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19:54:02

퀴즈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퀴즈 자체에 대한 내용은 퀴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소설에 대한 내용은 퀴즈쇼(소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설명3. 목록

1. 개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에서 진행하는 예능 프로그램의 하위장르. 문제를 제시해서 출연자가 그 문제를 맞히는 것을 겨루며, 라디오 프로그램의 경우는 시청자가 전화 등을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직접 참여하는 경우도 많다. 시청자들이 퀴즈에 참여함으로서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주는 일종의 제4의 벽을 돌파하는 셈이다.

2. 설명

미국에서는 라디오만 있었을 때부터 퀴즈 프로그램이 인기가 많았고[1], 한국도 미국 방송의 영향을 받아 TV방송 초창기부터 퀴즈쇼가 많이 편성되었고 1990년대까지도 TV 프로그램의 주류로서 숫자가 상당히 많았으며, 연예인들만 참여하는 퀴즈프로그램도 많이 있었다.

그 뒤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방송사마다 상금을 줄 여유가 없어지자 퀴즈프로그램이 우르르 사라지면서, TV 프로그램의 주도권을 일요일은 즐거워, 일요일 일요일 밤에 등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들에게 내줬다. 그래도 포맷 자체는 TV방송 초기 때부터 있어 왔고 그만큼 익숙하기 때문에 방송계 내에서 퀴즈쇼 포맷 자체를 재활용하려는 시도는 많았고, 인기를 얻은 것도 적지 않았다.

21세기 들어서 연예인만 참가하는 퀴즈 프로그램도 2010년 후반부에 들어서 다 사라졌으며, 대신 연예인들 한정으로 무한도전이나 1박 2일, 런닝맨 등 각종 리얼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퀴즈를 이용한 복불복 게임을 진행하거나 컨셉을 차용하는 경우는 꽤 잦은 편이다. 또한 최근에는 우리말 겨루기에서도 연예인 특집이 잦아지고 있다.

퀴즈 프로그램의 부진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TV 위주 시대의 종말, 그리고 대중 매체의 발달에 따른 지식을 얻는 수단의 다양화로 인해 쇠퇴한 것으로 보인다.[2]

현재 퀴즈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는 KBSEBS만이 유일하며, MBC최강연승 퀴즈쇼 Q[3], SBS세대공감 1억 퀴즈쇼 이후로 퀴즈 프로그램의 계보가 끊어진 상태다. 또한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2023년 기준으로 우리말 겨루기가 유일하다. 그래도 남아있는 퀴즈 프로그램 모두 10년 이상은 되었으며 이전만큼은 아니지만 준수한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2014년 KBS는 10만명 단위의 시청자가 동시에 참여해서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는 딜레마 퀴즈를 푸는 나를따르라를 선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직전 프로그램이었던 사랑의 리퀘스트의 평균 시청률이었던 1.3에 비해여 4배 높은 시청률을 보였다.

퀴즈 프로그램의 형식은 주로 절대평가(서바이벌 형태, 타이틀 도전)와 상대평가 형식으로 나뉘어지며 초창기 퀴즈 프로그램이 거의 상대평가 형식으로 진행되었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퀴즈프로그램들은 다양한 형식으로 진행한다. 절대평가 형식을 차용한 퀴즈프로그램으로는 퀴즈가 좋다우리말 겨루기를 꼽을 수 있으며, 상대평가 형식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장학퀴즈를 예로 들 수 있다.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섞어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는 1대 100[4]도전 골든벨[5]이 있다.

또한 시청자 퀴즈는 매우 쉽게 출제되는 게 특징인데, 1대 100 한국판의 경우 시청자퀴즈도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했다.

