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3:37:03

칼로 흥한 자 칼로 망하리라

51 그 때 예수와 함께 있던 사람들 중 하나가 칼을 빼어 대사제의 종의 귀를 쳐서 잘라버렸다.
52 그것을 보시고 예수께서는 그에게 "칼을 도로 칼집에 꽂아라. 칼을 쓰는 사람은 칼로 망하는 법이다.
53 내가 아버지께 청하기만 하면 당장에 열두 군단도 넘는 천사를 보내주실 수 있다는 것을 모르느냐?
54 그러나 그렇게 한다면 이런 일이 반드시 일어나리라고 한 성서의 말씀이 어떻게 이루어지겠느냐?" 하시고는
55 무리를 둘러보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전에 내가 날마다 성전에 앉아서 가르치고 있을 때에는 나를 잡지 않다가 지금은 칼과 몽둥이를 들고 잡으러 왔으니 내가 강도란 말이냐?
56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예언자들이 기록한 말씀을 이루려고 일어난 것이다." 그 때에 제자들은 예수를 버리고 모두 달아났다.
마태오의 복음서 26장 51절 ~ 56절 (공동번역성서)

1. 개요2. 사례3. 바리에이션

1. 개요

πάντες γὰρ οἱ λαβόντες μάχαιραν ἐν μαχαίρῃ ἀπολοῦνται.
그리스어 원문

성경에 나오는 격언으로, 예수가 한 말이다. 겟세마네 동산의 기도를 마치고 예수가 군인에게 체포당하게 되자 베드로가 나서서 칼을 휘두르며 한 대제사장의 종의 를 쳐서 잘라냈는데,[1] 베드로를 막은 다음 말해 주었다. 덤으로 베드로가 자른 종의 귀는 즉석에서 기적을 일으켜 붙여줬다.

예수의 제자가 대제사장의 종의 귀를 칼로 베어버린 이야기 자체는 복음서 네 권에 모두 나오나, 구체적인 묘사는 복음서마다 미묘한 차이가 있다. "칼을 가지는 자는 칼로 망한다."라는 말은 마태오의 복음서에만 나오고, 종의 귀를 자른 사람이 베드로라는 사실은 요한의 복음서에만 나오며, 잘린 귀를 예수가 다시 붙여 주었다는 이야기는 루가의 복음서에만 나온다.

사람들은 흔히 이 말을 속담으로 알고 있으며 원래는 "칼을 쓰는 자는 칼로 망하리라."였으나 이후에는 "칼로 흥한 자 칼로 망하리라."라는 말로 바뀐다.

본래의 의미는 격언 그대로(칼 = 무력, 폭력)의 의미일 수도 있으며 또는 자신의 재주를 믿고 설치다가 자신의 재주 때문에 망한다는 뜻으로 이 격언에는 대신에 다른 단어를 넣어서 파생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2. 사례

독립운동가 이상재 선생이 온건개화파 관리였던 박정양의 도움으로 신사유람단에 포함되어 일본으로 건너갔을 때였다. 일본 관리가 메이지 유신의 성과와 자국의 부강함을 과시하면서 소감을 묻자, 이상재 선생이 "일본의 발달된 문물이 참으로 놀랍소. 헌데 성경에 보니 예수가 '칼로 흥한 자는 칼로 망하리라.'라고 했는데, 성인인 예수가 틀리지 않았다면 일본의 앞날이 참으로 걱정이 되는구려."라고 하면서 우려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리고 군국주의의 폭주와 함께 일본은 이상재의 우려를 참으로 충실하게 재현했다.

특히나 인터넷에서 말하는 병림픽교훈이라 칭해지는 "키배로 흥한 자 키배로 망하리라."라고 하는 말은 이 격언에서 파생된 말이다.

스타워즈의 등장인물 프리 비즐라는 말 그대로 "로 흥하고 그 칼에 참수되어 망했다."

트리니티 블러드의 등장인물 위그 드 바토입버릇이기도 하다.

노자 도덕경에 나오는 병자불상지기와도 통한다.

은하영웅전설 OVA의 노이에란트 전역제2차 란테마리오 성역 회전을 다루는 두 편의 제목이기도 하다. 96화가 "검에 살고", 97화가 "검에 죽다"이다. 프랑스어 판에서는 원전에 충실하게 검으로 흥한자 검으로 망하리라로 되어 있다.

3. 바리에이션

칼 외에도 도박으로 흥했다가 도박으로 망하거나, 으로 흥했다가 돈으로 망하는 등 칼 이외의 것으로도 흥했다가 망하는 경우가 있다.

인간 비판적인 무한 루프가 가능한 용어다. "칼로 흥한 자다른 칼로 망하고, 그 칼로 흥한 자는 또다른 칼로 망하고, 또 그 칼로 흥한 자는 또또다른 칼로 망하리라…" 방식으로 악행에는 악행으로 되갚는 무한 루프가 가능하다. 이에 적중하는 사자성어가 "이혈세혈(以血洗血)"이 있다. "피를 피로 씻는" 뜻답게 악행의 반복을 의미한다.


[1] 위의 인용 구절(마태 26:51)에서는 '대제사장'이 '대사제'로 표기되었다. 참고로 종의 이름은 요한 복음서에 말코스(Μάλχος)라고 나와 있다. 당시는 헬레니즘 문화로 통일된 국제화 시대라 유대인도 그리스식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았다. 라틴어로 왠지 마르쿠스(Marcus)일 것 같지만, 불가타에는 'Malchus'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