대에서 피크닉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이 때 〈연애하나 봐〉를 공식적으로 처음 발표했다. 한 시간 정도 진행하였으며, 〈달〉, 〈벚꽃〉 등 일본 자작곡도 두 곡 불렀다.


[1] 사진 출처 - 서울스토리.[2] 전부는 아니다. 딱 한 물줄기만 다른 곳으로 나갔다. 남산 북쪽에서 발원한 남소문동천의 일부 지류가 광희문 인근에서 따로 갈라져 현재 DDP 자리에 있던 이간수문을 통해 빠져나간 것.[3] 이 때 사관은 ‘의심이 많은 왕은 내부 반란으로 쫓겨날까 두려워 오간수문을 척간[5]한다’며 광해군을 디스했다.[4] 사진 출처 - 한국관광공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9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擲奸. 죄의 유무를 밝히기 위하여 캐어 살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