퀴즈 프로그램에서 받는 상금은 기타세율에 속하므로 상금의 4.4%를 뗀 나머지가 상금으로 지급된다. 즉, 1대 100에서 5000만원을 받게 되면 실제 수령액은 4780만원이 된다. 단, 장학퀴즈도전! 골든벨에서 주어지는 장학금은 미성년자인 고등학생에게 수여되는 특성상 비과세이므로 세금을 떼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테레비 아사히《Q사마!!》[6], TBS TV《세계 신비한 발견》동대왕, 후지 테레비네프리그 등을 위시한 퀴즈 프로그램의 인기가 여전히 압도적이며 저녁 황금시간대에 방송된다.[7] NHK와 민방 5국에서 모두 퀴즈 프로그램을 제작, 방영하며 한국의 1990년대 이전을 떠올리게 할 만큼 다양한 편이다. 이러한 퀴즈 프로그램을 즐겨보는 퀴즈 오타쿠들도 꽤나 많은 편. 최근에는 인텔리 아이돌 및 게닌들의 출연도 늘고 있으며[8] 한국과는 달리 문제를 먼저 푼 다음 출연자를 소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QuizKnock은 이러한 퀴즈 프로그램의 인기를 바탕으로 잘 나가는 콘텐츠 기업이 되었다.

미국 역시 Jeopardy!Wheel of Fortune 같은 퀴즈 프로그램이 수십년이 넘도록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외국 퀴즈쇼에선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서 방송국 관계자 및 주변인의 출연을 금지하는 룰이 있으며, 퀴즈쇼 스캔들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획득 상금이나 출연 횟수에 제한을 둬서 이를 초과하면 은퇴 명목으로 출연이 금지된다.

2024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선 일반인이 참여하는 전범위 상식 퀴즈 프로그램은 전멸한 상황이다. 우리말 겨루기는 근, 현대 한국어 위주며, 유 퀴즈 온 더 블럭은 제목에만 퀴즈가 붙여져 있지, 사실상 세바퀴처럼 토크쇼 위주다.[9] 현재는 장학퀴즈(수능 관련 문제와 수시 면접 관련 시사상식 문제)가 명맥을 잇는 수준.

3.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퀴즈쇼/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퀴즈쇼 스캔들로 인해서 한동안 된서리를 맞기도 했지만, 1960년대 이후로는 다시 인기를 얻기 시작하면서 포맷을 해외로 수출할 정도로 안정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휠 오브 포츈이나 제퍼디가 수십년 넘게 장수하고 있는 게 그 예.[2] 또한 상식을 알아가는 데 느끼는 즐거움을 기획의도로 한 교양색을 가미한 예능 역시 대중매체의 발달로 지식 습득이 쉬워진 상황이라 인기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즉, 외환 위기가 없었어도 얼마 못 가 쇠퇴할 운명이었다는 의미.[3] 2018년 5월에 방영된 뜻밖의 Q는 퀴즈 예능에 가까우며 이마저도 5개월만에 종영되었다.[4] 초창기에는 1인의 경우 중간에 멈춰 상금을 획득하는 게 가능했고, 100인의 경우에는 1인이 탈락하면 생존자끼리 상금을 나눠 가질 수도 있었다. 그 뒤에는 무조건 최후의 1인으로 남아야 상금을 획득하며, 정답을 많이 맞혀 높은 단계에서 많이 생존할 경우 상금이 많아진다.[5] 생존 인원수에 관계없이 50문제를 모두 풀면 골든벨이지만, 최후 인원수에 따라서 부가 상품을 더 얻을 수도 있다.[6] 다만, 초창기에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었고, 퀴즈 형식은 2007년부터 시작됐다.[7] 다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연예인들의 비중이 큰 편이다. 사실 일본 방송은 초상권 면에 엄격해 일반인 참가 프로그램은 다시보기가 안 되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과 다르게 일반인의 얼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재방송 판권시장에 판매하다간 자칫하면 고소당할 수 있어서, 일반인의 얼굴은 모자이크해서 내보내는 경우가 많다.[8] 실제로 게닌이지만 퀴즈 프로에서 크게 활약해 개그는 모르겠고 그냥 퀴즈 잘 푸는 사람 정도로 인식되는 게닌들도 꽤 있다. 참고로 한국에서도 코미디언들이 퀴즈 프로그램에 나와 좋은 성적을 거둔 경우가 많다.[9] 그나마 초창기에는 퀴즈 비중이 높긴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